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adaptive soldier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뇌파분석을 통한 군복무 부적응 병사의 뇌기능 특징 연구 (A study on the Brain function specialty based on the Maladaptive Soldier by Brain waves analysis)

  • 류명오;이선규;백기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916-1922
    • /
    • 2014
  • 본 연구는 뇌파 분석을 통해 군복무 부적응 병사의 뇌기능 특징을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대상자는 00사단 비전캠프에 입소한 병사 59명과 정상적으로 복무중인 병사 60명, 그리고 민간청년 1, 000명 등 총 1, 119명이다. 군인에 대한 뇌파 측정은 2013년 9월부터 2014년 1월까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민간청년과 군인 집단 간 뇌기능 비교에서 기초율동 주의 정서 항스트레스 브레인지수는 군인 집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기조절 활성 좌우뇌균형지수는 민간청년 집단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군복무 부적응 병사와 정상 병사 집단 간에는 정서지수와 브레인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로 부적응 집단이 낮았으며, 평균값도 모든 뇌기능지수에서 부적응 집단이 낮은 값을 나타냈다. 이 연구 결과 규칙적인 생활과 신체활동, 균형 잡힌 영양섭취를 하는 군 복무는 정상 또는 부적응 병사를 막론하고 뇌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그러한 부대활동에서 대부분 열외 되는 부적응 병사는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육군 일개 사단에서 군 복무 부적응자들의 정신의학적 평가 : 그린캠프 참가자들을 중심으로 (Psychiatric Evaluation of Maladaptive Male Conscripts in a Division of the Republic of Korean Army : Focus on Green Camp Participants)

  • 김주현;강석훈;예병석;황현국;서재원;채공주;이환배;김찬형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1-136
    • /
    • 2010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aimed to elucidate the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ladaptive soldiers in the Republic of Korean Army. Methods :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10 male conscrip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Green camp, which was a form of group psychosocial treatment program for maladaptive soldiers. All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d diagnosed by a psychiatrist, and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y left or rejoined the army. We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in terms of demographic features, psychiatric diagnosis and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 subscores. Results : Compared with soldiers who rejoined their units, those who left military service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educational level (p=0.041) and a higher rate in psychiatric treatment prior to enlistment (p=0.011). Among the 106 subjects, 63 (59.4%) and 23 (21.7%) were diagnosed with personality disorder and adjustment disorder, respectively. Further, those who left military service were diagnosed more frequently with mood disorder (p=0.001) and schizophrenia (p=0.014) than those who rejoined their units. Additionally, the MMPI scores of soldiers who left military service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the psychasthenia (p=0.028) and schizophrenia (p=0.039) scales than those of soldiers who rejoined their units. Conclusion : Most of the maladaptive soldiers were diagnosed with mental disor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ystematic, consistent psychiatric evaluation and intervention for maladaptive male conscripts is crucial in the Republic of Korean army.

복무부적응 병사의 군생활 패턴 (Military Life Pattern of Maladjusted Soldiers)

  • 이은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01-511
    • /
    • 2020
  • 본 연구는 복무 부적응 병사들의 군 생활 경험과 패턴을 발견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장소는 A지역 복무 부적응 병사 치유 프로그램 진행장소이고, 연구 기간은 2016년 9월부터 2017년 12월까지였다. 복무 부적응 병사의 군생활 경험 패턴을 분석한 결과로 입대 초기 영역, 입대 중기 영역, 적응 실패 영역의 3개의 영역과, 5개의 문화적 주제, 12개의 범주, 29개의 속성으로 분류되었다. 영역별 문화적 주제는 '낯선 군 문화에 던져짐', '힘겨운 시간', '집단 속에서 혼자서 버티기', '지울 수 없는 군 생활의 고통', '고통스런 삶을 벗는 마지막 선택' 이었다. 결과적으로 복무 부적응 병사는 현 상황을 벗어나기위한 방법으로 자살을 시도하였지만, 입대 초기 군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적극적 도움이 필요한 시기가 있고, 적응 중기에 미숙한 사건 대처 방법에 대해 가이드가 필요하며, 적응 실패 영역에서 군에서의 삶을 비관하며 죽음을 선택하는 인식의 오류를 발견할 수 있도록 개별 맞춤형 전략과 정신보건전문가의 근접 도움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복무 부적응 병사를 돕기 위한 정신 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자살 예방사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 기대한다.

군부대 내 부적응 병사에서 충동성과 혈청 지질과의 상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Cholesterol and Impulsiveness in the Division of the Republic of Korean Army)

  • 김슬기;강석훈;임명호;최종혁;이병용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0-126
    • /
    • 2012
  • Objective : Previous studies reported a correlation between the low serum cholesterol level and impulsive behavio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an association between the serum lipid levels and psychological parameters in maladaptive soldiers in the Korean Army. Methods : A total of ninety-six maladaptive subjects and thirty-six normal controls in the Korean army were evaluat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Barratt Impulsiveness Scale (K-BIS), Korean version of Beck Suicidal Ideation Scale (K- BSIS),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K-BDI) and Korean version of Beck Anxiety Inventory (K-BAI). Serum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low density lipoprotein (LDL)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level were measured by overnight fasting blood sampling.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t=-2.209, p=0.032), triglyceride levels (t=-4.593, p<0.001), and LDL levels (t=-3.753, p=0.001) of maladaptiv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rmal controls, and maladaptive subjects had higher K-BIS scores than normal controls (t=7.542, p<0.001).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LDL levels and non-planning impulsiveness in the maladaptive subjects (r=-0.253, p=0.013). LDL levels (${\beta}=-0.258$, p=0.008) and K-BDI scores (${\beta}=0.266$, p=0.043) emerged as significant predictors for non-planning impulsivenes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LDL level was associated with non-planning impulsivenes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serum cholesterol levels might be available as a biological marker of impulsiveness. However, more large samples, longitudinal biological study and psychiatric evaluations should be needed to develop a preventive intervention for maladaptive male conscripts in the Korean army.

군에서의 자기계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self-improvement programs in military)

  • 이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11-23
    • /
    • 2015
  • 최근 군에서는 병사들이 보다 나은 환경에서 군 생활을 영위하도록 병영문화정책을 개선해 오고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A사단에서는 모든 병사들이 참여하는 "목표지향적 자기계발프로그램"을 도입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인생목표를 설정한 다음 군에서의 목표뿐 아니라 전역 후 까지 연계해서 자기계발을 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병사들의 목표관리와 자아존중감, 군 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보다 건강한 병영문화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전략들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프로그램 실시를 한 A사단(실험집단)과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B사단(통제집단)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실험집단 257명과 통제집단 231명 등 총 488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검증)와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프로그램을 실시한 장병들이 그렇지 않은 장병들보다 위에서 언급한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부적응 병사들에 대한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Transactional Analysis Group Counselling Program for Maladjusted Soldiers)

  • 박신영;이은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33-642
    • /
    • 2017
  • 본 연구는 교류분석 프로그램이 육군 부적응 병사들의 개인역량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연구로 단일군 전 후 설계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bigcirc}{\bigcirc}$부대 ${\bigcirc}{\bigcirc}$캠프에 참가하고 있는 군 복무부적응 병사 8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10월 15일에서 10월 21일까지였다. 교류분석 프로그램은 1주일에 2회, 1회당 240분(2회기)으로 2주 동안 총 8회기로 진행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실험군에게 사전-사후 자기기입식 설문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Wilcoxon의 부호순위 검정을 이용하였고, 연구결과에서 실험군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개인역량(Z=-2.366, P=.018). 개인역량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Z=-2.047, P=.041), 긍정성(Z=-2.058, P=.040)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개인역량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Z=-1.179, P=.238), 군 입대 동기의 자발성(Z=-1.518, P=.129)과 의사소통 능력은 평균점수가 높아지긴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Z=-1.524, P=.128).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교류분석 집단상담이 개인역량, 자기효능감, 긍정성을 향상시켜 군 적응을 돕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군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군복무적응도 검사와 생체인식지표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Military Service Adaptation Test and Biometric Index to prevent Military Safety Accidents)

  • 최한선;윤종용;최종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5-63
    • /
    • 2022
  •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ilitary Service Adaptation Test and the Biometric Index is studied herein with the aim of preventing military safety accidents. The subjects were 36 soldiers under the age of 25 yea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rvice adaptation test, the soldiers who did not adapt to the service were distinguished.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rain stress among the brain wave indicators of the general group and the group of interest. Second, the higher the left and right brain imbalance index among the brain wave indicators, the higher was the level of empathy shown by the subjects. Third, among the pulse indicators, the subjects with high cumulative fatigue levels were found to have high levels of emotion (anxiety, depression, physicalization) and relationship isolation (indifference, sensitiv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