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er jaw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22초

Management of rare ectopic teeth eruption: case series

  • Olutayo, James;Ibrahim Kayode Suleiman;Mukhtar Modibbo Ahmad;Hector Oladapo Olasoj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9권2호
    • /
    • pp.86-90
    • /
    • 2023
  • Objectives: An ectopic tooth is a rare eruption of a tooth out of the normal dental apparatus and occurs commonly with the third molar. Thus, in this study, we reported a case series of ectopic teeth in rare jaw locations and highlight the associated pathology and our experience in the surgical management. Patients and Methods: All cases of ectopic tooth managed at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University of Maiduguri Teaching Hospital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20 were reviewed. The information retrieved includes biodata, location of the ectopic tooth, signs, symptoms, type of tooth and associated pathology, surgical approach and complications. Results: Ten cases of ectopic teeth were identified over the study period. This comprised 80.0% males with a mean age was 23.3 years. The antrum and lower border of the mandible accounted for 50.0% and 40.0% of the ectopic locations, respectively. Dentigerous cyst was the most associated pathology (70%) and usually presented with pain and swelling. Surgical intervention predominantly via the intraoral route was performed if indicated. Conclusion: Ectopic teeth are rare and not always associated with pathology. A high index of suspicion and radiological investigation are necessary for diagnosis. A more extensive multi-center study is however recommend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ectopic teeth other than the third molar.

호흡보호구 평가용 얼굴 로봇을 위한 한국인 얼굴 피부의 경도 측정 (The Measurement of Korean Face Skin Rigidity for a Robotic Headform of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Testing)

  • 전은진;이아람;정영제;김희은;유희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48-254
    • /
    • 2023
  •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skin rigidity of different facial areas among Koreans and propose guidelines for each area's skin rigidity that can be applied with a facial robot for testing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s. The facial skin rigidity of 40 participants, which included 20 men and 20 women, aged 20 to 50, was analyzed. The rigidity measurement was conducted in 13 facial areas, including six areas in contact with the mask and seven non-contact areas, by referring to the facial measurement guidelines of Size Korea. The facial rigidity was measured using the Durometer RX-1600-OO while in a supine position. The measurement procedure involved contacting the durometer vertically with the reference point, repeating the measurement of the same area five times, and using the average of three values whose variability was between 0.4 and 4.2 Shore OO. The rigidity data analysis used precisio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mixed-effect ANOVA. The analysis confirmed the rigidity of the 13 measurement areas, with the highest rigidity of the face being at the nose and forehead points, with values of 51.2 and 50.8, respectively, and the lowest rigidity being at the chin and center of the cheek points, with values of 19.2 and 20.7, respective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groups were observed in four areas: the tip of the nose, the point below the chin, the area below the lower jaw, and the inner concha.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양악수술후 연조직 변화의 평가 (SOFT TISSUE CHANGES AFTER DOUBLE JAW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조은정;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6
    • /
    • 1996
  • 본 연구는 골격성 III 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골 전방이동수술과 하악골 후방이동수술을 동시에 시행하였을 때 경,연조직 측모 및 연조직 후경의 변화를 관찰하고 경,연조직 변화의 상관성과 그 비율을 산출하여 교정-악교정 수술복합 치료 계획의 수립과 결과의 예측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하여 상, 하악골의 수직적 골격 부조화는 경미하고 전후방적 골격 부조화가 심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술전 교정치료를 받고 1990년 7월부터 1995년 4월 중에 Le Fort I 골절단술 또는 Le Fort II 골절단술로 상악골을 전방이동시키는 동시에 시상분할 골절단술로 하악골을 후방이동시킨 성인 환자 25명(남자 13명, 여자 12명) 을 대상으로 수술전,후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계측,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골의 전방이동에 따른 상순부 연조직의 수평적 변화는 Stms를 제외하면 상관성이 높았으며 A point의 전방이동에 따라 Sn, SLS, LS 는 각각 $71\%,\;67\%,\;37\%$ 의 비율로 전방이동하였다. 2. 하악골의 후방이동에 따른 하순부 연조직의 수평적 변화는 상관성이 상당히 높았으며 ID, B point, Pog, Gn의 후방이동에 따라 LI, ILS, Pog, Gn 은 각각 $84\%,\;107\%,\;96\%,\;97\%$ 의 비율로 후방이동하였다. 3. 하악골의 후방이동에 따라 SLS, LS, Stm, LI 는 중등도의 상관성을 가지며 하방이동하였다. 4. 경조직의 전후안면고경비율과 연조직의 상,하안면고경 은 수술전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술후 Stm 의 하방이동으로 하순고경에 대한 상순고경의 비율은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p<;0.001). 5. 연조직 후경은 수술후 LI-LIH 에서는 증가하고 LS-LSH 에서는 감소하였으며 LS-LSH 의 수술후 변화량과 수술전 후경은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1).

  • PDF

부적절하게 수복된 stainless steel crown에 의해 야기된 하악 제1대구치 이소맹출의 치험례 (TREATMENT OF ECTOPIC ERUPTING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CAUSED BY IMPROPERLY RESTORED STAINLESS STEEL CROWN : CASE REPORT)

  • 박주석;최병재;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8-102
    • /
    • 2000
  • 이소맹출이란 영구치열의 발육 과정중에 국소적 맹출장애로 인하여 정상적 위치에서 벗어난 치아의 맹출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이소맹출은 $2\sim6%$정도의 이환율을 보이고, 제1대구치에서 호발하며 주로 상악에서 많이 나타나고 하악에서는 드물다. 이소맹출의 원인은 국소적 원인으로 부적절한 치열궁 길이, 상악 후방부의 성장 부족, 제1대구치의 근심 맹출, 비정상적으로 큰 제 1대구치 등이 있고, 유전적인 원민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부적절하게 형성된 stainless steel crown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 이소맹출된 치아중 66%는 가역성이므로 $3\sim6$개월 정도의 관찰 기간이 요구된다고 하였으며, 비가역성 이소맹출인 경우에는 brass wire나 elastic separator를 이용한 비교적 간단한 치료 방법, 제2유구치의 distal discing, Humphrey appliance 등과 같이 제2유구치를 유지하면서 치료하는 방법 및 제2유구치 발거후 가철식 장치나 cervical traction headgear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소개되고 있다. 본 증례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7세된 남환아로 구강 검사 및 방사선 사진 검사 결과, 4년전 개인 치과의원에서 수복된 우측 하악 제2유구치의 stainless steel crown에 우측 하악 제 1대구치가 고착되어 근심으로 심하게 경사된 양상을 보였다 원인이 stainless steel crown을 제거하고, Humphrey appliance를 제작하여 장착하였으며, 약 10주 후에 고착 상태가 해소되었다. 본 증례에서와 같이 이소맹출은 부적절하게 형성된 stainless steel crown에 의해 일어날 수 있으므로, stainless steel crown의 수복 치료에 있어서, 적절한 크기의 선택, trimming 및 contouring 등이 매우 중요하다.

  • PDF

하치조신경 마취 후 전기치수검사기(Electric pulp tester)를 이용한 하순부 감각 변화 평가 (Evaluation of the change of lower lip sensation after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by using the electric pulp tester)

  • 구명숙;김진욱;전영훈;권대근;이상한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6호
    • /
    • pp.464-469
    • /
    • 2011
  • Introduction: As dental implant surgery is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it has become one of the causes for the hypesthesia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along with other surgical procedures, such as a third molar extraction. In addition, it tends to cause legal problems between the operator and patient. Therefore, there must be a proper method that is reliable, objective and economical to assess the nerve impairment. For this reason, an attempt was made to use an Electric Pulp Tester to assess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patients were tested. Electric pulp testing of the lower jaw skin was performed at the three different times, before anesthesia, at the onset of sensory changes and after 15 minutes waiting from the onset, and on the 10 points of the chin, which produced 10 sections on the skin area. Results: Twenty seven patients (90%) could feel the electric stimulus on the chin at all 10 points before local anesthesia and the scores represent th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right and left points except R4 and L4. After anesthesia, the differen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points (L3-R3, L4-R4, L5-R5)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ime but two points (L2, R2)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scores on the left chin (L3, L4, L5) increased, whereas the other points (R1-R5, L1, L2)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clinical use of an electric pulp tester for an assessment of inferior alveolar nerve impairment.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Korean Cancer Survivors Who Return to the Workplace

  • Han, Kyu-Tae;Park, Eun-Cheol;Kim, Sun Jung;Jang, Sung-In;Shin, Jaeyong;Kim, Chan Ok;Choi, Jaw Woo;Lee, Sang Gy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0호
    • /
    • pp.8783-8788
    • /
    • 2014
  • Background: Although the prevalence of cancer is increasing, it is no longer synonymous with death. The number of cancer survivors is estimated to be increasing due to development in medical treatments and social programs; cancer survivors are increasingly returning to work after long-term unemployment. Thus, we examined the quality of life (QOL)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return of cancer survivors to the workplac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2008 Community Health Survey administer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548). We used Chi-square tests to compare demographic variables based on self-perceived health status,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to compare QOL scores among groups. We also performed a mixed-mode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QOL and factors at the workplaces of cancer survivors.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our study, the overall QOL of cancer survivors was associated with 'mutual respect', 'free emotional expression', occupation, and age. Moreover, different trends of QOL according to self-perceived health were identified on additional analysis. In the 'bad' self-perceived health group, QO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income. The QOL of cancer survivors in the low-income group was lower than in the other groups. Conversely, the 'normal' group had a lower QOL caused by 'no mutual respect' and "no free emotional expression" in the workplace. The QOL in the 'good' group based on self-perceived health was higher in the younger age group. Conclusions: There may b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QOL and workplace factors for cancer survivors, although further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this relationship in detail. This may facilitate formulation of policy and efforts to prevent and manage the decline in the QOL of cancer survivors returning to work.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에서 Bionator의 적응증에 관한 연구 (AN EVALUATION ON THE INDICATIONS OF BIONATOR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 안석준;김종태;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5-54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bionator를 사용한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후 결과를 토대로 치료전에 치료후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항목들을 알아봄으로써 성장하는 II급 1류 부정교합을 가진 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을 얻는데 있다. bionator를 사용한 앵글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 48명의 치료후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통해 치료결과가 양호한 군(1군)과 치료결과가 불량한 군(2군)으로 나눈 후 양군의 치료전 측모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비교분석을 통해 두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는 계측항목들을 알아보았고, 판별분석을 통해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치료전 골격계측 항목으로는 ANB, facial convexity angle, AB to facial plane angle 등이, 치성계측 항목으로는 L1 to A-Pog, U1 to facial plane, L1 to facial plane 등이, 연조직 계측항목으로는 Ricketts esthetic line 상에서 상, 하순의 돌출도가 양군 사이에 유의한 차를 보였다(SAS t-test, p<0.05). 2. 판별분석을 통해 유의성있게 나타나는 항목의 순위를 본 결과 L1 to facial plane, 하순의 돌출도, ANB과 FMIA 등이 양군의 치료결과의 예측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증감판별분석을 통해 서로 독립적이며 상관계수가 높은 3개의 변수 - L1 to facial plane, articular angle, ANB- 를 선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판별식을 도출하였다.

  • PDF

총의치 장착 후 의치 조정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후향적 연구 (Factors influencing the frequency of denture adjustments after delivery of complete denture: a retrospective study)

  • 이승원;윤준호;유진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239-245
    • /
    • 2022
  • 목적: 총의치를 장착한 환자에서 연령, 성별, 총의치를 장착한 악궁, 틀니 보험 적용 여부, 대합치의 종류, 의치 사용 경험, 무치악 기간, 의치상 종류 등에 따라 의치 장착 후 의치를 조정하는 횟수 및 기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5년 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치과보철과에서 총의치 장착을 시행한 만 65세 이상 환자의 의무기록을 대상으로, 총의치 장착 후 사후 점검의 횟수 및 기간을 평가하였다. 성별, 보험 적용 여부, 총의치를 장착한 악궁, 의치상 종류, 대합치의 종류, 의치 사용 경험, 연령 및 발치 후 의치를 장착하기 전 치유기간에 따른 총의치의 사후 점검 횟수 및 기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5%의 유의수준에서 통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247개의 의치가 포함되었다. 평균 사후 점검 횟수의 중위수는 3회였으며, 사후 점검 기간의 중위수는 36일이었다. 의치를 하악에 장착한 경우가 상악에 장착한 경우보다 사후 점검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 = .036) 대합치가 총의치인 경우가 국소의치인 경우에 비해 사후 점검 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16). 연령, 성별, 보험 적용 여부, 의치 사용 경험, 무치악 기간, 의치상 종류에 따른 사후 점검 횟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번 연구의 한계 내에서, 의치의 조정 횟수는 의치를 장착한 악궁이 하악일 때 및 대합치가 총의치인 경우에서 증가하였다.

상악 완전무치악 및 하악 양측 구치부 결손 고령환자에 대한 상악 가철성, 하악 고정성 보철치료: 증례보고 (Treatment with upper complete denture and lower implant-fixed restorations on an elderly patient presenting fully edentulous maxilla and bilateral posterior edentulous mandible: a case report)

  • 최조셉준석;이성복;이석원;;박정윤;전진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284-292
    • /
    • 2023
  • 안정적인 구치부 교합지지는 적절한 저작기능과 정상적인 안모의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특히 65세 이상의 고령환자에서는 저작기능이 충분한 영양섭취와 환자의 전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무치악, 하악 양측 구치부 치아 상실을 보이는 고령환자의 구치부 교합지지를 회복해주기 위해 상악 총의치를 제작하여 이상적인 교합평면을 설정하였고, 하악 양측 구치부에 컴퓨터 가이드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진행하였다. 임플란트 지지 임시 수복물을 이용한 임플란트 즉시부하를 통해 환자가 수술 후에도 음식 섭취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악 구치부 지르코니아 고정성 보철수복을 완료한 후, 상악 총의치 인공치의 교합면을 Cobalt-Chrome계 금속 합금으로 치환하여 마모 저항성을 향상시켰다. 상악 가철성 총의치, 하악 양측 구치부 고정성 보철 치료를 통해 환자의 교합지지와 저작기능을 빠르게 회복해주고, 최종 치료단계에서는 마모에 대한 장기적 안정성도 얻을 수 있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Diffusion Tensor Imaging of the Lateral Pterygoid Muscle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nd Healthy Volunteers

  • Simin Liu;Changhua Wan;Haosen Li;Weiwei Chen;Chu Pa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2호
    • /
    • pp.218-225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functional evaluation of the lateral pterygoid muscle (LPM) using diffusion tensor imaging (DTI)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TMD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19 patients with TMD (23 male and 96 female;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41 ± 15 years; 58 bilateral and 61 unilateral involvements for a total of 177 joints) and 20 healthy volunteers (9 male and 11 female; 40 ± 13 years; 40 joints) were included in this prospective study. Based on DTI of the jaw in the resting state, the diffusion parameters,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fractional anisotropy (FA), λ1, λ2, and λ3 of the superior and inferior heads of the LPM (SHLPM and IHLPM) were measured. Patients with TMD with normal disc position (ND),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ADWR), and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ADWOR) were compared. Results: Patients with TMD overall, and ADWR and ADWOR subgroups had significantly higher ADC, λ1, λ2, and λ3 in both the SHLPM and IHLPM than those in volunteers (p < 0.05 for all), whereas the ND subgroup only had significantly higher ADC and λ1 (p < 0.001). Meanwhil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 in the SHLPM and IHLPM were found between volunteers and ADWOR (p = 0.014 and p = 0.037, respectively). Among the three TMD subgroups, except for λ3 and FA in the ADWR subgroup, ADWR and ADWOR subgroups had significantly higher ADC, λ1, λ2, and λ3 and lower FA than those in the ND group (p < 0.05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usion variables between ADWR and ADWOR. In ADWOR, the osteoarthritis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λ3 and lower FA values in the IHLPM than those in the non-osteoarthritis group. Conclusion: DTI successfully detected functional changes in the LPM in patients with TMD. The unsynchronized diffusivity changes in the LPM in different subgroups of TMD signified the possibility of using diffusion parameters as indicators to identify the severity of LPM hyperfunction at various stages of TM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