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gnetic silica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9초

Characterization of SnO2 thin films grown by pulsed laser deposition under transverse magnetic field

  • Park, Jin Jae;Kim, Kuk Ki;Roy, Madhusudan;Song, Jae Kyu;Park, Seung Min
    • Rapid Communication in Photoscience
    • /
    • 제4권3호
    • /
    • pp.50-53
    • /
    • 2015
  • $SnO_2$ thin films were deposited on fused silica substrate by pulsed laser deposition under transverse magnetic field. We have explored the effects of magnetic field and ablation laser wavelength on the optical properties of laser-induced plasma plum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eposited $SnO_2$ films. Optical emission from the plume was monitored using an optical fib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gnetic field on the population of the excited neutral and ionic species and their decay with times after laser ablation. Also, we employed photoluminescence, x-ray diffraction, and UV-Vis absorption to characterize $SnO_2$ films.

Laser Ablation of a ZnO:P2O5 Target under the Presence of a Transverse Magnetic Field

  • Alauddin, Md.;Park, Jin-Jae;Gwak, Doc-Yong;Song, Jae-Kyu;Park, Seung-M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4호
    • /
    • pp.798-802
    • /
    • 2010
  • From time-resolved optical emission spectra,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transverse magnetic field on the expansion of a plasma plume produced by laser ablation of a ZnO:$P_2O_5$ ceramic target in oxygen active atmosphere. The emission spectra of $Zn^{+*}$, $P^{+*}$, and $Zn^*$ neutrals in the presence of magnetic field turn out to b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ose without magnetic fiel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osited films grown on amorphous fused silica substrates by pulsed laser deposition (PLD) are examined by analyzing their photoluminescence (PL), X-ray diffraction (XRD), and UV-visible spectra.

실리카 졸-겔 공정에 의한 연자성 복합체 분말 성형 (Compaction of Soft Magnetic Composites via Silica Sol-Gel Process)

  • 김호형;곽정근;이흥렬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3-263
    • /
    • 2015
  • 절연층이 코팅된 연자성복합체(Soft magnetic composites) 분말 성형 시 발생하는 밀도와 강도 저하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금속산화물 전구체로 표면 개질된 자성분말을 성형 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분말 자심을 제조하였다. 이를 통해 공정이 단순화 되면서 자심의 물리적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두께 조절이 가능한 코어셸 형태의 SiO2 coated CoFe2O4 구조 (Thickness Control of Core Shell type Nano CoFe2O4@SiO2 Structure)

  • 유리;김유진;피재환;김경자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0-234
    • /
    • 2010
  • Homogenous silica-coated $CoFe_2O_4$ samples with controlled silica thickness were synthesized by the reverse microemulsion method. First, 7 nm size cobalt ferrite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thermal decomposition methods. Hydrophobic cobalt ferrites were coated with controlled $SiO_2$ using polyoxyethylene(5)nonylphenylether (Igepal) as a surfactant, $NH_4OH$ and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The well controlled thickness of the silica shell was found to depend on the reaction time and the amount of surfactant used during production. Thick shell was prepared by increasing reaction time and small amount of surfactant.

실리카 나노입자 표면에 결합된 2차 아미노기와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의 마이클 부가반응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Michael Addition Reaction between Secondary Amino Groups on the Silica Surface with 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s)

  • 전하나;하기룡
    • 폴리머
    • /
    • 제36권6호
    • /
    • pp.822-83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 나노입자를 우수한 내가수분해성을 가지는 dipodal 형태의 bis[3-(trimethoxysilyl)propyl]amine(BTMA)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개질한 후, 실리카에 도입된 BTMA의 2차 아미노기인 N-H기와 마이클 부가반응이 가능한 acrylate기를 1분자당 2개씩 가지는 poly(ethylene glycol)diacrylate(PEGDA)로 표면 처리하여 acrylate기를 실리카 입자 표면에 도입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PEGDA의 몰수 및 3가지 서로 다른 분자량의 PEGDA(M.W. 258, 575, 700) 처리가 실리카 표면에 도입되는 acrylate기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 elemental analysis(EA, 원소분석) 및 고체 상태 $^{13}C$ cross-polarization magic angle spinning(CP/MAS)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NMR)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액체상태의 순수 PEGDA와 순수 BTMA를 같은 몰 비로 반응시키면 PEGDA 1분자당 2개씩 존재하는 acrylate기 중 1개 acrylate기는 순수 BTMA의 N-H기와 1:1의 비율로 마이클 부가반응이 일어나 ${\beta}$-amino acid ester를 형성하고, 나머지 1개의 acrylate기는 남아서 중합반응이 가능한 단량체 합성이 가능하다. 하지만, BTMA로 개질된 실리카 입자를 PEGDA와 반응시키면, PEGDA 1분자당 2개씩 결합있는 acrylate기 대부분이 실리카 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BTMA의 N-H기와 마이클 부가반응으로 ${\beta}$-amino acid ester를 형성하여, acrylate기의 C=C기 대부분이 C-C로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철계 자성유체를 이용한 기름 밀봉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ebrication of the Oil Seal Apparatus by Using a Hydrophilic Fe-Magnetic Fluid)

  • 강신우;김영삼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1-126
    • /
    • 1999
  • 친수성 철계 자성유체의 제조와 이 자성유체를 Nd-영구자석과 병용하여 기름 밀봉 장치의 개발을 목적으로 실험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평균 입경 100$\AA$, 자화값 125.5emu/g, 대기중 15$0^{\circ}C$까지 산화 변질성이 없는 실리카 피착 철 초미립자의 표면에 오레인산 이온, D.B.S. 이온 및 T.M.A. 이온을 흡착한 후 ethylene glycol 용액중에 분산시켜 친수성 철 분말 자성유체를 제조할 수 있었다. 2)이상의 친수성 철 분말 자성유체[70%(g/ )Fe]를 영구자석(3200 Gauss)과 병용하여 기름 밀봉 장치에 응용한 결과 영구자석의 설치 개수를 영구자석 6단 그리고 구동축과 밀봉 장치 사이 간격 0.2mm의 조건에서 압력 7400g/$\textrm{cm}^2$까지 견딜 수 있는 우수한 내압 특성을 얻었다.

  • PDF

황해쑥(Artemisia agryi)으로부터 flavonoid 화합물들의 분리 동정과 세포 내 GSH 회복능을 통한 항산화 활성 평가 (Flavonoids from the arial parts of Artemisia agryi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y through GSH recovery effect)

  • 나현선;윤다혜;전형주;이대영;김형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4호
    • /
    • pp.247-252
    • /
    • 2022
  • 황해쑥을 MeOH : H2O =70:30 용매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water로 용매 분획 하였다. 이 중 n-BuOH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SiO2)과 octadecyl silica gel (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Nuclear magnetic resonance 및 mass spectrometry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통해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2S)-naringenin (1), 3-methylkaempferol (2), 3,3'-dimethylquercetin (3), and 3,3',4'-trimethylquercetin (4) 로 구조 동정하였다. 분리한 화합물 4종은 황해쑥에서는 처음 분리동정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glutathione mean의 증가와 glutathione heterogeneity 감소를 보인 황해쑥 유래 화합물 1-4가 세포내 글루타티온 (GSH) 수준을 균일하게 상승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항산화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황해쑥의 기능성 소재로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잇꽃(Carthamus tinctorius)으로부터 Flavonol glycoside 화합물들의 분리 및 항당뇨 효과 (Flavonol glycosides from the flowers of Carthamus tinctorius and their anti-diabetic activity)

  • 최보람;김형근;남윤희;윤다혜;신우철;장진규;이윤지;강동호;백남인;이대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477-483
    • /
    • 2023
  • 잇꽃을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용매 분획 하였다. 이 중 n-BuOH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SiO2), octadecyl silica gel (ODS) column chromatography, 및 Prep-LC로 정제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Nuclear magnetic resornance, mass spectroscopy 및 infrarad spectroscopy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통해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astragalin (1), isoquercetin (2), nicotiflorin (3), 그리고 rutin (4) 로 동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잇꽃 추출물, 용매 분획물 및 모든 분리 화합물의 alloxan에 의해 손상된 zebrafish 유충 췌도 보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EtOAc (CTE), n-BuOH (CTB) 및 H2O (CTW) 분획 모두 통계 유의적으로 우수한 항당뇨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분리된 화합물 1-4로 처리된 췌도 크기는 알록산 유도군 대비 각각 87.0, 88.5, 88.7, 및 89.3% 로 유의적으로 증가했다. 분리된 4종의 화합물 중 nicotiflorin은 6.752 mg/추출물(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통해 잇꽃 유래 화합물은 항당뇨 소재의 기능 지표성분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Bis[3-(triethoxysilylpropyl)]tetrasulfide에 의한 실리카 입자의 표면개질 반응과 SBR 나노 복합체 응용 (Modification of Silica Nanoparticles with Bis[3-(triethoxysilylpropyl)]tetrasulfide and Their Application for SBR Nanocomposite)

  • 류현수;이영석;이종철;하기룡
    • 폴리머
    • /
    • 제37권3호
    • /
    • pp.308-31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 나노 입자의 표면개질을 위해 실란 커플링제인 bis[3-(triethoxysilylpropyl)]tetrasulfide(TESPT)를 사용하여 표면개질 반응을 수행하였다. 반응온도, 반응시간 및 TESPT 투입량의 변화가 실리카 표면개질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 thermogravimetric analysis(TGA), elemental analysis(EA) 및 고체 $^{13}C$$^{29}Si$ cross-polarization magic angle spinning(CP/MAS)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NMR)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리카 대비 투입되는 TESPT의 투입량을 증가시킬수록 $3746cm^{-1}$의 실리카의 고립 실란올(isolated) 피크의 세기는 줄어들었고, $2938cm^{-1}$의 TESPT의 $-CH_2$기에 의한 피크의 세기는 증가하였다. 또한 TESPT로 표면 개질된 실리카가 SBR 복합체의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과 SBR 기질 내에서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실리카의 분산정도를 universal testing machine(UTM)과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FE-SEM)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개질되지 않은 본래(pristine) 실리카를 20 phr(parts per hundred of rubber) 넣은 SBR 나노복합체에 비해 개질된 실리카 20 phr를 넣은 SBR 복합체의 인장강도는 5.65에서 9.38 MPa, 100% modulus는 1.62에서 2.73 MPa로 각각 증가하였으나, 파괴점 신장률은 349.6에서 298.9%로 조금 감소되었으며, SBR 기질 내의 실리카 분산성은 TESPT로 처리된 실리카가 본래 실리카에 비해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