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jor composition

검색결과 2,730건 처리시간 0.027초

창포(Acorus calamus L. )뿌리 건조분말의 식품학적 성분 (II)지방산, 유기산, 무기질, 비타민 C, 총페놀 및 사포닌 (Food Nutritional Compositions in Dried Powder of Root of Acorns calamus L. (II) Fatty Acids, Organic Acids, Minerals, Vitamin C, Total Phenolics and Saponin)

  • 김준한;구건효;김종국;이진만;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80-384
    • /
    • 2002
  • 창포의 뿌리를 주근(main root)과 측근(lateral root)으로 분리하여 3$0^{\circ}C$ 열풍건조분말의 주된 포화지방산으로는 caprylic acid, pentadecanoic acid, stearic acid 및 heneicosanoic acid 등 10종이 확인되었고, 이들은 각각 주근과 측근의 경우 caprylic acid가 28.35%, 31.44%이었고, 불포화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 palmitoleic acid 및 linolenic acid 등 6종이 확인되었고 이들 중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인 linoleic acid가 주근에 25.55%, 측근에 23.43%가 함유되어 있었다. 주요 유기산으로는 주근과 측근에 succinic acid, malic acid 및 citric acid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특히 succinic acid가 주근과 측근에서 각각 2,790 mg%, 2,630 mg%로 높은 함량을 함유하고 있었다. 무기질로는 K, Ca, p, Mg, Na, Fe, Zn, Mn, Cu 등 9종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창포뿌리의 주된 무기질로 확인된 K의 함량은 측근에 454 mg%로 주근의 194 mg% 보다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Ascorbic acid 함량은 주근과 측근에 각각 113.8 $\mu\textrm{g}$/g, 125.1 $\mu\textrm{g}$/g을 함유하고 있었고, 총페놀성 물질 함량은 주근에 463 mg%, 측근에 474 mg%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며 조사포닌의 함량은 주근에 2.51%, 측근에 3.39%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케톤음료를 보충한 저탄수화물·고지방식이 섭취가 치매고위험 노인의 인지기능 및 신체활동 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carbohydrate and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Ketogenic Drink on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Performance in the Elderly at High Risk for Dementia)

  • 김은지;박정식;최원선;박유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25-534
    • /
    • 2019
  • Objectives: Reduced glucose utilization in the main parts of the brain involved in memory is a major cause of Alzheimer's disease, in which ketone bodies are used as the only and effective alternative energy source of gluc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low-carbohydrate and high-fat (LCHF) diet supplemented with a ketogenic nutrition drink on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activity in the elderly at high risk for dementia.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8 healthy elderly aged 60-91 years showing a high risk factor of dementia or whos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score was less than 24 points. Over 3 weeks, the case group was given an LCHF diet with nutrition drinks consisting of a ketone/non-ketone ratio of 1.73:1, whereas the control group consumed well-balanced nutrition drinks while maintaining a normal diet. After 3 weeks, K-MMSE, body composition, urine ketone bodies, and physical ability were all evaluated. Results: Urine ketone bodies of all case group subjects were positive, and K-MMSE score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case group only (p=0.021). Weight and BMI were elevated in the control group only (p<0.05). Grip strength was elevated in all subjects (p<0.01), and measurements of gait speed and one leg balance were improved only in the case group (p<0.05). Conclusions: We suggest that adherence to the LCHF diet supplemented with a ketogenic drink could possibly influence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 in the elderly with a high risk factor for dementia. Further, we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this dietary intervention in the elderly based on its lack of any side effects or changes in nutritional status.

Genetic and phenotypic relationships of live body measurement traits and carcass traits in crossbred pigs of Korea

  • Do, Chang-Hee;Park, Chan-Hyuk;Wasana, Nidarshani;Choi, Jae-Gwan;Park, Su-Bong;Kim, Si-Dong;Cho, Gyu-Ho;Lee, Dong-Hee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3호
    • /
    • pp.229-236
    • /
    • 2014
  • This study presents the estimates of heritabilities of body measurement traits and carcass traits, and genet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of those traits for crossbred pigs in Korea. Body and ultrasound (A mode: Piglog 105) measurements in 221 pigs including body weight, length, height and width, three back fat thickness at the points of 4th, 14th rib and chine bone, eye muscle area and lean meat percent were collected at the ages of 70, 145 and 180 days and then slaughtered to measure carcass weight, back fat, belly, collar butt, spare rib, picnic shoulder, hind leg, loin, tenderloin, lean meat yield and intramuscular rough fat content in loin. Genetic analysis was done using a multi-trait animal model. Heritabilties of the body measurements were ranged from 0.331 to 0.559 and three measurements of back fat thickness were also high as range varying from 0.402 to 0.475 for the ages of 145 and 180 days. However, eye muscle area was moderate (0.296) at the age of 180 days. Heritabilities of retail cut yields were also high as ranged from 0.387 to 0.474 and of IMF content in loin was 0.499. Heritabilities of the cut percent traits were ranged from 0.249 to 0.488. Important positive genet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were noted for all carcass yield traits (0.298 to 0.875 and 0.432 to 0.922, respectively). IMF showed low negative genetic correlations with carcass yield traits, such as carcass weight, picnic shoulder, hind leg, loin, tenderloin and lean meat yield whereas low positive genetic correlations with back fat, belly, collar butt and spare rib. Loin, tenderloin and lean meat percent showed negative genetic correlations with carcass weight, back fat thickness, collar butt, spare rib and picnic shoulder percent. The four body measurements at the ages of 70, 145 and 180 days had positive genetic correlations with belly, shoulder butt, spare rib, picnic shoulder and hind leg percent, but negative genetic correlations were shown with loin and tenderloin percent except body measurements at 70 days. The results suggest that carcass yield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ramuscular fat content, which is a major factor deciding pork quality and the yield of loin and tenderloin are not increased as much as increase in body size. However, the proportions of belly and collar butt are increased with the body size. In conclusion, selection strategy sh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n composition of carcass in each country.

THE EFFECT OF THE BIORESORBABLE COLLAGEN MEMBRANE ON THE REGENERATION OF BONE DEFECT BY USING THE MIXTURE OF AUTOGRAFT AND XENOGRAFT BONE

  • Lee Jung-Min;Kim Yung-Soo;Kim Chang-Whe;Han Jung-Suk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25-341
    • /
    • 2003
  • Statement of problem: In cases where bony defects were present, guided bone regenerations have been performed to aid the placement of implants. Nowadays, the accepted concept is to isolate bone from soft tissue by using barrier membranes to allow room for generation of new bone. Nonresorbable membranes have been used extensively since the 1980's. However, this material has exhibited major shortcomings. To overcome these faults, efforts were made to develop resorbable membranes. Guided bone regenerations utilizing resorbable membranes were tried by a number of clinicians. $Bio-Gide^{(R)}$ is such a bioresorbable collagen that is easy to use and has shown fine clinical results.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istological results of guided bone regenerations performed using resorbable collagen membrane($Bio-Gide^{(R)}$) with autogenous bone, bovine drived xenograft and combination of the two. Surface morphology and chemical composition was analyzed to understand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bioresorbable collagen membrane and their effects on guided bone regeneration. Material and methods: Bioresorbable collagen membrane ($Bio-Gide^{(R)}$), Xenograft Bone(Bio-Oss), Two healthy, adult mongrel dogs were used. Results : 1. Bioresorbable collagen membrane is pure collagen containing large amounts of Glysine, Alanine, Proline and Hydroxyproline. 2. Bioresorbable collagen membrane is a membrane with collagen fibers arranged more loosely and porously compared to the inner surface of canine mucosa: This allows for easier attachment by bone-forming cells. Blood can seep into these spaces between fibers and form clots that help stabilize the membrane. The result is improved healing. 3. Bioresorbable collagen membrane has a bilayered structure: The side to come in contact with soft tissue is smooth and compact. This prevents soft tissue penetration into bony defects. As the side in contact with bone is rough and porous, it serves as a stabilizing structure for bone regeneration by allowing attachment of bone-forming cells. 4. Regardless of whether a membrane had been used or not, the group with autogenous bone and $Bio-Oss^{(R)}$ filling showed the greatest amount of bone fill inside a hole, followed by the group with autogenous bone filling, the group with blood and the group with $Bio-Oss^{(R)}$ Filling in order. 5. When a membrane was inserted, regardless of the type of bone substitute used, a lesser amount of resorption occurred compared to when a membrane was not inserted. 6. The border between bone substitute and surrounding bone was the most indistinct with the group with autogenous bone filling, followed by the group with autogenous bone and $Bio-Oss^{(R)}$ filling, the group with blood, and the group with $Bio-Oss^{(R)}$ filling. 7. Three months after surgery, $Bio-Gide^{(R)}$ and $Bio-Oss^{(R)}$ were distinguishable. Conclusion: The best results were obtained with the group with autogenous bone and $Bio-Oss^{(R)}$ filling used in conjunction with a membrane.

김득연의 <산중잡곡> 연구 - 지수정 경영과 관련하여 - (Study on Sanjungjapgok(山中雜曲) written by Kim Deuk-yeon(金得硏))

  • 남동걸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43권
    • /
    • pp.123-148
    • /
    • 2015
  • 김득연은 조선 중기를 살다간 인물로 관직에 나아갈 능력은 있었지만, 선조의 유지를 좇아 평생을 처사의 몸으로 살아간 인물이다. 그는 자신이 건립한 누정인지수정에서 많은 창작활동을 했는데, 시조 <산중잡곡>은 그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그가 경영한 지수정과 상당한 연관이 있다고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산중잡곡>을 김득연의 지수정 경영 목적과 관련하여 분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조선 중기는 고위관료의 전유물이었던 누정이 처사층까지 확대된 시기로, 김득연 역시 누정 경영에 대한 열망이 컸던 듯하다. 이에 30년 가까이 준비하여 60이 넘은 나이에 어렵게 지수정을 건립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지수정에 대한 애착이 상당하여 그의 만년 생활 대부분이 이곳에서 이루어진 듯하다. <산중잡곡>은 49수(혹은 53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사 <지수정가>를 지은 후 남은 뜻이 있어 창작한 작품이다. 동일한 제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연시조로 보기에는 그 연관성이 긴밀하지 못하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전혀 무관한 작품은 아니며, 연시조를 선호하는 그의 성향으로 보아 2~6수로 구성된 연시조 14편이 이어진 연작시조로 보았다. 이를 다시 긴밀성 있는 것들로 묶어보니 '산수자연의 감상', '학문수양과 강학', '시회와 계회', '유식과 자락' 등 크게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16~17세기 사설누정의 일반적인 기능과 거의 일치하는 이 4가지의 유형을 통해 작품을 분석한 결과, 김득연은 가사 <지수정가>에는 소략하게 서술했거나 싣지 못했던 내용들을 위주로 창작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김득연이 지역사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는 점과 누정을 경영하면서 만년을 보내고 있다는 점에 상당한 만족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능이버섯의 맛 성분과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and Nonvolatile Taste Components in the Wild Mushroom Sarcodon aspratus (Berk.) S. Ito)

  • 홍주연;신승렬;문용선;이승언;윤경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770-776
    • /
    • 2010
  • 본 연구는 능이버섯의 식품학적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써 능이버섯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기호성분을 분석하였다. 단맛에 관여하는 유리당은 glucose, trehalose, sucrose, xylose가 검출되었고 총 함량은 202.5 mg/kg이었다. 단맛, 쓴맛 및 감칠맛에 관여하는 아미노산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필수아미노산과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1,249.5 mg/kg과 2,592.1 mg/kg으로 나타났다. 버섯의 5'-nucleotide 함량을 분석한 결과, 감칠맛에 관여하는 5'-nucleotide의 함량은 773.4 mg/kg으로 측정되어 총 5'-nucleotide의 30.8%를 차지하였다. 능이버섯의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6종의 alcohol류, 4종의 ketone류, 8종의 aldehyde류 및 3종의 함황화합물을 비롯하여 총 27종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이 중 1-octen-3-ol이 전체 향기성분의 68%를 차지하였고, 2-octen-1-ol, 1-octen-3-one 그리고 2-octenol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능이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식품재료로서의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신안산 손바닥선인장 부위별 성분 분석 (Analysis of Components in the Parts of Opuntia ficus indica from Shinan Korea)

  • 조인경;진성우;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42-746
    • /
    • 2009
  • 신안산 손바닥선인장의 수분함량은 열매 71.18%, 줄기 74.85%로 나타났고, 조단백질 함량은 줄기가 3.48%로 높았으며, 조섬유 또한 줄기가 2.58%로 열매 1.54%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고, 조회분, 조지방은 열매와 줄기 모두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신안산 손바닥선인장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maltose는 소량 검출되었고, 유기산은 tartar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가 검출되었고 citr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위별 함량은 유리당, 유리산 모두 열매가 줄기보다 높게 나타났다. 신안산 손바닥선인장의 무기성분은 K의 함량이 178.61~254.71 mg%로 가장 높았고 열매가 줄기보다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함량은 구성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 모두 Glutamic acid의 함량이 357.10~654.82 mg%와 218.25-263.32 mg%로 가장 높았으며 열매보다 줄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주목(Taxus cuspidata) 개체군의 구조와 동태 (Structure and Dynamics of Taxus cuspidata Populations)

  • 전영문;홍문표;이나연;서은경;이승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3-131
    • /
    • 2012
  • 본 연구는 설악산, 덕유산, 한라산국립공원의 아고산대에 분포하는 주목개체군의 군락구조와 종조성, 개체군동태, 연륜생장을 조사, 분석하였다. 각 조사지별 계층구조는 덕유산과 한라산은 교목층이 없는 3층구조를, 설악산지역에서는 4층구조로 분포하였다. 중요치를 통한 주요 분포 수종은 주목을 비롯하여 시닥나무, 신갈나무, 구상나무, 마가목 등으로 나타났다. 주목의 개체(DBH > 5 cm) 밀도는 한라산지역에서 986.0개체/ha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 흉고직경은 설악산지역이 42.0 cm로 대경목의 개체들이 주로 분포하였다. 유묘와 치수, 그리고 후계목으로서 유목의 밀도는 357.3개체/ha와 128.6개체/ha로 한라산지역에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흉고직경 분포에서는 한라산지역의 주목개체군이 역J자형의 유형을 보이고 있어 현 식생상태의 지속적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평균 연륜생장은 설악산, 덕유산, 한라산지역이 1.27 mm/연, 0.93 mm/연, 0.89 mm/연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원료 첨가를 달리한 오가피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Ogapi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 최향숙;민경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25-53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원료 첨가(오가피, 영지버섯, 솔잎 및 홍삼)를 달리하여 오가피주를 제조하여 영양성분 및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고 기타 주류의 품질요인에 관여하는 요인들을 평가하고 관능검사를 수행함으로서, 제조한 오가피주의 다양한 품질 평가를 수행하여 민속주로의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주정도는 오가피 및 기타의 기능성 소재의 함량을 달리한 4가지 시료에서 각각 14.5-15.3%로 큰 차이를 볼 수는 없었다. 총 유기산 함량은 오가피주가 일반 약주 보다 훨씬 많은 양이 검출되었으며 반면 오가피 및 기타 기능성 소재를 첨가한 시료에서 citric acid와 tartaric acid는 오히려 약간 양이 감소한 것으로 보여졌다. 오가피주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histidine이 가장 많았으며, 총 유리아미노산 및 유리당 함량은 시료 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료 A 및 B에서는 총 49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동정되었고 시료 C와 D에서는 각각 48 및 31종의 성분이 동정되었다. 무첨가군인 시료 D의 경우 alcohol류의 함량이 다른 군에 비해 높게 보여졌으며 ethanol의 함량이 79.59%로, iso-butyl alcohol이 0.35%로 다른 군에 비해 높게 보여졌다. 오가피, 영지버섯, 솔잎 및 홍삼이 함유된 시료 A, B, 및 C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테르펜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이는 주류 고유의 향기성분 외에 첨가된 오가피, 영지버섯, 솔잎 및 홍삼에 의해 더욱 다양한 향기성분이 나타난 것으로 생각되는데, 특히 ${\alpha}-copaene$의 함량이 시료 D에서보다 A, B 및 C에서 2배 이상 높게 다량 확인되었다. GC-O를 이용하여 향기성분을 관능적으로 동정한 결과 기능성 소재의 배합 비율에 따라 소비자가 느끼는 관능적 특성은 상당히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가피 함량이 높은 술일수록 명도가 높아 밝고 황색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고, 오가피를 0.1%첨가한 오가피주가 좋은 맛과 감칠맛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대만 산 애플 망고와 필리핀 산 카라바오 망고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aiwan Apple Mango and Philippines Carabao Mango)

  • 안미란;금영수;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91-197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주로 판매되고 있는 망고 품종의 이화학적 특성과 망고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화합물 조성을 비교하였다. 품종이 다른 대만 산 애플 망고와 필리핀 산 카라바오 망고의 조회분을 제외한 일반성분은 대부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수분과 조지방은 애플 망고에서 높았으며, 조단백과 탄수화물은 카라바오 망고에서 높았다. 유리당 함량은 두 품종에서 sucrose, fructose, glucose의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으나 함량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maltose, lactose, galact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SPME 추출법으로 확인된 휘발성 향기성분은 대만 산 애플 망고, 필리핀 산 카라바오 망고에서 각각 56종, 59종을 확인할 수 있었고,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함량은 각각 59.45, 37.25%이 추출되었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종류 및 함유량에서 테르펜류 및 그 유도체의 종류 및 함유량 모두가 높았고 ester류 화합물이 다음으로 높았으며 함유량에서는 품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테르펜류와 그 유도체 함유량은 대만 산 애플 망고에서 94.42%로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고, 필리핀 산 카라바오 망고에서는 63.79%로 차이를 보였다. 필리핀 산 카라바오 망고는 acetic acid, hexanoic acid, octanoic acid, palmitic acid 등의 acid류 화합물이 품종이 다른 대만 산 애플 망고의 휘발성 향기성분과 비교하여 종류 및 함유량에서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대만 산, 필리핀 산 망고 모두에서 ${\delta}$-3-carene의 함량이 각각 17.78, 8.11%로 확인되어 동정된 화합물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대만 산애플 망고의 경우 ${\alpha}$-copaene, ${\alpha}$-guaiene, germacrene D, ${\alpha}$-bulnesene, ${\gamma}$-gurjunene 등이, 필리핀 산 카라바오 망고는 ${\beta}$-myrcene, ${\alpha}$${\beta}$-phellandrene, ${\alpha}$-terpinolene, cis-3-hexenyl butyrate 등이 특징적인 화합물로 확인되어 이는 품종에 따른 망고 향기성분의 특징을 구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