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Sv

검색결과 561건 처리시간 0.023초

울릉미역취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Solidago virga-aurea var. gigantea)

  • 지윤선;이남선;길기정;유지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9-116
    • /
    • 2019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ontents of chlorogenic acid among major ingredients and determine the optimal solvent for the antioxidant activity from Solidago virga-aurea var. gigantea(SV) aerial part. Methods : Mature aerial part of extracted SV at the first crop on June 2018 was used. SV was mixed with each at the ethanol concentrate rates of water, 10, 30, 50, 70, and 100% and extracted them for three times for eight hours at $70^{\circ}C$. The contents of chlorogenic acid and seven kinds of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in SV extracts. Results : The highest the contents of chlorogenic acid was from 10% ethanol extracts showed.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s of SV extracts were 126.16 mg/g and 105.84 mg/g, respectively. Scavenging activities of DPPH, ABTS, and hydroxyl radical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in SV extracts, while it was almost similar with control at the concentration of $500{\mu}g/mL$. $Fe^{2+}$ chelating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 in a dose-dependent in SV extract, it was lower than control. Nitrite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dose-dependent in the sequence of pH 1.2> pH 3.0 > pH 6.0 in SV extracts, while it was almost similar with control at the concentration of $500{\mu}g/mL$, pH 1.2, and pH 3.0. Conclusions : Thus, this study found that higher contents of chlorogenic acid and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were contained in 10% ethanol extracts in mature aerial part of SV.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as natural antioxidant materials.

모나자이트 취급공정에서의 라돈 및 토론 노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Internal and External Exposure of Radon and Thoron in Process Handling Monazite)

  • 정은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7-175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irborne radon and thoron levels and estimate the effective doses of workers who made household goods and mattresses using monazite. Methods: Airborne radon and thoro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continuous monitors (Rad7, Durridge Company Inc., USA). Radon and thoron concentrations in the air were converted to radon doses using the dose conversion factor recommended by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in Korea. External exposure to gamma rays was measured at the chest height of a worker from the source using real-time radiation instruments, a survey meter (RadiagemTM 2000, Canberra Industries, Inc., USA), and an ion chamber (OD-01 Hx, STEP Co., Germany). Results: When using monazite, the average concentration range of radon was $13.1-97.8Bq/m^3$ and thoron was $210.1-841.4Bq/m^3$. When monazite was not used, the average concentration range of radon was $2.6-10.8Bq/m^3$ and the maximum was $1.7-66.2Bq/m^3$. Since monazite has a higher content of thorium than uranium, the effects of thoron should be considered. The effective doses of radon and thoron as calculated by the dose conversion factor based on ICRP 115 were 0.26 mSv/yr and 0.76 mSv/yr, respectively, at their maximum values. The external radiation dose rate was $6.7{\mu}Sv/hr$ at chest height and the effective dose was 4.3 mSv/yr at the maximum. Conclusions: Regardless of the use of monazite, the total annual effective doses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exposure were 0.03-4.42 mSv/yr. Exposures to levels higher than this value are indicated if dose conversion factors based on the recently published ICRP 137 are applied.

제주지역에서 소비되는 식품 중 137Cs과 40K 방사능 농도 ([ 137Cs] and 40K Activities of Foodstuffs Consumed in Jeju)

  • 강태우;홍경애;박원표;유장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2-58
    • /
    • 2004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소비되는 식품류 중의 $^{137}Cs$$^{40}K$ 방사능 농도를 조사하여, 식품 섭취에 따른 $^{137}Cs$$^{40}K$에 의한 내부피폭 선량의 값을 평가함으로써 만일의 원자력 사고로 인한 방사능 오염에 대처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하였다. 시료로 채취한 식품류는 농산물 31, 축산물 6, 수산물 12, 임산물 4 그리고 가공식품(차류)이 3종류였고, 방사능 분석은 고순도 게르마늄검출기가 장착된 감마선분광계로 수행하였다. 시료 중 $^{137}Cs$ 방사능 농도범위는 농산물이 MDA이하 ${\sim}650\;mBq/kg$ fresh 축산물 MDA이하 ${\sim}131\;mBq/kg$ fresh, 임산물 MDA이하 ${\sim}834\;mBq/kg$ fresh, 수산물 MDA이하 ${\sim}253\;mBq/kg$ fresh, 그리고 가공식품은 $32.0{\sim}483\;mBq/kg$ fresh 이었다. $^{40}K$의 경우는 농산물 $16.6{\sim}542\;Bq/kg$ fresh, 축산물 $39.1{\sim}294\;Bq/kg$ fresh, 임산물 $85.5{\sim}116\;Bq/kg$ fresh 수산물 $50.1{\sim}657\;Bq/kg$ fresh 그리고 가공식품$33.6{\sim}1,065Bq/kg$ fresh 범위였다. 시료 중 $^{137}Cs$ 방사능 농도가 가장 높은 것은 표고버섯으로 834 mBq/kg fresh 이었으며, $^{40}K$은 커피가 1,065 Bq/kg fresh로 가장 높았다. 각 식품류 중 $^{137}Cs$$^{40}K$에 의한 연간 유효선량은 농산물이 66,543 nSv로 가장 높았고, 축산물 19,311, 가공식품(차류) 6,648, 수산물 6,579 그리고 임산물 860 nSv 순으로 낮았으며, 이것을 모두 합한 총 연간 유효선량 값은 99,941 nSv 이었다. 본 연구에 포함된 식품의 1인당 연간 섭취량이 연간 총 식품 섭취량의 60%임을 감안해도 자연환경 중에서 이루어지는 외부피폭에 의한 연간 유효선량인 2,400,000 nSv에 비하면 무시 할 정도여서 평상시 식품섭취에 의한 방사선 내부피폭은 매우 미량이었다. 이상의 자료는 유사시 방사선에 의한 식품류 오염정도를 식별하는데 필수 불가결할 것으로 사료된다.

F-18 FDG를 이용한 핵의학 검사에서 주변 선량의 안전성 평가 (The Safety Assessment of Surrounding Dose on Nuclear Medicine Test by Use The F-18 FDG)

  • 곽병준;지태정;민병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57-162
    • /
    • 2009
  • Radioactive medicines are used a lot owing to the increase of a PET-CT examination using glucose metabolism useful for the early diagnosis of diseases. Therefore, the spatial dose that is generated from patients and their surroundings causes the patients' guardians and health professional to be exposed to radiation. However, they get unnecessarily exposed to radiation because medical institutions lack in space for isolation and recognition of the examination. This research intended to examine the spatial dose rates by measuring the dose emitted from the patient for 48 hours to whom F-18 FDG was administered. The spatial dose rates that were measured 100cm away from the patient's body after F-18 FDG was injected were $65.88{\mu}$Sv/hr at 60-minute point, $45.13{\mu}$Sv/hr at 90-minute point, $9.88{\mu}$Sv/hr at 6-hour point, and $1.24{\mu}$Sv/hr at 12-hour point. When the dose that the guardian and health professional got was converted into the annual(240-day working) accumulative dose, it was examined that the guardian received 81.56 mSv/yr and health professional received 49.36mSv/yr. In addition, the result has revealed that the dose that the patient received from one time of PET-CT examination was 3.75mSv/yr, which is 1.5 times more when compared with the annual natural radiation exposure dose.

PET/CT 장비 특성에 따른 방사성 의약품 주입량이 방사선 종사자에게 미치는 영향 (A Study of Injection Dose for Patients and Exposure Dose for Technologists from the PET/CT Systems)

  • 박훈희;오기백;이승재;반영각;강천구;임한상;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5권1호
    • /
    • pp.45-50
    • /
    • 2011
  • PET/CT검사에서 $^{18}F$-FDG가 가장 널리 이용되며, 장비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환자 주입 $^{18}F$-FDG량이 다르게 권고되고 있다. 또한, 검사 특성상 방사선종사자와 환자의 접촉으로 인하여 방사선의 피폭이 불가피하기에,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PET/CT 장비를 대상으로 환자에게 주입되는 $^{18}F$-FDG가 방사선 종사자에게 미치는 피폭선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총 3대의 각각 다른 PET/CT (Scanner 1 (S1) : 0.15 mCi/kg, Scanner 2 (S2) : 0.17 mCi/kg, Scanner 3 (S3) : 0.12 mCi/kg)를 대상으로 각 장비에 숙련도를 고려하여 총 6명의 방사선종사자를 5개월간 순환근무 하였고, 하루에 검사하는 환자수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또한, 검사 진행 방법을 유사하게 유지하고, 방사선종사자의 개인피폭선량계인 열형광유리선량계(TLD)를 매월 판독 하여 분석하였다. 개인의 월별 평균 피폭선량은 장비에 따라 S1은 0.76 mSv, S2는 0.93 mSv, S3는 0.47 mSv였다. 피폭선량은 개인 최대 1.12 mSv, 최저 0.42 mSv로 숙련도와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또한 각 주입량에 따른 PET/CT의 종류에 따라 피폭선량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주입 $^{18}F$-FDG가 적을수록 방사선종사자의 피폭선량이 낮았다. 또한, 개인숙련도에 따라 피폭선량이 감소하였으나, 장비의 특성에 따라 적은 방사성의약품 주입량의 영향이 방사선종사자의 피폭선량을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기에 이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전사 종결 염기 서열이 Drosophila melanogaster Schneider line 2 세포에서 외래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criptional Terminator Sequences on Recombinant Protein Expression from Drosophila melanogaster S2 Cell)

  • 황인숙;박종화;이윤형;윤재승;백광희;정인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4호
    • /
    • pp.211-214
    • /
    • 2001
  • Drosophila melanogaster Schneider line 2(S2)세포의 외래 단백질 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외래 단백질의 한시적 발현을 검토하고, 서로 다른 terminator를 이용하였을 때의 단백질 발현 및 mRNA 발현 정도를 검토하였다. 한시적 발현의 경우 transfection agent를 제거하고 36-48시간 동안 배양한 경우, 가장 높은 green fluorescent protein(GEP)의 발현을 보였다. SV4O p(A), SV4O small T-antigen, 인간 gastrin 3'UTR을 terminator로 지니는 발현 벡터시스템에 각각 endostatin유전자를 cloning시킨 뒤 재조합 endostatin의 mRNA의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 한시적 발현을 시킨 뒤 36시간 후 endostatin의 발현 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SV40 p(A)를 terminator로 사용했을 때 mRNA및 단백질의 발현이 가장 높았다.

  • PDF

폐 폴리우레탄과 분변토 미생물담체가 충전된 Biofilter에서의 $NH_3$ 가스의 제거 (Removal of $NH_3$ Gas by a Biofilter Packed with Bio-Carrier Composed of Waste Polyurethane and Wormcast)

  • 임정수;이은영
    • 청정기술
    • /
    • 제13권2호
    • /
    • pp.122-126
    • /
    • 2007
  • Polyurethane, PVA(polyvinyl alcohol)와 지렁이 분변토를 혼합하여 제작한 bio-carrier를 충전한 바이오필터(biofilter)를 이용하여 $NH_3$ 악취를 제거하였다. SV(Space velocity)가 50 $h^{-1}$인 조건에서 $NH_3$ 농도를 $4\;{\sim}\;454\;ppmv$로 증가시켰을 때 출구로부터 $NH_3$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NH_3$ 가스의 조건을 $50{\sim}400\;h^{-1}$로 설정하여 각각의 조건에서 $NH_3$농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NH_3$ 가스의 제거효율을 알아보았다. 악취가 공급되는 조건 중 SV $50\;h^{-1}$에서 $NH_3$의 최대 유입부하량은 $11.38\;g-NH_3{\cdot}m^{-3}{\cdot}h^{-1}$로 100%의 제거효율을 나타냈으며, SV $100\;h^{-1}$에서는 $34.42\;g-NH_3{\cdot}m^{-3}{\cdot}h^{-1}$에서 100%의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SV 300 $h^{-1}$에서 $NH_3$ 최대 부하량은 $71.28\;g-NH_3{\cdot}m^{-3}{\cdot}h^{-1}$이었으며, 제거효율은 99.85%로 나타났다.

  • PDF

고용량 $^{131}I$ 투여환자 퇴원이후 환자 간병인과 환자 가옥의 피폭선량 측정 (Caregiver or Family Doses due to Discharged $^{131}I$ Administrated Patient from the Hospital)

  • 정규환;이현국;조운갑;이재기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3권2호
    • /
    • pp.149-154
    • /
    • 2010
  • 고용량 방사성요오드 $^{131}I$ 투여환자의 퇴원 이후 환자 가족이나 간병인, 가옥에 대한 외부피폭 방사선량을 개인선량계인 OSL(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osimeter) 선량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3.37~5.55 GBq(100~150 mCi)의 $^{131}I$을 투여한 환자가 2박3일 또는 3박4일의 입원 기간이 지난 후 요양을 위하여 가정으로 귀가 한 후부터 5일에서 8일 동안 간병을 담당한 사람이 피폭한 방사선량과 집안 내 주요 지점에서의 누적 공간방사선량인 주변선량을 OSL 선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고용량 치료 환자의 가족이나 간병인, 집안내 주요 지점에서의 누적피폭방사선량은 1 mSv의 1/10 수준인 0.1 mSv 내외로 측정되어 원자력법에서 정하고 있는 일반인에 대한 선량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소수의 표본임에도 불구하고 환자 주변인에 대한 측정값의 표준편차가 0.087 mSv로 크지 않았음을 볼 때 모집단인 전체 환자가족의 피폭 방사선량도 표본집단의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어 환자의 입원 치료기간을 현재보다 단축하는 방안을 추가로 검토하거나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10MV 이상 고에너지 사용시 wedge filler의 방사화가 작업환경에 미치는 영향평가 (Evaluation on the radiation exposure from activated wedge filter)

  • 이화중;김대영;김원택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9-79
    • /
    • 2004
  • 목적 : 10MV 이상의 고 에너지를 사용할 경우 X선에 의해 광중성자(Photoneutron)가 발생되고 이 중성자는 주변 물질을 방사화(Activation)시켜 Beam-off기간에도 방사화된 물질의 유도 방사선(Induced radiation)에 의해 작업자의 피폭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방사화된 물질중 방사선 치료시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접촉하는 wedge filter의 방사화를 알아보기 위해 10MV Siemens 가속기와 15MV Siemens 가속기에서 5Gy 조사 후 wedge filter에서 방사선량을 측정하여 방사선 발생 메커니즘을 확인하고, 선량측정을 통해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작업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사선 치료용 선형가속기는 Siemens사의 10MV Primus, Siemens사의 15MV Primus를 사용하였다. Siemens사의 Wedge filter를 사용하였으며, Wedge의 재질은 Fe, Wedge holder는 Al이다. 선량측정은 GM-측정기인 RDS-110 Model을 이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GM-측정기는 $50keV{\sim}1.25MeV$의 X-ray가 측정가능하며, $0.05{\mu}Sv/hr{\sim}100mSv/hr$까지 측정이 가능하다. GM survey meter를 사용하여 환자 대기실과 건물 밖, 두 지점의 자연 방사선량을 측정하여 background값으로 사용하였다. 광중성자를 발생시키고, 또한 방사화를 진행시키기 위해 wedge를 장착한 상태에서 10MV X선, 15MV X선을 5Gy(500MU)를 조사하였고, beam-off직후 wedge filter를 가속기로부터 분리시켜 GM survey meter를 이용하여 wedge filter 중심부분에서 30초 단위로 방사선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 Primus 10MV의 경우 H병원에서 측정을 수행했으며, $0{\times}0cm^2,\;5{\times}5cm^2,\;25{\times}25cm^2$ Field size에 대하여 500MU 조사 후 방사선량의 측정결과 Field size의 영향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으며, beam off 후 $1{\sim}2$분 뒤 측정 시작 시점에서 대략 $1{\mu}Sv/hr$를 나타냈으며, 반감기는 약 $3{\sim}4$분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Primus 15MV의 경우 S병원에서 측정을 수행하였으며, $25{\times}25cm^2$ Field size에 대하여 500MU 조사 뒤 방사선량을 측정한 결과, beam off후 $1{\sim}2$분 뒤 측정시점에서 대략 $3.26{\mu}Sv/hr$를 나타냈으며 10MV X선보다 대략 3.3배 큰 값을 나타내었다. 결과 : 일일 치료환자가 $20{\sim}50$명이고, 환자 1인당 Wedge filter의 교체작업이 $1{\sim}2$회일 때 10MV의 경우 연간선량이 $0.08{\sim}0.4mSv$로 평가되었으며, 15MV의 경우 $0.27{\sim}1.36mSv$로 평가되어 작업종사자의 연간 허용선량인 20mSv에 비해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핵의학과 환경미화원의 일시 출입자 분류에 대한 고찰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Temporarily Access Group about Sanitation Workers in Nuclear Medicine Department)

  • 유재숙;장정찬;김호성
    • 핵의학기술
    • /
    • 제16권1호
    • /
    • pp.50-56
    • /
    • 2012
  • 일시 출입자로 분류된 핵의학과 출입 환경미화원은 주기적으로 타과와 업무순환을 하고, 또한 작업 시간과 환경 등의 변화가 많기 때문에 관리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으며 따라서 이들의 분류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핵의학과에서 근무하는 환경미화원의 피폭 상황을 분석하여 일시 출입자로 분류된 조건의 타당성에 대하여 검토해 보고 작업 환경의 변화 및 근무 시간의 조절이 필요한가를 알아보았다. 우선 먼저 PET실과 혈액 검사실에서 근무하는 환경미화원과 감마 카메라실에서 근무하는 환경 미화원 2명을 대상으로 한 달간 근무 시간 중에 OSL을 각각 착용시켜 개인 피폭 선량을 측정하였다. 둘째로 survey meter를 이용하여 두 명의 환경미화원의 작업 환경, 근무 형태에 따라 시간대 별로 핵의학과 내 14개 구역을 선정, 총 10회 공간 선량률을 측정한 결과 이들의 피폭 선량은 연간 1mSv를 초과하지 않았으며, survey meter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또한 연간 1 mSv를 초과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수치가 1 mSv에 근접하였다. 따라서 일시 출입자로써의 분류를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PET 안정실과 같은 피폭이 상대적으로 많은 구역에서의 노출 확률을 줄이기 위하여 이들에게 방사선 관리 구역내 교육을 실시하고, 또한 근무시간 및 근무 형태를 적절히 변경한다면 이들의 피폭 선량은 확연히 줄어들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