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3g

검색결과 16,658건 처리시간 0.049초

흑마늘과 미나리를 이용하여 제조한 음료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rink prepared with black garlic and Oenanthe javanica DC)

  • 정태성;김진학;안신애;원용덕;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3-198
    • /
    • 2014
  • 흑마늘 음료의 기호성과 기능성 증진을 위해 흑마늘과 미나리의 배합비를 각각 3:0(BD-1), 2:1(BD-2), 1:1(BD-3), 1:2(BD-4)의 비율(w/w)로 달리하여 제조한 음료의 식품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 하였다. 흑마늘 미나리 혼합음료의 pH는 미나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당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L값과 b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a값은 미나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2.40(BD-1)에서 6.46(BD-4)로 증가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BD-4에서 46.96 ${\mu}g/mL$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BD-3(42.36 ${\mu}g/mL$), BD-2(41.91 ${\mu}g/mL$), BD-1(28.48 ${\mu}g/mL$) 순으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BD-4에서 18.60%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D-3(15.53%), BD-2(12.53%), BD-1(10.27%) 순으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BD-1에서 28.72%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으며, 미나리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BD-2는 39.43%, BD-3은 45.69%, BD-4는 52.51%로 나타났다. 철 이온 킬레이트 효과는 미나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BD-1(6.38%)에 비해 BD-4(39.94%)에서 6배 높게 측정되었다. 수용성 비타민(B1, B2, B6, C) 함량은 미나리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비타민 C의 경우 BD-1(130.10 ${\mu}g/mL$)에 비해 BD-4(806.21 ${\mu}g/mL$)가 6배 가량 증가하였다. 관능검사의 경우도 색, 향, 맛, 종합적 기호도에서 BD-4가 가장 양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흑마늘 미나리 혼합 음료를 제조할 경우 흑마늘과 미나리를 1:2 비율(w/w)로 혼합하는 것이 생리활성과 관능적 품질 특성 측면에서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Ranunculin및 Protoanemonin의 합성법의 개선 및 세포독성 평가 (Modified Synthetic Method & Cytotoxic Activity of Ranunculin and Protoanemonin)

  • 방성철;김용;안병준
    • 약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17-121
    • /
    • 2004
  • Ranunculin, a potent cytotoxic component of P. koreana, was synthesized by reacting (s)-(-)-5-(hydroxymethyl)-2(5H)-furanone with 2,3,4,6-tetra-O-acetyl-$\alpha$-D-glucopyranosyl bromide and successive removal of the acetyl protecting group by 0.5 M HCl/MeOH. A new deacetylation process of the intermediate tetraacetylranunculin was deviced giving a yield of 83% of ranunculin. Protoanemonin, the cytotoxic structural moiety of ranunculin, was synthesized by dehydration of (s)-(-)-5-hydroxymethyl-2(5H)-furanone. Ranunculin showed a moderate cytototoxic activity against A-549 (ED$_{50}$=7.53 $\mu\textrm{g}$/$m\ell$), NIH3T (ED$_{50}$=13.6$\mu\textrm{g}$/$m\ell$), and SK-OV-3 (ED$_{50}$=17.5 $\mu\textrm{g}$/$m\ell$). Meanwhile, protoanemonin also exhibited moderate cytotoxicity against A-549 (ED$_{50}$=9.38 $\mu\textrm{g}$/$m\ell$), NIH3T (ED$_{50}$=13.8 $\mu\textrm{g}$/$m\ell$), and SK-OV-3 (ED$_{50}$=15.1 $\mu\textrm{g}$/$m\ell$). It was found that both of the synthetic products showed a potenter cytotoxicity against A-549.ainst A-549.

여지초의 in vitro항암효과 및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lebeiae Herba (Salvia plebeia R. Br.) on the Anticancer (in vitro) and Activation of Immune Cells)

  • 배만종;예은주;김수정;김재명;이성태;박은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77-38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여지초의 cell line상에서의 항암효과(in vitro) 및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인체유래 위암세포주인 AGS의 형태변화는 여지초 물과 60% 에탄을 추출물 처리 시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의 밀도가 감소하였고 세포의 원형화나 손실이 증가하였다. 암세포 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은 AGS의 경우 농도에 비례하여 암세포 증식 억제율이 나타났으며, 물 추출물 $1,000{\mu}g/mL$에서 43.3%, $3,000{\mu}g/mL$에서 69.7%, 60% 에탄을 추출물 $1,000{\mu}g/mL$에서 37.3%, $3,000{\mu}g/mL$에서 75.8%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여지초 추출물이 비장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은 여지초 물 추출물은 $30{\mu}g/mL$, 60% 에탄을 추출물은 $10{\mu}g/mL$에서 각각 25.0%와 43.2%의 증식반응 증가가 나타났으며, $300{\mu}g/mL$에서는 비장세포의 증식이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여지초 추출물이 비장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IL-2의 경우 여지초 물 추출물 $1{\mu}g/mL$처리군에서 $20.75{\pm}3.54pg/mL$, 60% 에탄을 추출물은 $100{\mu}g/mL$ 처리군에서 $20.75{\pm}7.07pg/mL$로서 $15.75{\pm}7.07 pg/mL$인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모두 31.7%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IL-6 분비량 또한 물 추출물 $1{\mu}g/mL$에서 $31.75{\pm}15.91 pg/mL$, 60% 에탄을 추출물 $10{\mu}g/mL$에서 $14.25{\pm}1.77pg/mL$로서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물과 60% 에탄을 추출물 모두 $10{\mu}g/mL$에서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각각 69.6%, 25.3%의 $TNF-{\alpha}$ 생산 증가를 유도하였다.

김치 및 젓갈류의 인공소화시 N-Nitrosamine의 생성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 in Kimchi and Salt-fermented Fish Under Simulated Gastric Digestion)

  • 김경란;신정혜;이수정;강현희;김형식;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4-100
    • /
    • 2002
  • 본 실험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널리 애용되고 있는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와 젓갈류 중의 NA와 전구물질의 함량을 분석하고 인공타액 및 위액을 혼합하여 in vitro상에서 소화시킴에 따라 이들 식품의 섭취 후 체내에서 생성될 수 있는 NA의 함량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질산염은 김치에서 10.7~24 mg/kg, 멸치젓에서 1.5~5.6 mg/kg, 새우젓에서 1.0~2.0 mg/kg 아질산염은 모든 시료에서 평균 0.3 mg/kg이 검출되었다. DMA는 새우젓에서 함량차가 매우 커 30.3~177.9 mg/kg의 범위였고, TMA는 김치에서 0.6~0.8 mg/kg, 멸치젓에서 1.9~2.8 mg/kg, 새우젓에서는 4.4~2l.3 mg/kg으로 정량되었다. NA를 분석한 결과 NDMA가 김치에서 0.8~6.9 $\mu\textrm{g}$/kg, 멸치젓에서 불검출~l.2 $\mu\textrm{g}$/kg, 새우젓에서는 불검출~0.9 $\mu\textrm{g}$/kg의 범위로 검출되었고, 인공소화시킨 후에는 모든 시료에서 약 1.5배 증가하였다. 각 시료에 아질산염을 첨가하여 인공소화시킨 경우 모든 시료에서 무첨가군에 비하여 아질산염의 농도에 비례하여 NDMA의 생성량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새우젓에서는 8mM의 아질산염 첨가시 NDMA는 183배 증가하여 220.9 $\mu\textrm{g}$/kg이 검출되었다. 인공타액에 thiocyanate를 1.6, 3.2, 6.4mM 농도로 가하여 인공소화시킨 결과 무첨가구에 비해 NDMA생성량은 약 1.5배 증가하였고 아스코르브산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인공소화시킬 경우 NDMA생성량은 아스코르브산의 농도와 반비례하였고 12.8 mM첨가시 김치는 92.4% 멸치젓과 새우젓은 각각 50.0%, 82.46%의 생성억제 효과가 있었다.

Benzene Biodegradation Using the Polyurethane Biofilter Immobilized with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T3-c

  • Kwon, Heock-Hoi;Lee, Eun-Young;Cho, Kyung-Suk;Ryu, Hee-Wo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1호
    • /
    • pp.70-76
    • /
    • 2003
  • The benzene removal characteritics of the polyurethane (PU) biofilter immobilized with S. maltophilia T3-c, that could efficiently degrade benzene, was investigated. Maximum capacity to eliminate benzene was maintained at $100-110g{\cdot}m^-3{\cdot}h^-1$ when space velocity (SV) ranged from 100 to $300 h^-1$ -1/, however, it decreased sharply to $55 g{\cdot}m^-3{\cdot}h^-1^$ as SV increased to $400 h^-1$. The critical elimination capacities that guaranteed $90\%$ removal of inlet loading of the PU biofilter were determined to be 70,30, and $15 g{\cdot}m^-3{\cdot}h^-1$ at SV 100,200, and $300 h^-1$,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 of a kinetic analysis of the PU biofilter, maximum benzene elimination velocity ($V_m$) was $125 g{\cdot}m^-3^\;of\;PU{\cdot}h^-1$ and saturation constant ($K_m$) was $0.22 g{\cdot}m^-3^$ of benzene ($65{\mu}{\cdot}I^-1$).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iofilter utilizing S. maltophilia T3-c and polyurethane is a very promising technology for effectively degrading benzene.

Comparison of the Nitrification Efficiencies of Three Biofilter Media in a Freshwater System

  • Harwanto, Dicky;Oh, Sung-Yong;Jo, Jae-Yo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4권4호
    • /
    • pp.363-369
    • /
    • 2011
  • Total ammonia nitrogen (TAN) removal efficiencies of a sand filter (SF), polystyrene microbead filter (PF), and Kaldnes bead filter (KF) media were evaluated under ammonia loading rates of 5, 25, and 50 g $m^{-3}day^{-1}$. The volume of each filter media tested was 7 L, and the water flow rate for all filter media was 24 L/min. The specific surface areas of the SF, PF, and KF were 7,836, 3,287, and 500 $m^2/m^3$, respectively. Sand was fluidized and the other two media were trickle filtered. The volumetric TAN removal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monia loading rate for all filter media. Mean volumetric TAN removal rates under the ammonia loading rates of 5, 25, and 50 g $m^{-3}day^{-1}$ in SF (39.3, 168.6, and 322.7 g $m^{-3}day^{-1}$,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those in PF (35.0, 157.4, and 310.5 g $m^{-3}day^{-1}$, respectively) and KF (32.1, 142.5, and 288.1 g $m^{-3}day^{-1}$,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related to differences in the specific surface areas of the filter media. PF was the most economic media for efficiently removing TAN.

가축분퇴비 시용 수준에 따른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건물생산 및 양분 흡수 (Dry Matter Yield and Nutrients Uptake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Grown with Different Rates of Livestock Manure Compost)

  • 임상선;이상모;이승헌;최우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58-465
    • /
    • 2010
  • 가축분 퇴비 시용 수준에 따른 수수${\times}$수단그라스 ($S{\times}S$ hybrid)의 수량 및 양분 (N, P)흡수 변이를 조사하기 위해 전남대학교 부속 농장 초지에서 3반복 난괴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6개 처리 (무비구, 화학비료관행구, 퇴비 1, 2, 4, 6 수준)를 두었는데, 화학비료관행구의 비료 처리량은 질소 20 g N $m^{-2}$과 인산 20 g $P_2O_5\;m^{-2}$이고, 가축분 퇴비는 6 수준을 기준시비량 (20.2 g N $m^{-2}$과 21.6 g $P_2O_5\;m^{-2}$)으로 두고 퇴비 1, 2, 4 수준은 그 비율대로 감비하였다. 처리 90일 후 최종 지상부 건물중과 양분 (N, P)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화학비료 처리구의 건물중 (2.4 kg $m^{-2}$)과 질소 (38.3 g N $m^{-2}$) 및 인산 (15.3 g $P_2O^5\;m^{-2}$) 흡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퇴비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건물중과 양분 흡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0.01). 하지만, 퇴비 4와 6 수준의 건물중은 각각 1.9 kg $m^{-2}$과 1.8 kg $m^{-2}$으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가축분 퇴비 단독 시비로는 화학비료와 대등한 건물 생산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양분흡수효율 분석 결과에 의하면 퇴비의 인산흡수 효율이 화학비료보다 높았기 때문에, 퇴비를 인산 급원으로 시용하고 부족한 질소는 농가의 비료자원 수급 가능성과 목표 수량을 고려하여 액비, 화학비료, 녹비 등으로 공급하는 것이 적절한 시비 전략으로 판단된다.

봉양침액(蜂藥鍼液)과 melittin이 RAW 264.7세포(細胞)의 NO, iNOS 및 MAPK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Bee Venom and Melittin on NO, iNOS and MAP Kinase Family in RAW 264.7Cellscells)

  • 강준;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107-119
    • /
    • 2004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e Venom and melittin on the lipopolysaccharide(LPS) and sodium nitroprusside(SNP)-induced expressions of Cell viability, nitric oxide(NO),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extra-signal response kinase(ERK), jun N-terminal Kinase(JNK) and p38 kinase(p38)-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MAPK) Family- in RAW 264.7 cells,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Methods : The expressions of cell viability by MTT assay, NO by Nitrite assay and iNOS, ERK, JNK and p38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ting. Results : 1.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0.5, 1, $5{\mu}g/m{\ell}$ bee venom and 5, $10{\mu}g/m{\ell}$ melittin increased cell viability of RAW 264.7 induced by LPS and SNP significantly respectively. 2.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0.5, 1, $5{\mu}g/m{\ell}$ bee venom and 5, $10{\mu}g/m{\ell}$ melittin inhibited expression of NO induced by LPS and SNP significantly respectively. 3.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1, $5{\mu}g/m{\ell}$ bee venom and 5, $10{\mu}g/m{\ell}$ melittin inhibited expression of iNOS induced by LPS significantly and 0.5, 1, $5{\mu}g/m{\ell}$ bee venom and 5, $10{\mu}g/m{\ell}$ melittin inhibited expression of iNOS induced by SNP significantly. 4.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ERK induced by LPS and SNP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reatment groups of $5{\mu}g/m{\ell}$ bee venom and 5, $10{\mu}g/m{\ell}$ melittin, which of p-ERK by LPS also did in 1, $5{\mu}g/m{\ell}$ bee venom and 5, $10{\mu}g/m{\ell}$ melittin, but which of p-ERK by SNP did not decrease. 5.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JNK induced by LPS and SNP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reatment groups of 5, $10{\mu}g/m{\ell}$ melittin, which of p-JNK by LPS in 5, $10{\mu}g/m{\ell}$ melittin and by SNP in $1{\mu}g/m{\ell}$ bee venom and $10{\mu}g/m{\ell}$ melittin decreased significantly. 6.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p38 induced by LPS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induced by SNP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reatment groups of 1, $5{\mu}g/m{\ell}$ bee venom and 5, $10{\mu}g/m{\ell}$ melittin. p-p38 induced by LP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reatment group of $10{\mu}g/m{\ell}$ of melittin, which induced by SNP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in 0.5, 1, $5{\mu}g/m{\ell}$ bee venom and 5, $10{\mu}g/m{\ell}$ melittin.

  • PDF

자외선(UV)-B 조사에 의한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자실체의 비타민 D2 함량 증가 (Ultraviolet (UV)-B Irradiation Increased Vitamin D2 Contents in the Fruit Bodies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 노재영;박상돈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91-194
    • /
    • 2013
  • 아위느타리버섯(P. eryngii var. ferulae)의 비타민 $D_2$ (ergocalciferol) 함량 증강을 위하여 아위느타리버섯 자실체에 자외선(UV)-B파장(280-320 nm)을 조사하였다. 비타민 $D_2$ (ergocalciferol)의 증가된 함유량은 HPLC (Waters 1525, USA)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비타민 $D_2$ 함량은 3분($21.6KJ/m^2$) 처리시 $3.5{\mu}g/g$, 5분($36KJ/m^2$) 처리시 $6.02{\mu}g/g$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 $0.01{\mu}g/g$에 비교하여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와 함께 큰느타리버섯(P. eryngii)은 대조군 $0.09{\mu}g/g$, 3분 처리시 $2.75{\mu}g/g$, 5분 처리시 $5.21{\mu}g/g$으로 나타났다. 표고버섯(L. edodes)은 대조군 $0.02{\mu}g/g$, 3분 처리시 $3.02{\mu}g/g$, 5분 처리시 $3.78{\mu}g/g$으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P. ostreatus)은 대조군 $0.19{\mu}g/g$, 3분 처리시 $9.63{\mu}g/g$, 5분 처리시 $11.60{\mu}g/g$으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P. ostreatus)의 비타민 $D_2$ 함량이 아위느타리버섯, 큰느타리버섯과 표고버섯 보다 높았으나 비타민 $D_2$ 함량 증가율은 아위느타리버섯이 월등히 높았다.

칼슘알긴산비드에 의한 염분의 흡착특성 (Characteristics of Salt Adsorption by Calcium Alginate Beads)

  • 방병호;서정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9-96
    • /
    • 2002
  • Ca-alginate bead로 소금의 흡착에 미치는 영향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a-alginate beads에 의한 소금 흡착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0분 후4.0g으로 최고의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0.2M CaCl$_2$, 0.2M BaCl$_2$, 0.2M FeCl$_3$및 0.2M MgCl$_2$등의 경화용액으로 조제한 bead에 의한 소금 흡착량은 Fe-alginate beads가 5.6g으로 제일 높았으나 bead가 쉽게 부서지는 단점이 있었고, MgCl$_2$용액으로는 bead가 만들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0.2M CaCl$_2$, 0.2M BaCl$_2$및 0.2M SrCl$_2$용액으로 만든 bead는 각각 4.2g 정도의 대등한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CaCl$_2$경화 용액이 0.1M, 0.2M 및 1M 일때 소금 흡착량은 각각 4.8g, 4.2g 및 4.1g으로 나타났다. Alginate의 농도를0.6%, 1% 그리고 2%로 하여 제조한 비드로 소금 흡착량은 2.8g, 4.0g, 4.4g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그리고 bead의 크기를 각각 2.5mm, 3.5mm 그리고 4.5mm로 제조하여 소금의 흡착량을 살펴본 결과 각 크기별 모두 4.0~4.2g로 차이가 없었다. 초기 소금의 농도 4%, 8%, 12%그리고 16%에서, 각각 소금의 흡착율은 30%, 28%, 27% 그리고 25%이었으며, pH에 따른 염분의 흡탁율은 산성(pH 4.0) 및 중성(pH 6.8) 영역에서 보다는 염기성(pH 10.0)에서 더 높았다. 된장으로부터 내염성 세균을 분리한 후 alginate로 고정화한 beads와 비고정화한 bead와의 염분 흡착량은 고정화한 bead에 의한 염분 초기흡착속도가 보다 낮았으며, Ca-alginate bead 제조시 경화용액에 머무는 시간이 길수록 염분 흡착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회 사용한 bead를 증류수에 하루 동안 방치 후 이 bead를 재이용 함에 따라 염분 흡착량은 점점 감소하였다. 시료를 된장으로 하여 0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및 24시간 후 소금 흡착율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더불어 증가하였다. 또한 소금이 감소된 된장의 pH를 측정한 결과, 4.90, 5.00, 5.01, 5.02, 그리고 5.03이였으며, 적정산도는 0.1N-NaOH 소모량이 4ml, 3.4ml, 3.2ml, 3.0ml 그리고 3.0 ml이었다. 저염 된장의 아미노태 질소를 적정 한 결과, 원료 된장이 840mg/된장 100g, 740mg/된장 100g, 630mg/된장 100g, 그리고 530mg/된장 100g으로 줄어들었다. 각 시료별 염분 흡착율은 된장이 다른 시료(Doengjang 100%, Kochujang 86%, Soy-sauce 78% and Jeotkal 71%) 보다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