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intaining the instream flow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하천유지용수의 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ions of Instream Flow)

  • 이진원;오규창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1989년도 수공학논총 제31권
    • /
    • pp.71-78
    • /
    • 1989
  • 본 연구는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하천유지용수의 개념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진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개념들을 조사분석하고 우리나라에 알맞는 하천유지용수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 PDF

하천유지유량 결정 방법의 개발 및 적용:I. 산정 방법 (Developmen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Instream Flow and Its Application: I. Estimation Method)

  • 김규호;이진원
    • 물과 미래
    • /
    • 제29권4호
    • /
    • pp.161-176
    • /
    • 1996
  • 기존 하천유지유량 결정 방법을 문헌 조사와 항목별 조사 방법 등을 통해 검토하고,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산정 가능한 항목과 방법에 따라 하천유지유량 결정 방법의 개발 방향을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에 필요한 주요 항목별 필요유량 결정 방법, 구간 및 대표지점에 대한 하천유지유량과 하천관리유량의 결정 방법을 개발하였다. 고려한 항목은 주로 갈수량, 수질 보전, 어류 서식처의 복원 및 보전, 하천 경관, 수상 이용 등이고, 이와 같은 하천의 자연 및 인위적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하천 유지유량의 결정방법은 효율적인 하천관리에 필요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하수처리수의 하천유지용수 활용을 위한 역순환시스템의 비교 (The Inverse Circulation System for Using Treated Waste Water as Instream Flow)

  • 김기형;최계운;안태진;김진홍;심명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5호
    • /
    • pp.863-87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유지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하수처리장에서 처리하여 방류하는 하수처리수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고 이를 하천유지용수로 직접 활용하기 위하여 역순환시스템의 활용을 검토하였다. 역순환시스템은 하천 하류에 위치한 하수처리장으로부터 방류되는 하수처리수를 펌핑하여 하천상류부로 이송함으로써 하천에 부족한 유지유량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이송방안을 조합하여 하천의 특성에 맞는 최적의 시스템을 구성하고 간단한 수처리를 적용함으로서 하수처리수의 수질을 추가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이송된 하수처리수를 하천에 유입시키는 방안들은 시각적으로 친수적인 경관을 제공하고 폭기 등에 의한 수질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하수처리수를 활용한 역순환시스템을 하천유지용수확보에 적용하기 위하여 국내 하수처리장의 처리수 활용실태 및 수질 상태 등을 검토하였고, 국내의 하수처리수 활용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외국의 유사사례 조사를 통해 국내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실제 하천을 대상으로 역순환시스템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수량.수질 모의치를 이용한 어류 서식 조건 유지에 필요한 적정 유량 산정 (Estimation of Suitable Flow Needs for Maintaining Fish Habitat Conditions Using Water Quantity and Quality Simulation)

  • 김규호;조원철;전병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3-14
    • /
    • 2000
  • 본 연구는 최근 하천유지유량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하천생태계에서 어류 서식처를 보전하고 복원하는데 필요한 적정 유량을 산정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어류 서식처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연과 월갈수량을 산정한다. 이 갈수량을 이용하여 점변 흐름에서 어류 서식처 제공에 필요한 수심과 유속을 모의하고, 또한 수온과 용존산소를 예측한다. 예측된 각 갈수량별 서식 조건과 각 성장단계별 어류 서식처 요구 조건을 도식적으로 비교하다. 이 과정을 남한강의 달철 본류에 위치한 3개 여울 구간에 적용하였다. 달천의 대표어종으로 피라미를 산정하였다. 달천의 피라미(Zacco paltypus)성장단계별 서식처 유지를 위한 적정유량은 수질보다는 수리 조건에 좌우되며, 그 양은 10년 빈도 연갈수량에서 2.33년 빌도 7일 연속갈수량까지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댐 운용을 통한 팔당댐의 하천용수 공급가능량 분석 (The Analysis of Potential Discharge to Supply the Stream Water Discharge in Paldang Dam by Dam Operation)

  • 최계운;김영규;함명수;황영만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6호
    • /
    • pp.121-128
    • /
    • 2008
  • 하천유지유량은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유량으로 특정지점에 필수적으로 공급해야 할 유량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수량의 계절적 편기가 심하기 때문에 갈수기인 1월부터 4월까지 강수량이 극히 부족하여 물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이 기간 중에 자연유출량으로 하천유지유량을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댐의 저수유량을 이용하여 하천유지유량을 공급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갈수기에 하천유지유량을 유지하면서 공급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수질 악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류의 대규모 저류지로부터 하천유지유량과 추가 공급이 가능한 유량에 대하여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한강유역을 총 33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으며, SWAT-K를 이용하여 각 소유역에서 발생되는 자연유출량을 모의하였으며, 용수수요량은 과거 용수사용량 자료를 이용하여 장래수요량을 추정하였다. 팔당댐지점에 유량을 공급하는 대규모 저류지는 남한강의 충주댐과 북한강의 소양강댐이 있는 것으로 고려하였으며 각각의 댐에서 물을 공급하는 경우와 동시에 공급하는 경우에 대하여 하천용수 공급가능량을 분석하였다.

둑높이기 농업용저수지의 운영을 통한 하천 수질개선 효과 분석 (Analysi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Downstream River of Heightening Irrigation Dam through the Reservoir Operation)

  • 지용근;이미선;이진희;장재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9호
    • /
    • pp.929-941
    • /
    • 2012
  • 최근 농업용저수지를 포함한 농촌지역 하천의 친수활동이 증가하면서 농촌수계의 경관, 수질 및 생태보전 등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이로 인해 농촌지역 용수수요 다변화와 물 부족 심화현상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수자원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농업용저수지 둑높이기 사업은 추가로 필요한 농업용수뿐만 아니라 하천 수질개선을 위한 하천유지용수 확보를 위해 필요한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운영계획 및 운영방안이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낙동강의 특정 소유역을 대상으로 농업용저수지 둑높이기 사업을 통해 확보할 수 있는 추가 저수량을 검토하였고 저수지 운영방안에 따라 하천유지용수로 방류할 경우 하류하천 수질개선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저수지 운영시나리오에 따른 추가적인 물공급량 확보는 하류하천 수량과 수질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유량은1~8%의 증가효과와2~10%의수질개선효과를나타냈다. 특히, 저수지 운영상 2월에서 4월 사이에 추가로 방류를 실시할 수 있으며, 하천의 수량 및 수질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농업용저수지의 수질은 지류하천뿐만 아니라 낙동강 본류 수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저수지 수질개선 및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Blue dam을 활용한 기존 댐 시설물 상수도 원수 추가 확보 방안 (The method of securing water supply resources of existing dam by using Blue dam)

  • 추태호;윤현철;윤관선;권용빈;심수용;채수권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43-249
    • /
    • 2015
  • To improve stability of the water resources that were serious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and various environmental effects and to supply the clean water always, continuous efforts are essential. Provision of measures with respect of hardware is basically essential to improve the water resources stability due to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 in Korea. However, building a new dam becomes gradually very difficult because of a hardship in selecting right places, opposition forces such as environment and local residents, negative publicity for large civil engineering projects, and so on. The present study, therefore, proposes the Blue dam as an alternative for securing the water resources of a new concept considering domestic condition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Blue dam, the Hec-ResSim model is used and the probabilistic discharge flow rate is applied. As a result, when Dam Yeongcheon is applied as a study area, securing water resources of 14 million tons are predicted be secured and the flood control of 15.4 million tons is expected, in comparison with operation of the existing dam only. Consequently, Blue dams are supposed to carry out the function of securing water resources, controling flood, maintaining eco-environmental instream flow, generating hydroelectric power, and providing spaces for recreational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