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temperature sterilization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3초

Characteristics of Bacteriophage Isolates and Expression of Shiga Toxin Genes Transferred to Non Shiga Toxin-Producing E. coli by Transduction

  • Park, Da-Som;Park, J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5호
    • /
    • pp.710-716
    • /
    • 2021
  • A risk analysis of Shiga toxin (Stx)-encoding bacteriophage was carried out by confirming the transduction phage to non-Stx-producing Escherichia coli (STEC) and subsequent expression of the Shiga toxin genes. The virulence factor stx1 was identified in five phages, and both stx1 and stx2 were found in four phages from a total of 19 phage isolates with seven non-O157 STEC strains. The four phages, designated as ϕNOEC41, ϕNOEC46, ϕNOEC47, and ϕNOEC49, belonged morphologically to the Myoviridae family. The stabilities of these phages to temperature, pH, ethanol, and NaClO were high with some variabilities among the phages. The infection of five non-STEC strains by nine Stx-encoding phages occurred at a rate of approximately 40%. Non-STEC strains were transduced by Stx-encoding phage to become lysogenic strains, and seven convertant strains had stx1 and/or stx2 genes. Only the stx1 gene was transferred to the receptor strains without any deletion. Gene expression of a convertant having both stx1 and stx2 genes was confirmed to be up to 32 times higher for Stx1 in 6% NaCl osmotic media and twice for Stx2 in 4% NaCl media, compared with expression in low-salt environments. Therefore, a new risk might arise from the transfer of pathogenic genes from Stx-encoding phages to otherwise harmless hosts. Without adequate sterilization of food exposed to various environment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oxicity of the phages might increase.

HACCP 시스템 적용 학교급식 위생관리 수행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울, 경기, 강원,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 (Factors Related to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Based on HACCP System in School Foodservice - Seoul, Gyeonggi, Kangwon and Choongchung Areas in Korea -)

  • 김경미;이심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817-83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based on HACCP system for school foodservi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2008 until December 2008 and is targeted towards schools' dietitians that work at schools with school foodservice.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377 schools in Seoul, 648 schools in Gyeonggido, 160 schools in Kangwondo, 438 schools in Choongchungdo equaling 1,623 schools in total. When school foodservices were put through sanitation management achievement level analysis applied by the HACCP system, results displayed that management of temperature (3.96 points), time (4.08 points), and cross-contamination (4.07 points) were all below the average achievement level. HACCP system's achievement level based on the TQM showed that areas for strategy development, leadership, information and analysis had low achievement levels. Achievement levels for CCP are quality check, delivery/distribution process, sterilization/cleansing of food's contact surface.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d sanitation management achievement level of school foodservice HACCP system; sanitary job standard showed 35.6% and CCP achievement levels showed 26.8% explanatory rate. In particular, Kangwondo's number of foodservice provided to per cook was small. Also, the better the processing management was assessed, the higher the sanitary job standard achievement level became resulting to a explanatory rate of 39.5%. Elementary schools showed a higher explanatory rate of 37.0% than middle and high schools. CCP achievement levels in middle and high schools with self-operated foodservice had a 28.0% variable explanatory rate, which was the highest. The better the drainage system, leadership and assessments turned out to be, the higher the CCP achievement levels became. In summary, to revitalize HACCP system that is based on the TQM, it is considered that proper database of HACCP system for school foodservice's sanitation management be constructed and more emphasis should be put on strategy development to improve customers' satisfactory level. In addition, improvements in achievement levels of time, temperature, and cross-contamination for sanitary job standard and CCP achievement level are essential.

물리적 제어기술이 Aspergillus ochraceus 저감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ysical Control Technology on Aspergillus ochraceus Reduction)

  • 이은선;김종희;김부민;오미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47-453
    • /
    • 2021
  • 본 연구는 식품 생산 환경에서 A. ochraceus를 저감하기 위하여 물리적 제어기술인 광살균(LED, UV), 열수 처리를 통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 ochraceus 포자 현탁액(107-8 spore/mL)를 스테인리스 칩에 1 mL 접종하고 37℃에 건조한 후 각각의 물리적 처리에 적용하였다. LED를 활용하여 30분, 1, 2, 5, 8, 11시간 처리하였으나 균수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UV-C와 열수침지에서는 모두 A. ochraceus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UV-C를 단독으로 스테인리스 칩에 360 kJ/m2까지 조사한 결과 A. ochraceus가 1.27 log CFU/cm2 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열수 처리에서는 가장 고온인 83℃에서 5분간 침지할 경우 A. ochraceus 초기 접종농도인 6.49 log CFU/cm2를 모두 사멸 시켰다. 그러나 고온의 열에너지를 5분간 현장에서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경제성과 사용 적합성 등을 고려하여 비교적 저온인 60℃와 자외선을 복합처리 하여 적절한 저감 조건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복합처리 결과 미온수에서도 침지시간 증가와 UV-C 조사량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불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미온수인 60℃ 물에 작업도구 등을 침지하여 3분간 침지한 후 10분 이상 UV 살균처리 장치에 비치하여 둔다면 작업 중 A. ochraceus가 식품으로 교차오염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양한 전기분해수 세정처리에 따른 깻잎의 저장중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same leaf Cleaned with Various Electrolyzed Water during Storage)

  • 정진웅;김종훈;권기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58-564
    • /
    • 2005
  • 다양한 제조조건에 따른 전기분해수의 물리적 특성 및 미생물의 표면살균 효과, 이에 따른 저장성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격막방식의 강산성 전기분해수는 최소한 저장 30일, 무격막 방식의 전해수는 최소 저장 15일까지는 초기 물리화학적 특성치와 거의 유사한 수준을 보였으며, 저장온도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관내에서 전해수의 미생물 사멸효과는 무격막 방식의 EW-3만이 Salmonella typhimurium이 1분 이내에 사멸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Escherichia coli 등 4균주에서 초기 $10^7\~10^9$ CFU/mL에서 30초 후에 모두 사멸되었다. 또한, 신선 깻잎을 다앙한 전해수 및 수도수 등으로 세정처리하여 저장중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 총균수 및 대장균군은 전해수 처리에 의해 $2\~3$ log scale정도 감균효과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강산성 전해수(EW-1)처리 시에는 저장 13일까지 Bacillus cereus균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부패율은 무처리구의 경우 저장 6일째부터 나타나기 시작했으나 전해수로 세정 처리한 깻잎은 저장 10일째까지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중 색차(${\Delta}E$) 변화는 약알칼리성 전해수(EW-2)와 중성의 전해수(EW-3)로 처리한 시료는 저장 13일후 $1\~2$수준으로 무처리구에 비하여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클로로필 함량의 변화는 초기 $9.0\~10.3\;mg\%$에서 무처리구 13일째 $6.8mg\%$로 가장 크게 감소한 반면 EW-3 처리구에서 $8.35mg\%$로 가장 적게 감소하였으며, 전반적인 관능평가에 있어서는 EW-2와 EW-3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맥류(麥類) 불임발생(不稔發生)의 환경요인(環境要因)에 관한 연구 - 입지조건(立地條件) 및 토양수분(土壤水分)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barley and wheat sterilization - In preference to term of location and soil moisture -)

  • 박경배;정연태;노영팔;박래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5-34
    • /
    • 1979
  • '77/'78맥작기간 영남지방(嶺南地方)에서 발생(發生)한 맥류불임현상의 원인(原因)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이것과 관련(關聯)되는 몇가지 환경요인(環境要因)을 조사(調査)해 본 결과(結果). 1. 기상상태(氣象狀態)는 특(特)히 보리의 주요생육시기(主要生育時期)에 해당(該當)되는 감수분열기(減數分裂期) 및 출수기경(出穗期頃)에 심(甚)한 조발(早魃)과 저온(低溫)이 내습(來襲)하였다. 2.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은 전작(田作)보다 답리작(畓裏作)에서, 표토(表土)보다 심토(深土)에서 많았으며, 사토(砂土)보다는 식토(埴土)가 많았고, 남향(南向)보다 북향(北向)으로 된 경사지(傾斜地)에서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3. 입지조건(立地條件)에 따른 보리이삭의 불임율(不稔率)은 답리(畓裏)이 전작(田作)보다 낮았고, 비상지(扉狀地) 및 평탄지(平坦地)는 구릉지(丘陵地), 산록경사지(山麓傾斜地)보다 낮았고, 남향(南向)보다 북향(北向)으로 된 경사지(傾斜地)가 낮은 편(便)이었다. 4. 경지(耕地)의 토성별(土性別) 불임율(不稔率)은 사토(砂土)에서 높았고, 식토(埴土)에서 낮았으며 작토호(作土戶) 및 유효토심이 얕을수록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5. 답리작(畓裏作), 전작(田作) 다같이 표토(表土) 및 심토(深土)의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과 보리이삭의 불임율(不稔率)과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인정(認定)되었다. 6. 따라서 맥수 생식생장기간(生殖生長期間)의 주요시기(主要時期)에 수분부족(水分不足)은 수(穗)의 불임발생(不稔發生)의 주요원인(主要原因)으로 인정(認定)되었고, 이와함께 극심(極甚)한 저온(低溫)은 불임발생(不稔發生)을 더욱 조장(助長)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etermination of Optimal Storage Condition for Pre-packed Hanwoo Loin

  • Seol, Kuk-Hwan;Park, Tu San;Oh, Mi-Hwa;Park, Beom-Young;Cho, Seong In;Lee, Mooh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90-394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storage condition of pre-packed Hanwoo beef without freezing. Hanwoo loin was purchased from a local distributor at 48 h after slaughter, then sliced in $1.5{\pm}0.5$ cm thickness, and packed in a polyethylene (PE) tray covered with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 film. The studied factors to set the optimal storage condition were chamber temperature (5, 2.5 and $-1^{\circ}C$ for 14 d), cooling method (direct and indirect cooling system), and ultraviolet (UV) light irradiation for beef surface sterilization (0, 30, 60, and 120 min). The changes of pH,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number of aerobic bacteria were measured during storage. Beef samples stored in $-1^{\circ}C$ showed the minimal increasing rate in TBARS and microbial growth. After 15 d of stor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and TBARS values. However, the microbial population of beef stored in direct type cooling chamber ($4.25{\pm}0.66$ Log CFU/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eef stored in indirect type chamber ($6.47{\pm}0.08$ Log CFU/g) (p<0.05). After 4 d of storage, 60 or 120 min UV light irradiated beef sampl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microbial population, and at 14 d of storage, 60 min UV irradiated beef sample showed significantly lower microbial population ($3.14{\pm}0.43$ Log CFU/g) than control ($4.46{\pm}0.13$ Log CFU/g) (p<0.05). However, TBARS values of 60 or 120 min UV light irradiated beef samp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irradiated beef sample after 4 d of storage (p<0.05).

향부자 괴경의 출아특성과 제초제에 대한 반응 (Sprouting Characteristics and Herbicidal Responses of Purple Nutsedge)

  • 김진석;신욱균;김태준;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0-127
    • /
    • 1994
  • 향부자 괴경의 저장조건, 환경조건 및 취급방법에 따른 출아력과 기존제초제들에 대한 반응차이를 조사하여 괴경을 제초활성검정의 실험재료로써 이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찾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확당시에도 높은 출아력을 보여 휴면이 없었으며, 괴경을 수세하여 스포탁(prochloraz 25%) 2000배액에 소독한 후, 저온조건에 자체 저장했을 때가 가장 높은 출아력을 보여 저장 3, 6개월째에 각각 90, 80%였다. 2. 괴경은 생체중의 54.3%가 수분이었으며 수분함량이 낮아질수록 출아력이 떨어져 생체 중 감소율이 48% 이상에서는 사멸되었다. 그러나 괴경을 $4^{\circ}C$ 물속에 6개월간 보관하여도 88% 이상의 출아력을 가졌다. 3. $35^{\circ}C/25^{\circ}C$ 조건에서 출아 및 초기생육속도가 가장 빠르며, 괴경당 출아눈수도 $25^{\circ}C/15^{\circ}C$ 조건에서 3.8개, $30^{\circ}C/20^{\circ}C$ 조건에서는 4.8개로써 온도가 높을수록 많았다. 4. 전반적으로 괴경무게가 큰 것일수록 생장력이 좋았지만 중간크기 이상의 것 간에는 생육면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이를 1/2 절단하여도 괴경당 출현 눈수 또는 생체중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1/4 절단했을 경우만 괴경당 출현 눈수가 적었다. 따라서 중간크기 이상의 괴경(약 1. 2g 이상)을 1/2 정도도 절단하여 실험 재료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리라 생각되었다. 5. 실제 $56{\times}35{\times}16cm$ 크기의 폿트에 원예용 부농상토를 담고 괴경 10개를 섬은 다음 3개월간(4월-7월) 재배한 경우 약 1000개의 괴경을 수확할 수 있었다. 6. 처리한 제초제들 중 향부자에 대해 가장 낮은 농도에서 양호한 방제력을 보인 것은 Chlorimuron이었고, 처리농도는 높지만 토양 및 경엽처리에서 모두 확실한 방제력을 가지는 것은 Bentazon, Norflurazon이었다.

  • PDF

셀레늄강화 버섯폐배지에 대한 사료 셀레늄공급원으로의 평가 연구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the Spent Composts of Selenium-Enriched Mushrooms as a Feed Selenium Source)

  • 김완영;민정기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7권1호
    • /
    • pp.118-130
    • /
    • 2005
  • 본 연구는 버섯을 키우는 배지에 무기셀레늄을 배지 kg당 2 mg을 첨가하여 셀레늄강화팽이버섯을 생산하고, 인체 또는 가축의 셀레늄 급원으로서 버섯과 폐배지 각각의 셀레늄함량 및 조성 그리고 버섯내에서 일어나는 셀레늄축적 대사를 조사하였다. 무처리버섯과 셀레늄처리버섯의 총 셀레늄 함량은 셀레늄처리버섯이 건조 g당 4.51 ㎍의 셀레늄을 나타내어 셀레늄 무처리 버섯의 0.23 ㎍에 비하여 약 20 배정도 증가하였다(P<0.0001). 그리고 유기셀레늄 비율은 셀레늄처리버섯에서 72.30%를 나타내었고, 무처리 버섯은 무기셀레늄이 검출되지 않아, 총 셀레늄 중 유기셀레늄의 비율이 100%로 평가되었다(P<0.0001). 폐배지 내 셀레늄함량은 셀레늄처리버섯 폐배지에서 건조 g당 5.04 ㎍으로 나타났고, 무처리 폐배지에서는 0.08 ㎍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01). 셀레늄처리버섯 폐배지의 유기셀레늄 비율은 65.67%로 높게 나타나, 폐배지 내 존재하는 상당량의 셀레늄이 버섯균사에 의해 첨가된 무기셀레늄이 유기셀레늄으로 전환되었다. 버섯배지의 살균으로 셀레늄 손실율은 약 18%로 나타났고, 버섯 체내 셀레늄 외관상 및 순수 축적율은 각각 14.81 및 10.14%였고, 외관상 축적율에 의해 계산된 셀레늄의 4.67%가 버섯체내 대사에 의해 공기 중으로 휘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배지 내 무기셀레늄의 첨가는 버섯 내 셀레늄함량을 증가시켰고, 인체 내 유용한 유기셀레늄이 다량 존재하였으며, 폐배지에서도 상당량의 유기셀레늄이 존재하여 가축의 셀레늄공급원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배지 내 셀레늄은 살균으로 인하여 상당량의 셀레늄이 손실되었고, 버섯체내 축적된 셀레늄은 대사과정에 의해 공기 중으로 휘발되는 것으로 나타나 상기의 폐배지를 가축에 사용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