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gneto-optic effect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1초

표면 자기광 커 효과의 이해 (Understanding the Surface Magneto-optic Kerr Effect)

  • 황찬용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41-146
    • /
    • 2011
  • 지난 20여년간 표면자성 현상의 연구에 가장 도움이 많이 되었던 실험방법중 하나인 표면 자기광 커효과(Surface magneto-optic Kerr effect, SMOKE) 실험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단일층의 철막이 강자성이 되는지, 또 큐리(Curie)온도는 bulk와 비교하여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자화 용이축(easy-axis)은 어느 방향인지 등 매우 기본적인 자성박막의 특성은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 분야의 연구에 가장 기본적인 정보이다. 표면 자기광 커 효과(SMOKE)는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을 줄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다.

Fomation and Properties of Multiple-Tone Spatial Light Modulator using Garnet Film with In-Plane Magnetization

  • Tsuzuki, A.;Uchida, H.;Takagi, H.;Lim, P.B.;Inoue, M.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1권3호
    • /
    • pp.143-146
    • /
    • 2006
  • We attempted to fabricate a new type of magneto optic spatial light modulator (MO-SLM) for multiple-tone modulation by using in-plane magnetization. In the MO-SLM, magnetic property of magneto-optical layer was modified to be suitable for multiple-tone expression by substituting Al in Bi:YIG film. At a driving current to 28 mA in an electrode of the fabricated MO-SLM, changes in brightness of pixels were observed using a polarization microscope.

Magnetic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ultrathin magnetic films: Ni/Pt(111)

  • Nahm, T.U.;Oh, S.J.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2권S1호
    • /
    • pp.17-20
    • /
    • 2003
  • We have studied magnetic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ultrathin Ni films grown on PI(lII) surface using in situ surface magneto-optic Kerr effect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Perpendicular magnetic anisotropy was absent, and longitudinal Kerr signal was only detectable for Ni films thicker than 6 monolayers. Enhancement in longitudinal Kerr signal by 30% was achieved by post-annealing at temperatures below 800K, but upon annealing at 820K, surface alloy was formed. By using core-level binding-energy shifts, the composition was determined to be Ni 70 at. %.

파라핀이 코팅된 Rb 증기 셀에서 비선형 광자기 효과 신호 (Nonlinear Magneto-optic Effect in the Paraffin Coated Rb Vapor Cell)

  • 이현준;유예진;배인호;문한섭
    • 한국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49-25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파라핀이 코팅된 Rb원자 증기 셀을 이용하여 $^{87}Rb$ $D_1$전이선의 Hanle스펙트럼과 비선형 광자기 효과 신호를 조사하였다. 파라핀 코팅 증기 셀의 효과에 의한 좁은 스펙트럼 폭을 가진 영역과 순수 증기 셀에서 얻을 수 있는 넓은 스펙트럼폭을 가진 이중구조의 Hanle 스펙트럼을 관측할 수 있었다. 스펙트럼에 나타난 이중구조에서 좁은 선폭 영역의 선폭은 1 kHz로 측정되었고, 스펙트럼 크기는 전체 스펙트럼에 대해서 10%로 측정되었다. 또한, Hanle 스펙트럼에 대응되는 이중 미분형태의 비선형 광자기 신호를 관측하였으며, 기울기가 급격하게 변하는 비선형 광자기 신호의 기울기는 레이저의 출력이 $200{\mu}W$일 때 대략 10 mV/${\mu}T$였다.

Rb D1 전이선에서 원자결맞음에 의한 비선형 광자기 효과 (Nonlinear magneto-optic effect based on atomic coherence in Rb D1-line)

  • 문한섭;이원규;안문희;김중복
    • 한국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12
    • /
    • 2005
  • 우리는 버퍼 가스가 포함된 Rb 원자 증기셀을 이용하여 $^{87}$ Rb원자 D$_1$전이선에서 원자결맞음에 의한 비선형 광자기 신호를 관측했다. 측정된 가장 좁은 비선형 광자기 신호의 선폭은 2$\pi$${\times}$464 Hz이고, 이 때 비선형 광자기 효과에 의한 미분형 신호의 peak-to-peak 변화에 해당하는 자기장의 변화는 약 1 mGauss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감도 자기장 측정을 위한 광자계 연구에 응용될 수 있다.

87Rb D1 전이선에서 원자결맞음을 이용한 비선형 광자기 효과 신호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nonlinear magneto-optical effect based on coherent population trapping in the D1 line of Rh atoms)

  • 이림;문한섭;김중복
    • 한국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
    • /
    • 2006
  • 우리는 6.7 kPa의 네온 버퍼가스가 포함된 루비듐 증기셀을 이용하여 $^{87}Rb$원자 $D_1$ 전이선에서 레이저의 세기, 증기 셀의 온도, 전이 선에 따른 비선형 광자기 신호(NMOE)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비선형 광자기 신호는 레이저의 세기와 증기셀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F=2$\to$F'=2 전이선에서는 광자기 신호의 크기와 선폭이 증가하였지만, F=2$\to$F'=1 전이선에서는 확대 없이 신호의 크기만 증가됨으로써 자장 측정 민감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를 자기부준위 사이에서의 원자결맞음 구도의 차이로 설명하였다. 관측된 최적 조건에서 자기장변화에 대한 민감도는 $70pT/\sqrt{Hz}$ 이하로 계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