• 제목/요약/키워드: malicious code

검색결과 376건 처리시간 0.026초

모바일 가상화 TYPE-I을 이용한 보안 기술 연구 (A Study on Security Technology using Mobile Virtualization TYPE-I)

  • 강용호;장창복;김주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9
    • /
    • 2015
  • 최근 스마트 장치 확산과 이러한 장치들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의 도입으로 모바일 보안 및 스마트 TV 보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클라우드 서비스, 게임, 뱅킹 서비스, 모바일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한다. 하지만 현재의 모바일 보안 솔루션과 스마트 TV 보안은 단순히 악성코드를 탐지하거나 모바일 단말 관리, 자체 보안 시스템을 이용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인증서, 법인 문서, 개인의 신용 카드 번호와 같은 보안에 민감한 정보에 대해 서비스 해킹 및 누설을 방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모바일 가상화, ARM TrustZone, GlobalPlatform, MDM과 같은 다양한 모바일 장치의 보안 기술이 연구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상화 TYPE-I 기반의 ARM TrustZone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 보안 기술 구현 방법을 제시한다.

안전한 스마트 단말을 위한 도메인 분리 기반 보안 플랫폼 구현 (Implementation of Domain Separation-based Security Platform for Smart Device)

  • 김정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471-476
    • /
    • 2016
  • 최근 들어, 스마트 단말에서 오피스, 화상회의 등 스마트워크 업무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들을 다루는 경우가 많아졌다. 또한 스마트 단말의 실행환경이 공개 소프트웨어 환경 위주로 발전하면서, 사용자들이 임의의 응용소프트웨어를 다운받아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됨에 따라, 스마트 단말이 보안적 측면에서 취약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TEE(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기반의 격리된 안전실행환경 영역을 가지는 모바일 단말 플랫폼인 가상화 기반 스마트 단말 보안 기술의 특징을 알아본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단말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도메인 분리 기반의 안전한 스마트 단말 보안 플랫폼에 대한 구현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도메인 분리 기반 스마트 단말 보안 플랫폼 기술은 단말내의 민감 정보 유출과 비인가 접근을 차단한다. 또한 이 기술은 스마트 단말뿐만 아니라 인터넷 상의 다양한 IoT를 포함한 다양한 기기에서 악성코드의 실행과 전파를 막을 수 있는 솔루션이 될 것이다.

Smart EDR 시스템구축을 위한 보안전략과 발전방안 (A Study on Smart EDR System Security Development)

  • 유승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1-47
    • /
    • 2020
  • 기업 시스템 환경에서 실제업무의 적용단계인 단말(Endpoint)에서 발생하는 의심스러운 행위를 탐지하고 통제하는 것은 조직의 비즈니스 환경을 안전하게 하는 가장 핵심적인 영역이라 할 것이다. 내외부로부터의 위협을 정확하게 탐지하고 차단하기 위해서는 조직 내 모든 단말의 모든 영역을 모니터링하고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끊임없는 악성코드의 도전으로부터 기업조직의 안전한 비즈니스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존 보편화 되었던 알려진 패턴이나 시그니처, 정책, 룰 기준의 탐지와 방어 중심의 클라이언트 보안을 넘어 PC등 업무용 단말에서 발생하는 모든 일을 파악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EDR 솔루션 도입은 이제 보안의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DR솔루션에 요구되는 필수적인 기능을 살펴보고, 보안문제에 대한 능동적인 선행적 탐지를 기반으로 하는 지능적인 EDR시스템의 설계와 발전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Ad Hoc 기반 의료정보시스템의 네트워크 보안 효율성구조 Infrastructure 설계방법 (A Building Method of Infrastructure Efficiency under Ad Hoc-based on Network Infrastructure for Medical Information System)

  • 노시춘;유승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91-98
    • /
    • 2011
  • 의료정보시스템 상에서 ad hoc 기반으로 디자인 된 네트워크는 일반적인 정보시스템 네트워크와 보안 요구사항이 다르다. 의료정보 네트워크 구조상에서는 트래픽 소통경로를 따라 악성코드 침투와 보안기능이 수행된다. 의료정보시스템 보안도메인이란 침투와 방어기능이 수행되는 네트워크 구조상에서의 트래픽처리 영역과 그룹을 차별화 하여 구분시키는 개념이다. 의료정보시스템 보안도메인별 영역과 기능을 기준으로 도메인별로 차별화된 침투발생이 가능하고 따라서 도메인별로 차별화된 보안 메커니즘이 개발되고 적용되어야 한다. Ad Hoc 기반 의료정보시스템은 어떤 기준으로 효율성 구조 Infrastructure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는가 방법론 도출을 위해 본 연구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정보시스템 네트워크 형상(Topology) 결정 요소, 보안도메인 설정기준, 구조도 선택기준, 차단위치 결정 구성기준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론을 적용할 경우 의료정보시스템 보안도메인 영역기준에 따라 차별화된 설계가 필요하며 보안효율을 증대시킬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모바일 가상화 기술과 ARM의 Trustzone을 사용한 효율적인 보안 방법 (Efficient Security Method Using Mobile Virtualization Technology And Trustzone of ARM)

  • 최휘민;장창복;김주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299-308
    • /
    • 2014
  •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자 수는 스마트폰 성능 향상 및 다양한 서비스 제공으로 인해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클라우드 서비스, 게임, 뱅킹 서비스, 모바일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한다. 오늘날의 모바일 보안 솔루션은 악성코드를 검출하거나 모바일 장치를 관리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에 인증서, 법인 문서, 개인의 신용 카드 번호와 같은 보안에 민감한 정보에 대해 서비스 해킹 및 누설을 방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모바일 보안 기술은 피해가 발생한 사례가 있었던 만큼 최근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모바일 가상화, ARM Trustzone, Globalplatform과 같은 다양한 모바일 장치의 보안 기술이 연구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 유출 및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보안 정책 및 액세스 제어, 암호/키 관리, 세이프 스토리지 등의 모바일 가상화 기술과 ARM의 Trustzone의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통합 사이버 보안 상황분석을 통한 관제 상황인지 기술 (Context cognition technology through integrated cyber security context analysis)

  • 남승수;서창호;이주영;김종현;김익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313-319
    • /
    • 2015
  • 인터넷을 이용하는 응용의 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이버 공격의 발생 빈도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L3 DDoS 공격 탐지 중비의 장비에서 응용계층 기반의 지능형 DDoS 공격에 대한 탐지가 미비하다.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솔루션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고성능 유무선 네트워크 위협대응 기술에 있어서 국내제품은 외국제품에 비해 기능면에서는 근접하나 성능은 미비한 상황에 있으며, 악성코드 탐지 및 시그니쳐 생성연구 관련하여 주로 Window OS에서 동작하는 악성코드 탐지 및 분석 연구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신 사이버 보안 상황 침해 공격 분석을 통한 최신 다양한 신종 공격 기법 및 분석 기술의 현황 조사, 분석등을 기술한다.

파일 오브젝트 분석 기반 개선된 물리 메모리 실행 파일 추출 방법 (An improved extraction technique of executable file from physical memory by analyzing file object)

  • 강영복;황현욱;김기범;노봉남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861-870
    • /
    • 2014
  • 악성코드의 지능화에 따라 물리 메모리에서 실행 파일을 추출하는 것이 중요한 연구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물리 메모리에서 파일 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실행과정에서 사용 중인 파일 데이터를 추출하기 때문에 원본 파일 데이터가 추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물리 메모리에 저장되는 파일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과 동일하게 추출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윈도우 파일 오브젝트 커널 정보 분석을 통한 실행 파일 데이터 추출 방법을 제시한다. 실험을 통해 물리 메모리에 저장되어있는 실행 파일 데이터 특징을 분석하고,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원본 파일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추출함으로써 제안 방법의 우수함을 증명한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 (User Authentication Mechanism using Smartphone)

  • 정필성;조양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01-308
    • /
    • 2017
  •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인터넷의 발전으로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본인확인 인증절차를 진행한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개인용 데스크탑 컴퓨터를 이용하는 상황보다 쉽고 빠르게 인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터넷 해킹 기술과 악성코드 배포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고 공격형태도 더 다양해짐에 따라서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인증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인증방법으로는 소지기반 인증, 지식기반 인증, 생체기반 인증, 패턴기반 인증, 다중요소 인증 등의 방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수집 가능한 정보를 인증요소로 활용하는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제안 인증 메커니즘을 사용하면 본인의 스마트폰 정보 및 환경정보를 숨김 인증요소로 활용하여 타인에게 노출이 안된 상태에서 인증과정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안 인증 메커니즘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구현하여 적용성, 편의성, 보안성을 기준으로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주요기반시설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보안 프레임워크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curity Framework Design for Stable Operation of Critical Infrastructure Service)

  • 이수연;유지연;임종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3-72
    • /
    • 2016
  • Critical infrastructure has been operating in a closed environment with a completely separate information system and in the private area. However, with the current ICT environment changes due to convergence and open platforms it has increased the threats and risks to critical infrastructure. The importance of cyber security is increasing in the infrastructure control system, such as the outbreak of Ukraine blackout in 2015 by a malicious code called 'black energy'. This thesis aim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rotecting the critical infrastructure service, designing a security framework reflecting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changes, and analyzing the management system suitable for a security framework. We also propose a theoretical basis for constructing a new security framework by comparing and analyzing seven international security management system standards, such as NIST 800-82 and IEC 62443-2-1, which are used in the control system. As a result, the environment surrounding critical infrastructure chang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nnectivity, openness, and finality was studied, and as a response to this, many scholars and institutions present critical infrastructure security frameworks as cycle enhancement type structures, risk management structures, and management domain expansion structures. In response, the security framework encompassing these structures, CISF (Critical Infrastructure Security Framework), was designed. Additionally, through the security related international standard and criterion analysis, as a newly designed security standard suitable for CISF, IEC 62443-2-1 is reviewed and suggestions are made.

액티브 네트워크 상에서 액티브 노드의 보안 강화를 위한 보안 엔진 구현 (Implementation of Security Enforcement Engine for Active Nodes in Active Networks)

  • 김옥경;임지영;나현정;나가진;김여진;채기준;김동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4호
    • /
    • pp.413-422
    • /
    • 2003
  • 액티브 네트워크는 패킷이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에 거치게되는 중간노트에서 새로운 정책이나 코드를 추가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반 차세대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액티브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다이나믹하게 패킷을 처리할 수 있지만 중간 노드에서 패킷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그 노드의 자원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액티브 네트워크에서는 기존의 네트워크와는 달리 중간노트의 자원에 접근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네트워크 보안상의 문제점들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본 논문에서는 액티브 네트워크 환경에서 액티브 노드의 자원에 접근 시 발생되는 보안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보안 강화 엔진을 제안하고, 보안 강화 엔진 내에 보안, 인증, 권한부여 모듈을 두어 액티브 네트워크 환경에 노출되어있는 악의적인 위협 요소들로부터 보호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