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salted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17초

감초, 겨자 및 키토산을 첨가한 저염 된장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Properties of Low-Salted Doenjang Supplemented with Licorice, Mustard, and Chitosan)

  • 임성일;송선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23-328
    • /
    • 2010
  • 감초, 겨자, 키토산을 첨가하고 전통된장의 염도를 30% 낮춘 된장을 제조하여 된장의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염도를 12.7%에서 10.2, 8.9%로 낮춘 된장에 감초, 겨자, 키토산 등 첨가물의 첨가는 된장의 내부의 균수, 색도, 산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저염된장은 된장표면에 white pellicle-forming strain이 발생하였으나 첨가물을 함유하고 있는 된장에서는 발생되지 않았다. 발효 20일째의 첨가물을 첨가한 염도 8.9% 된장의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332 mg%로서 발효 40일의 염도 12.7%의 된장과 유사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첨가물을 첨가한 저염된장에서 구수한 맛 등이 높게 평가되어 종합적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감초, 겨자, 키토산의 첨가는 된장의 발효시간을 단축시키고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된장의 염도를 8.9%까지 낮출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감초, 겨자 및 키토산을 첨가한 저염 고추장의 특성 변화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Low-salted Kochujang with Licorice (Glycyrrhiza glabra), Mustard (Brassica juncea), and Chitosan during Fermentation)

  • 임성일;송선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60-566
    • /
    • 2010
  • 감초, 겨자, 키토산을 이용하여 전통고추장의 염도를 30% 낮춘 고추장을 제조하여 고추장의 발효 중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염도를 8.5%에서 6.8%, 5.9%로 낮추고 감초, 겨자, 키토산을 첨가하여 40일간 발효한 고추장 내부의 총 균수, 효모수, 색도에서는 처리구간별 유의성이 없었고 젖산균에 있어서는 유의적이었으나(p<0.05) 첨가물이 젖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저염 고추장은 8.5% 염도의 고추장에 비해 고추장표면에 오염 또는 이상발효현상이 발생하였으나 첨가물을 함유한 고추장에서는 그러한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저염 고추장의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발효 20일에 8.5% 염도의 고추장과 유사하였으나, 발효 40일째에서는 염도 8.5%의 고추장에 비해 첨가물을 첨가한 5.9% 염도의 고추장에서 1.6배 높게 검출되었다(p<0.01). 관능평가에서는 첨가물을 첨가한 염도 5.9%의 고추장의 종합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감초, 겨자, 키토산의 첨가는 고추장의 발효기간을 단축시키고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5.9%까지 염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감마선 이용 저염 오징어젓갈 제조시 정미성분의 변화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aste Compounds in Processing of Low Salted and Fermented Squid)

  • 변명우;이경행;김재훈;이주운;이은미;김영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051-1057
    • /
    • 1999
  • Th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aste compounds of low salted and fermented squid were investig ated. Salted and fermented squid products were prepared with salt concentrations of 5%, 10%, and 20% and was fermented at 15oC and 25oC after gamma irradiation with a dosage of 2.5~10 kGy. Amino nitrogen (AN), volatile basic nitrogen(VBN), trimethylamine(TMA), and hypoxanthine(Hx) contents were examin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s. Results showed that gamma irradiation had no effect on the initial con tents of AN, VBN, TMA, and Hx compared with non irradiated salted and fermented squi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s, these contents rapidly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decrease in NaCl concen tration and irradiation dose, and the increase in fermentation temperature. Specifically, the taste compounds of salted and fermented squid prepared with a NaCl concentration of 10% and an irradiation dose of 10 kGy maintained the appropriate level for the fermentation period at 15oC.

  • PDF

저염 명란젓의 Shelf-Life 연장 방안 2. 보존제 첨가에 의한 연장 효과 (The Shelf-Life Extension of Low-Salted Myungran-jeot. 2. The Effects of Commercial Preservatives on the Shel-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 김상무;이근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56-461
    • /
    • 1997
  • Sodium lactateand sodium citrate, traditional food preservatives, were added to extend the shelf-life of the loow-salted Myungran-jeot, and various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with Muungran-jeot, and various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with Myungran-jeot femented at 1$0^{\circ}C$. pH was decreased in the beginning stage of fermentation and then increased, whereas the content of lactic acid was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But, lactic acid production of the low-salted Myungran-jeot with preservative were lower than control. The NH$_2$-N content of the low-salted Myungran-jot with sodium citrate was increased in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Sodium citrate inhibited the productions of VBN and TMA during the fermentation of Myungran-jeot, whereas sodium lactate inhibited the productions of VBN and TBA. Sodium lactate inhibited the growths of proteolytic bacteris and fungi. The estimated shelf-lives of the Myungran-jeot with control, sodium lactate, and sodium citrate were about 11, 13, and 13 days, respectively.

  • PDF

Isolation of Weissella strains as potent probiotics to improve antioxidant activity of salted squid by fermentation

  • Le, Bao;Yang, Seung Hwa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1호
    • /
    • pp.93-100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alted squid by inoculation of two Weissella spp. strains (W. cibaria FB-069 and W. viridescens FB-077) isolated from traditional Korea salted squid. The safety and probiotic potential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strains were evaluated. The safety of these strains was analyzed based on hemolytic activity, mucin degradation, biogenic amino production, and resistance to antibiotics. These lactic acid bacteria showed probiotic potential, including resistance to gastrointestinal tract conditions, adhesion to Caco-2 cells, and aggregation. The low-salted squid fermented with Weissella strains had consistently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rough changing their amino acid profiles. Therefore, W. cibaria FB-069 and W. viridescens FB-077 might be good candidates for fermentation of salted squid to develop functional food with enhanced health benefits.

Sulfite 염에 의한 저염 명란젓의 보존 효과 (The Effects of Sulfite Salts on the Shelf-life of Low-salted Myungranjeot (Soused Roe of Alaska Pollack))

  • 김상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40-946
    • /
    • 1996
  • 저염 명란젓에 sulfite 염을 첨가하여 숙성 중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화학적 및 미생물 변화를 측정하여 저염 젓갈의 shelf-life에 미치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Bisulfite 및 metasulfite 명란젓은 숙성초기에 pH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가 그 후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젖산 생성량도 증가하였다.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아미노태 질소량은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metasulfite 명란젓이 가장 높은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Bisulfite와 metasulfite의 첨가는 숙성 후기의 VBN 및 TMA 생성 억제에 효과적이었으며, 숙성 초기의 TBA 생성을 억제하였다. Bisulfite 및 metasulfite는 fungi를 포함한 미생물의 성장을 현저하게 저해하였다. Sulfite 염 첨가시의 추정되는 shelf-life는 대조군, sulfate, bisulfite및 metasulfite인 경우 각각 16, 14, 20 및 24일이었다.

  • PDF

저식염 오징어 젓갈의 숙성 중 품질변화 및 최적 유통기한 설정 (Quality Changes in Low-Salted Squid Jeot-gal during Fermentation and Determination of Shelf-life)

  • 이경국;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87-694
    • /
    • 2012
  • 본 연구는 저식염 오징어 젓갈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전통수산발효식품 소비의 확산에 기여하기 위하여 염 농도에 따른 발효기간별 품질특성 측정, 발효최적조건, 유통기한 설정 및 발효최적조건에서 제조한 저식염 오징어 젓갈의 생리활성 등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숙성온도가 증가할수록 pH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기간에 따라 대조구인 10% 젓갈의 pH 변화는 거의 없는 반면 3 및 5% 첨가군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pH 5 이하에서는 서서히 감소하였다. 아미노질소와 휘발성염기 질소 또한 발효온도가 증가할수록 각각의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식염의 농도가 낮을수록 휘발성 염기질소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아미노질소의 함량이 최고치가 되는 시점을 최적발효조건 지표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 $-1^{\circ}C$에서 저장한 염 농도 3% 젓갈일 때 41일의 최적발효기한을 나타내었다. 저식염 오징어 젓갈의 냉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항당뇨 및 항대장암은 뚜렷한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일반성분 함량은 식염과 부재료 첨가로 수분과 회분의 함량에 변화를 보였지만 그 이후 저온저장 하는 기간 동안에는 일정하게 유지되다. 구성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은 glycine, arginine, alanine 및 glutamic acid 등의 함량이 절반 이상을 차지함으로써 맛에서 우수하였고, 관능검사결과는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젓갈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염 농도 3% 젓갈을 $-1^{\circ}C$에서 제조, 숙성시킨다면 최근 소비자의 건강상 기호패턴의 변화에 부응시킴과 동시에 전통 수산발효식품의 보급 및 소비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가정에서 발생한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물 쓰레기가 줄지렁이(Eisenia fetida)개체군의 섭식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fferent food-wastes of household on the feeding rate and growth rate of Eisenia fetida(Annelida: Oligochaeta) population)

  • 박광일;배윤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21권1호
    • /
    • pp.85-93
    • /
    • 2013
  • 국내의 4인 가족 가정의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을 염분이 가미된 것과 염분이 가미되지 않은 것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음식물 쓰레기를 염분이 가미되지 않은 채소류, 곡류, 과일류, 염분이 가미된 음식물 쓰레기로 구분하여 줄지렁이에게 공급하면서 지렁이의 섭식량 및 증식률을 조사하였다. 음식물 쓰레기량은 1가정 1주당 3,200 g(1인당 1일 0.114 kg)이었고, 그 중 염분이 가미되지 않은 것은 전체의 53.9%인 1,723.8 g 으로 나타났다. 함수율 70%를 가정하였을 때 채소류, 곡류, 과일류의 염도는 각각 0.60, 036, 0.33%이었고, 염분이 가미된 음식물 쓰레기의 염도는 0.78%이었다. 채소류, 과일류에서는 지렁이의 섭식은 잘 이루어졌으나 증체율이 낮았고, 곡류에서는 상대적으로 섭식량은 낮았지만 증체율이 높았다. 함수율 70%인 먹이의 염도가 0.6% 이상인 경우에는 지렁이의 섭식과 생장이 현저하게 둔화하였고, 0.3%인 경우에는 섭식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생장이 약간 저해되었다. 따라서 염분이 가미된 음식물 쓰레기는 전처리과정 없이는 지렁이 처리가 불가능하며, 염분이 가미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는 지렁이 처리가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장방법을 달리한 절임배추의 장기저장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Salted Baechu with Packaging Methods during Long Term Storage)

  • 한응수;석문식;박지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07-1311
    • /
    • 1998
  • 절임배추의 장기저장에 적합한 포장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해남산 월동배추를 절여서 20 kg씩 대형으로 포장하여 $0^{\circ}C$ 저온저장고에서 8주간 저장하면서 절임배추의 염도, pH, 환원당함량, 총균수, 유산균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플라스틱 상자에 포장하여 덮개를 덮은 것이 가장 빠르게 변질되었고, LDPE로 포장한 것이 품질이 가장 잘 유지되었으며, HDPE 포장은 LDPE보다 약간 빠르게 변화하였는데, 모든 포장구에서 즙액에 잠긴 부분은 품질이 6주이상 양호하였으나 잠기지 않은 부분이 초기부터 빠르게 변질되었으므로, 절임배추는 즙액에 잠기도록 포장하는 것이 품질유지에 아주 중요하였다.

  • PDF

황칠 발효액을 첨가한 된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Prepared with Fermented Hwangchil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 박성은;서승호;유선아;나창수;손홍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72-379
    • /
    • 2016
  • 황칠 추출물에 미생물 균주를 달리 접종하여 제조한 황칠 발효액을 스타터로 첨가하여 제조한 된장의 발효 및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황칠 발효액 접종 시 총균수가 log 8 CFU/mL 이상으로 스타터로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발효 후에는 염도 8%, 10%의 경우 황칠 발효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된장의 총균수가 황칠 발효액을 첨가하지 않은 된장보다 낮았다. pH의 경우 염도 8%, 10% 된장이 12% 된장에 비하여 낮은 pH 값을 보였으며, 이와 반대로 산도는 12% 된장이 낮았다.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발효 후 2,162.5~2,872.2 mg/L로 발효 전보다 함량이 증가하였고 염도가 낮아질수록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높았으며, Bacillus methylotrophicus S8을 이용하여 제조한 저염 된장(염도 8%, 10%)의 경우 같은 염도에서 다른 균주를 이용한 된장보다 glutamic acid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황칠 발효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20일 숙성한 된장의 아미노태 질소는 413.4~700.7 mg%로 염도가 낮을수록 높았으며, 특히 B. methylotrophicus S8을 이용하여 제조한 된장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B. methylotrophicus S8과 Saccharomyces bayanus를 접종하여 제조한 된장에서 좋은 평가를 보였으며 8% 염도의 된장에서 B. methylotrophicus S8의 전체적 기호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