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jor cultivar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35초

형질전환 벼 이용 품종 조기개발 체계 확립 (Establishment of a New Breeding Scheme for Rapid Release of Variety Using bar Gene Transformed Rice)

  • 원용재;이기환;조준현;고종민;박향미;한창덕;양세준;김순철;남민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7-11
    • /
    • 2004
  • 형질전환 식물체를 직접 이용하기에는 후대에 유전적인 고정 및 포장검정이라는 문제가 대두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바스타저항성 유전자가 도입된 벼와 직파적 응성 계통을 교잡한 후 약배양에 의한 형질전환체 고정 등 기존 육종체계와 연계하여 제초제 저항성 직파적응 계통을 조기에 육성할 수 있는 체계를 확립하고자 수행하였다. 제초제 저항성 직파적응 계통을 조기에 육성하고자 1999년 동계에 교배된 동진벼 Ds15(Ba $r^{R}$)/주남벼 등 5조합으로부터 2000년 $F_1$을 양성하고, 이들을 PCR분석으로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 bar도입을 확인한 후 약배양을 실시하여 얻어진 1,508개의 재분화 식물체 중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가 도입된 169개체 ( $A_2$)에서 채종하였다. 이들을 2001년 포장에 공시하여 42계통을 선발하고,2002년에 동진벼 Ds15 (Ba $r^{R}$)/주남벼 조합에서 수량 등 주요 농업형질이 우수한 7계통을 생산력 검정시험에 공시한 결과 제초제 저항성이면서 직파적응성 등 기타 농업형질이 우수한 YR23235Acp79를 선발하여 밀양 204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결과적으로 형질전환체를 이용하여 교배부터 계통선발까지 3년 만에 목적하는 계통을 조기에 육성할 수 있는 생력육종체계가 확립되었다.

기온과 지온의 차이가 강보리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Soil- and Air-temperatures on Agronomic Characters of a Barley Cultivar Kangbori(Hordeum vulgare L. Emend. Lamark))

  • 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8-363
    • /
    • 1989
  • 맥류 생육기간중 기온과 지온의 차이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맥류 세대단축에 이용코자 온도조절이 가능한 야외생육상안에 토양온도 조절기구를 장치하여 기온 20, 25, 3$0^{\circ}C$에 지온 10, 15, 20, $25^{\circ}C$구를 설정하고, 공시품종은 춘파성 정도가 I인 강보리를 공시하여 시험하였던 바 그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기온이 동일할때는 지온이 높을수록 빨랐다. 2. 경수는 기온 $25^{\circ}C$에 지온 1$0^{\circ}C$구에서 가장 많았으나 이삭수는 기온 2$0^{\circ}C$구에 지온 10~15$^{\circ}C$구에서 가장 많았다. 3. 망장, 수장, 추수도 및 간장은 기온 2$0^{\circ}C$에 지온 1$0^{\circ}C$구와 15$^{\circ}C$로 유지한 구가 가장 길었고, 간장이 길수록 제일절간 비율이 높았다. 4. 단중과 근중은 기온 $25^{\circ}C$에 지온 1$0^{\circ}C$와 15$^{\circ}C$로 한 생육적온에 가까운 온도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나 T/R율은 기온 3$0^{\circ}C$에 지온 10~15$^{\circ}C$로 한 구가 가장 높았다. 5. 수량은 기온 2$0^{\circ}C$에 지온 10~15$^{\circ}C$로한 구가 가장 많았고 기온이 동일한 때에는 지온이 낮은 쪽이 높았다. 6. 기온이 2$0^{\circ}C$로 맥류생육에 알맞더라도 지온이 높으면 맥류생육에는 불리하여 맥류세대촉진을 위한 하계재배시에는 기온도 중요하지만 지온사절이 더 중요하였다.

  • PDF

생강 저장 중의 향기성분 변화 (Changes in Volatile Constituents of Zingiber officinale Roscoe Rhizomes During Storage)

  • 김명곤;이병은;윤세억;김영회;김용규;홍재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1호
    • /
    • pp.1-8
    • /
    • 1994
  • 우리나라 생강의 대표적인 산지인 전북 봉동 지역에서 음저장(평균온도 $15^{\circ}C$, RH 95%) 한 생생강의 저장 기간 및 저장 중 발생한 생강의 싹과 근경 중의 항기성분 SDE장치를 이용하여 향기 성분을 분리하고 GC 및 GC-MS를 이용하여 분석 검토하였다. 생생강 및 저장 생강에 함유되어 있는 essential oil의 조성은 zingiberene, $citronellol+{\beta}-sesquiphellandrene$, ${\beta}-phellandrene$, camphene, geranial, ${\gamma}-bisabolene$, ar-curcumene+geranvl acetate, ${\alpha}-pinene$, ${\beta}-gurjunene$, limonene, neral 등이 주요 향기 성분 이었고, 생강 근경은 저장 기간이 경과할수록 sesquiterpene hydrocarbons 및 oxygenated sesquiterpene과 같은 고분자 물질의 조성비는 감소하는 반면 monoterpene hydrocarbons 저분자 성분들의 조성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Zingiberene, $citronellol+{\beta}-sesquiphellandrene$과 같은 sesquiterpene류는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 추세를 보였던 반면 camphene, ${\beta}-phellandrene$, citral(neral과 geranial) 등과 같은 monoterpene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저장후 약 6개월 후 발생한 생강 싹의 향기 성분 조성은 근경과 상당한 차이를 보였는데 생강 싹의 향기 성분들은 생강 근경에 비하여 terpene hydrocarbon류보다 oxygenated terpene류가 많았다. 성분 조성에서는 생강 향기의 발현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citral성분(neral과 geranial)를 근경에 비해 적었으나 bornyl acetate, ${\beta}-gurjunene$, ar-curcumene+geranvl acetate 등의 함량비가 높아 생강의 부위에 따른 항기 성분 조성 pattern 또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 PDF

경상북도 지방의 기상환경 변화에 따른 상주둥시 감나무의 과실특성 및 수확량 (Effect of Weather Conditions on Fruit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Sangjudungsi' Persimmon Cultivar in Sangju, Gyeongsangbuk-do)

  • 박윤미;김만조;박상병;오성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40-347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상주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상주둥시를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 과실 특성 및 수확량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인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에 사용된 기상환경 요인으로는 5년간 월별 평균기온, 적산온도 및 일 수, 일조시간, 일교차, 강수량 등이 포함되었다. 과실 특성과 기상환경 요인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실 과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기상요인은 생육이 시작되는 시기인 4월과 무게 증가시기인 10월의 일조시간이었다. 당도의 경우는 연 강수일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과중과 마찬가지로 4월, 10월의 일조시간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당 총착과량과 수확량의 경우는 공통적으로 4월의 평균기온이 높을 수록, 10월의 적산일수가 많을 수록 많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과실 품질과 수확량 모두 생육이 시작되는 4월과 10월의 온도와 일조시간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 및 도정도별 보릿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arley Powder Produced from Different Cultivars and with Different Degrees of Milling)

  • 김은희;이윤정;이상훈;장귀영;김민영;윤나라;이미자;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39-644
    • /
    • 2015
  • 본 연구는 보릿가루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5가지 품종의 보리(다한, 흰찰쌀, 흑광, 흑누리 및 보석찰)에 대한 도정도(27, 23, 19 및 15%)별 이화학 특성을 살펴보았다. 조단백질의 함량은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각각 7.38-10.09, 8.01-10.58, 9.47-11.62 및 9.03-12.08%(원맥 9.83-12.92%) 범위에서 증가하였다. 조지방과 조회분 함량 또한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도정후의 조지방 함량은 다한이 높았고 조회분은 흰찰쌀이 높았다. 지방산은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의 함량은 감소하였지만, 올레산 및 리놀레산은 증가하였다. 무기성분은 칼륨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마그네슘, 칼슘, 소듐, 아연, 철 및 망가니즈 순이었다.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칼륨 및 마그네슘 함량은 증가하였다. 도정도를 달리하였을 때 각 품종별로 강층, 호분층 및 배의 제거정도는 차이가 나타나게 되며 이는 영양학적이나 관능적인 보리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보리를 이용한 가공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가공에 적합한 품종을 선정하고 도정도를 결정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품종별 감피의 화학적 성분 특성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of Persimmon Peels According to Cultivars)

  • 김숙경;임정현;김영찬;김미연;이병우;정신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70-76
    • /
    • 2005
  • 곶감 원료용 떫은감(상주둥시, 고종시, 월하시, 청도반시, 함안수시, 평핵무, 횡야)의 과피로부터 유용성분 및 카로티노이드, 총페놀 등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감피의 일반성분 조섬유를 제외하고는 품종별로 차이가 없었다. 유리당으로는 glucose, fructose, sucrose가 확인 되었으며, $Myristic\;acid(C_{14:0}),\;palmitic\;acid(C_{16:0}),\;palmitoleic\;acid(C_{16:1})\;oleic\;acid(C_{18:1})$$linolenic\;acid(C_{18:3})$가 주된 지방산으로 확인되었다.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244.84-371.45 mg/100 g이고,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3.69-28.31 mg/100 g이었다. 감피의 식이섬유중 불용성 식이섬유가 34.89-50.76 g/100 g으로 가용성 식이섬유(2.44-7.09 g/100 g)보다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retinol equivalent(R.E.)은 20.02-60.60 mg/100 g이었으며, 비타민 C는 24.69-106.01 mg/100 g으로 품종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다.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상주둥시가 340.6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총페놀 함량에서도 44.07-196.98 mg/100 g으로 품종간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감피는 카로티노이드, 식이섬유, 페놀화합물 등 유용성분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관행재배구의 유기질 비료의 시용이 배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Fruit Quality of 2-Year Compost Application in a Conventionally Managed Pear Orchard)

  • 이재안;김월수;최현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17-320
    • /
    • 2009
  • 관행재배구의 유기질 비료의 시용이 배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1970년대부터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신고 품종 재배가 급증하기 시작하였고, 2002년 현재 전체 배 재배면적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추석이 빠를 경우 성숙이 덜된 과일을 수확하여 시장에 출하함으로서 품질이 좋지 않은 과일로 인하여 소비가 둔화되고 가격이 떨어져 동양배를 재배하고 있는 농가의 수입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미생물이 들어있는 유기질비료(compost)를 이용하여 추석에 조기 출하되는 신고배의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2년 동안의 compost 처리가 과일에 미치는 영향은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Hunter L값과 a값이 높은 경향을 보여 사람의 눈으로 보기에 더 익은 것처럼 보였고, 더 당도가 상승하고 산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과실의 조기성숙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특히, 유기질 비료는 과실내 석세포 함량을 줄였고 칼슘함량을 높여서, 과실의 육질을 부드럽게 개선시킴으로써, 조기 출하되는 과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다.

Chemometric Approach to Fatty Acid Profiles in Soybean Cultivar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 Shin, Eui-Cheol;Hwang, Chung-Eun;Lee, Byong-Won;Kim, Hyun-Tae;Ko, Jong-Min;Baek, In-Youl;Lee, Yang-Bong;Choi, Jin-Sang;Cho, Eun-Ju;Seo, Weon-Taek;Cho, Kye-M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3호
    • /
    • pp.184-19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tty acid profiles in 18 soybean cultivars grown in Korea. A total of eleven fatty acids were identified in the sample set, which was comprised of myristic (C14:0), palmitic (C16:0), palmitoleic (C16:1, ${\omega}7$), stearic (C18:0), oleic (C18:1, ${\omega}9$), linoleic (C18:2, ${\omega}6$), linolenic (C18:3, ${\omega}3$), arachidic (C20:0), gondoic (C20:1, ${\omega}9$), behenic (C22:0), and lignoceric (C24:0) acids by gas-liquid chromatography with flame ionization detector (GC-FID). Based on their color, yellow-, black-, brown-, and green-colored cultivars were denoted. Correlation coefficients (r) between the nine major fatty acids identified (two trace fatty acids, myristic and palmitoleic, were not included in the study) were generated and revealed an inverse association between oleic and linoleic acids (r=-0.94, p<0.05), while stearic acid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arachidic acid (r=0.72, p<0.05).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f the fatty acid data yielded four significant principal components (PCs; i.e., eigenvalues>1), which together account for 81.49%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data set; with PC1 contributing 28.16% of the total. Eige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matrix loadings of the four significant PCs revealed that PC1 was mainly contributed to by oleic, linoleic, and gondoic acids, PC2 by stearic, linolenic and arachidic acids, PC3 by behenic and lignoceric acids, and PC4 by palmitic acid. The score plots generated between PC1-PC2 and PC3-PC4 segregated soybean cultivars based on fatty acid composition.

감나무 수령과 감꽃 기관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Persimmon Flower according to Tree Age and Floral Organ)

  • 김지혜;홍세진;신일섭;엄향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1-328
    • /
    • 2014
  • 본 연구는 감꽃의 주요 향기성분을 알아보기 위해서 감나무 수령별로 감꽃의 향기성분을 SPME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기관을 꽃과 꽃받침으로 분류하여 향기성분을 비교하였다. 감나무 수령별 감꽃의 만개율은 15년생 이상, 10-14년생, 5-9년생 순으로 수령이 오래될수록 초기 만개율이 높았다. 감나무 수령에 따른 감꽃 향기성분 분석 시 동정된 주요 향기 성분은 a-pinene, butene, caryophyllene, cubebene, lavandulol, D-limoneneylangene, ylangene 등의 성분을 얻을 수 있었다. 대부분이 green향, fruit계, floral계의 옅은 향도 포함하고 있었다. 감꽃에 존재하는 휘발성 향기성분의 수는 5-9년생은 30종, 10-14년생은 24종, 그리고 15년생 이상에서는 32종으로 수령이 5년 미만과 15년 이상에서 많은 향기성분이 조사되었다. 감꽃을 꽃받침과 나누어 향기성분을 비교하면 단감 '부유' 품종 중 꽃의 향기 성분은 10개이고 상대적인 총 함량은 26.35%이며, 꽃받침은 향기 성분은 14개이고 상대적인 총 함량은 46.28%로 꽃에 비해서 더 다양한 향기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떫은감 '둥시' 품종은 꽃에서는 6개의 향기성분이 17.58%, 꽃받침에서는 9개의 향기 성분이 50.27%로, '부유' 품종에 좀더 다양한 향기성분이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감꽃 향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향기산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체리 '좌등금'의 과실표면 구조 관찰과 강우가 열과발생에 미치는 영향 (Structual Observation of Fruit Skin and Influence of Rainfall Inducing Fruit Cracking in 'Sato Nishiki' Sweet Cherry)

  • 윤익구;남은영;신용억;윤석규;문병우;최철;강희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82-386
    • /
    • 2010
  • 체리는 과실성숙기 강우로 인해 해에 따라 열과가 심하게 발생하여 재배 상 문제가 되고 있어 해(2004~2007)에 따른 강우와 열과발생과의 관계와 체리 '좌등금'의 과실표면 관찰 및 과실 크기에 따른 열과반응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실의 열과 형태는 과경부, 과정부 및 측면 열과로 관찰되었고 발생양상은 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2004년은 과정부열과가 2005~2007년은 과경부열과가 많았다. 열과발생이 많았던 2004년(31.8%)과 2006년(28.6%)은 열과 발생이 낮았던 해에 비하여 5월 상순 강우량이 현저히 많았다. '좌등금'의 과피조직 특성중 아표피층은 유과기인 만개후 15일에는 2~3층 이었고 성숙기인 만개후 35일에는 1~2층으로 매우 얇았으며 열과가 많이 일어나는 과경부에는 큐티클층이 그리고 과정부에는 꽃이 탈락되어 생긴 코르크에서 미세균열 현상이 관찰되었다. 과실크기별 구분하여 물에 침지하였을 때 큰 과실(6g 이상)에서 작은 과실(4.5g 이하)에 비하여 열과반응 시간이 빨랐고 열과율도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