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HDL-cholesterol

검색결과 664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 성인의 식품안정성에 따른 연령별 건강 및 영양섭취상태 : 2010~2012년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adults according to age and household food security: Using the data from 2010~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박근아;김성희;김석중;양윤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6호
    • /
    • pp.603-614
    • /
    • 2017
  • 본 연구는 2010~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0~79세 한국 성인 총 16,595명을 대상으로 식품안정성에 따른 건강 및 영양섭취상태를 살펴보았다. 식품안정성 문항의 답변에 따라 Secure군은 7,256명 (43.7%), Mildly insecure군은 8,764명 (52.8%), Moderately/Securely insecure군은 575명 (3.5%) 이었다. 식품불안정은 나이가 많을수록, 여성일수록, 교육 및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독거인 경우, 체질량지수, 현재 흡연율, 운동유무,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20~39세 그룹에서 식품불안정성이 높은 군일수록 헤모글로빈은 낮았고, 철결합능은 높았으며, 40~59세 그룹에서 식품불안정성이 높은 군일수록 HDL-콜레스테롤이 낮았으며, 60~79세 그룹에서 식품불안정성이 높은 군일수록 총 콜레스테롤이 높게 측정되었다. 식품안정성이 불안정할수록 20~39세 남자에서는 수면시간이 적었고, 40~59세 남자에서는 우울증상과 자살을 생각해본 비율이 높았고 60~79세 남자는 수면시간이 많았고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고 우울증상과 자살을 생각해 본 대상자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식품안정성이 불안정한 여성은 40~59세, 60~79세 공통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며 우울증상과 자살생각과 같은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영양소 섭취량은 식품불안정이 높은 그룹일수록 전체적인 영양소 섭취량이 낮은 경향을 보였고, 전반적으로 20~39세 그룹에서는 Secure군과 Mildly insecure군의 섭취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반면, 40~59세, 60~79세 그룹에서는 세 그룹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식품섭취량은 모든 그룹에서 식품불안정이 높은 그룹일수록 전반적인 식품섭취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식품안정성은 나이, 성별, 교육, 소득수준, 독거 유무, 직업 특성 및 활동 가능성 여부 등과 관련이 있으며 식품안정성은 식품섭취와 영양소 섭취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우울증, 자살생각과 성인의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한국 성인 및 노인에게 식품불안정이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상태와 식이섭취상태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젊은 성인보다 중년과 노인이 식품불안정에 따른 건강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연령에 따라 식품안정성과 건강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영양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고지방식이 마우스의 체중과 혈청지질 및 항산화계 효소활성에 미치는 발효 비지의 식이효과 (Dietary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Biji) on Body Weight, Serum Lipid Profiles, and Antioxidation-Related Enzymes Activity of Mice Fed a High Fat Diet)

  • 이상일;이예경;김순동;이인애;최종근;서주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043-105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대두가공부산물의 하나인 비지(SCR: soybean crud residue)를 이용하여 만든 메주를 항비만 또는 혈중지질 개선용의 식 의약 소재로써의 직접적인 이용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우리나라의 전통메주 발효의 주요 미생물의 하나인 Aspergillus oryzae var effuses KACC 44990로 발효시킨 메주(ASCR)와 홍국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미생물의 하나인 Monascus pilosus IFO 4480으로 발효시킨 메주(MSCR) 및 이들을 1:1(w/w)로 상호 혼합한 메주(AMSCR)를 제조하였으며 이들 메주를 각 2%씩 함유하는 고지방식이로 8주간 마우스를 사육하였을 때의 체중, 혈액 및 간 조직 지질의 함량 변동과 간 조직 ROS 생성계 및 소거계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SCR, ASCR, MSCR 및 AMSCR은 고지방식이 또는 비만으로 유도된 간, 심장, 신장, 고환의 비대 현상과 부고환 주변 지방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그 효과는 AMSCR>ASCR>MSCR>SCR 순으로 ASCR과 AMSCR에서 높았다. SCR, ASCR, MSCR 및 AMSCR은 고지방식이 또는 비만으로 유도된 혈청과 간조직의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혈청의 HDL 콜레스테롤 함량을 높이면서 LDL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특히 ASCR은 중성지방의 함량을, 그리고 MSCR은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각각 감소시키는 효과가 높으며, ASCR과 MSCR을 혼합한 AMSCR에서 종합적인 지질개선 효과가 높았다. SCR, ASCR, MSCR 및 AMSCR은 고지방식이 또는 비만상태에서 나타나는 간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그 효과는 AMSCR>ASCR>MSCR>SCR 순으로 컸다. SCR, ASCR, MSCR 및 AMSCR은 고지방식이 또는 비만상태에서 나타나는 ROS 생성계 효소인 XO의 활성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ROS 소거계 효소인 SOD, GPX 및 GST의 활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그 효과는 AMSCR>ASCR>MSCR>SCR 순으로 컸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을 통하여 발효비지는 항비만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氣)체조 운동중재가 여성고령자의 혈당, 혈중지질, 체력(SFT)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Qigong Exercise Intervention upon a Change in Glucose, Blood Lipid and SFT(Senior Fitness Test) in Elderly Women)

  • 김지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36-144
    • /
    • 2017
  • 본 연구는 기체조 운동중재가 여성고령자의 혈당, 혈중지질, 체력(SFT)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여성고령자들의 건강증진 활동을 위한 기체조 운동중재의 효용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80세 이상 여성고령자 총 24명을 각각 기체조집단(n=12)과 통제집단(n=12)으로 나누고, 24주간 주5회 1일 60분씩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0.0으로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첫째, 혈당은 기체조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혈중지질은 기체조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중성지방(TG)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총콜레스테롤(TC), 고밀도지단백(HDL-C), 저밀도지단백(LDL-C)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체력(SFT)은 기체조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하지근력, 하지유연성, 전신지구력 모두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기체조는 여성고령자들의 혈당, 중성지방(TG) 감소와 SFT체력(하지근력, 하지유연성, 전신지구력) 향상에 영향을 미쳐 여성고령자 운동처방 프로그램으로의 효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여대생의 하체 비만관리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경락마사지를 중심으로- (Low Body Obesity Control with Female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Meridian Massage with Aroma Essential Oil-)

  • 윤은채;김영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360-366
    • /
    • 2009
  • 본 연구는 하체 비만 해소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여대생을 대상으로 아로마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경락마사지를 한 후 그 결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본 연구에 참여를 희망하는 여대생을 중심으로 선발하였으며, 기간은 2008년 4월부터 6월까지로 8주였다. 선발군은 체성분 분석기로 체지방량과 체중을 측정하고 그 평균을 측정치로 이용하였으며, 표준과 과체중 각 4명씩, 비만 8명으로 분류하고 비만을 실험군으로, 표준과 과체증을 대조군으로 삼았다. 각 군은 아로마 에센션 오일 중 비만 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쥬니퍼 베리, 사이프러스, 파출리를 1:1:0.8의 비율(5방울(약 1ml),5방울, 4방울)로 혼합한 후 베이스오일로 30ml의 호호바 오일과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선발군에 에센셜 오일 테스트를 거친 후 30분씩 하체 부위에 경락마사지를 실시하는 실험을 하였다. 실험을 통해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체중, 허벅지와 종아리 치수, 체지방률이 줄어드는 결과를 얻었다. 체지방률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체지방률이 감소하였다. 다만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한 명씩이 체지방률이 약간 증가하였다. 혈액측정을 통한 연구 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총콜레스테롤, LDL, 중성지방, 혈당 수치가 감소하였으나, HDL은 수치가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여대생들의 잘못된 비만 관리가 이상 수치를 일으킬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실험자의 각오와 인내심에 따라 결과치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Effects of natural raw meal (NRM) on high-fat diet and dextran sulfate sodium (DSS)-induced ulcerative colitis in C57BL/6J mice

  • Shin, Sung-Ho;Song, Jia-Le;Park, Myoung-Gyu;Park, Mi-Hyun;Hwang, Sung-Joo;Park, Kun-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6호
    • /
    • pp.619-627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Colitis is a serious health problem, and chronic obesity is associated with the progression of colit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atural raw meal (NRM) on high-fat diet (HFD, 45%) and dextran sulfate sodium (DSS, 2% w/v)-induced colitis in C57BL/6J mice. MATERIALS/METHODS: Body weight, colon length, and colon weight-to-length ratio, were measured directly. Serum levels of obesity-related biomarkers, triglyceride (TG), total cholesterol (TC), low density lipoprotein (LDL),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insulin, leptin, and adiponectin were determined using commercial kits. Serum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 (IL)-$1{\beta}$, and IL-6 were detected using a commercial ELISA kit. Histological study was performed using a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assay. Colonic mRNA expressions of TNF-${\alpha}$, IL-$1{\beta}$, IL-6,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were determined by RT-PCR assay. RESULTS: Body weight and obesity-related biomarkers (TG, TC, LDL, HDL, insulin, leptin, and adiponectin) were regulated and obesity was prevented in NRM treated mice. NRM significantly suppressed colon shortening and reduced colon weight-to-length ratio in HFD+DSS induced colitis in C57BL/6J mice (P < 0.05). Histological observations suggested that NRM reduced edema, mucosal damage, and the loss of crypts induced by HFD and DSS. In addition, NRM decreased the serum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alpha}$, IL-$1{\beta}$, and IL-6 and inhibited the mRNA expressions of these cytokines, and iNOS and COX-2 in colon mucosa (P < 0.05).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NRM has an anti-inflammatory effect against HFD and DSS-induced colitis in mice, and that these effects are due to the amelioration of HFD and/or DSS-induced inflammatory reactions.

PTU(6-n-propyl-2-thiouracil)로 유발된 Rat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미치는 烏梅의 효과 (Effects of Mume Fructus on the Rat Hypothyroidism Induced by PTU(6-n-propyl-2-thiouracil))

  • 최재영;노성수;박지하;구진숙;서부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09-119
    • /
    • 2015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queous extracts of Mume Fructus(MF) on the 6-n-propyl-2-thiouracil(PTU)-induced rat hypothyroidism.Methods : Aqueous extracts of MF(yield = 19.38%) were administered, once per day for 42 days from 2 weeks before starting of PTU treatment as an oral dose of 300 and 150 ㎎/㎏(body weight), and hypothyroidism was induced by daily subcutaneous treatment of PTU 10 ㎎/㎏ for 28 days. The changes in the body weight, thyroid gland weights, liver weight, serum levels of thyroid hormone-thyroid stimulating hormone(TSH), tri-iodothyronine(T3) and thyroxine(T4),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LDL), high density lipoprotein(HDL) and triglyceride (TG),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ferase(ALT), liver antioxidant defense system-lipid peroxidation, H2O2, superoxide dismutase(SOD) and catalase(CAT) were examined with histopathology of thyroid glands and liver.Results : Results were compared with LevoT40.5 ㎎/㎏ treated rats. MF extracts recovered from the decreases in the body weight, liver weight, T3and T4, TG, liver CAT activities as results of PTU treatment. And MF extracts recovered from the increases of thyroid gland weights, TSH, HDL contents, liver H2O2, AST as results of PTU treatment. In addition, these PTU-induce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thyroid glands and liver related to hypothyroidism were dramatically decreased by treatment of both different dosages of MF extract, respectively.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MF extracts have advantageous effects on the thyroid hormone productions with beneficial effects on the hypothyroidism related liver injuries mediated by the modulation on the antioxidant system.

당뇨 마우스에서 여주발효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능 (The Efficacy of Lowering Blood Glucose Levels Using the Extracts of Fermented Bitter Melon in the Diabetic Mice)

  • 박혜선;김우경;김현표;윤영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3호
    • /
    • pp.259-265
    • /
    • 2015
  • 비터멜론으로 알려진 여주(Momordica charantia)는 항암, 항바이러스, 항균, 항염증, 진통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한 흥미로운 약리활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민간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된 여주의 효능은 최근에 과학적인 보고에 의해 증명이 되고 있으며, 현재 당뇨병 예방과 치료를 위해 연구되어야 할 가장 기대되는 기능성 식물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주를 유산균으로 발효하여 추출하고 이것이 혈당을 감소시켜 당뇨병을 조절할 수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발효한 여주를 열수 또는 에탄올로 추출한 후, 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여 고혈당 조절 등 여러가지 생물학적 활성을 테스트를 하였다. 여주발효추출물은 알록산으로 유도한 당뇨 마우스모델의 혈당을 유의적 수준에서 저하시켰고, 또한 알록산 처리에 의한 간 손상을 보호하였으며 중성지방은 낮게 그리고 HDL 콜레스테롤은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여주와 유산균을 결합한 새로운 방법이 여주의 효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혈당 강하와 간 손상 억제 및 혈중 지질 조절 등 건강기능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사료된다.

당뇨병 유병기간에 따른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 위험 인자: 국민건강영양조사 6기 자료 이용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Diabetic Patients according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희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08-217
    • /
    • 2018
  • 당뇨병 유병기간에 따른 심혈관 질환의 혈청학적, 합병증의 양상을 국민건강영양조사 6기(2013-2015)의 모든 가용 데이터를 사용하여 당뇨병 환자의 치료뿐 아니라 향후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건강 설문, 검진, 영양조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18~80세 미만으로 나이를 제한하였고, 당뇨병 유병기간을 응답한 1,316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당뇨병 유병기간에 따라 0-5, 6-10, 11-15, 16-20, 20년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당뇨병 유병기간이 길어질수록 나이는 많아지고, BMI는 낮고, 흡연자의 비율은 떨어지며, HbA1c는 상승하고 사구체 여과율은 낮아졌다. 총 콜레스테롤, LDL-C, 중성 지방 수치는 낮고, HDL-C 수치는 비슷하였다. 인슐린 및 경구용 항고혈당제제를 치료 받는 환자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당뇨병 기간이 길수록 혈당 조절이 악화되었고, 미세혈관 및 대혈관합병증의 위험도는 상승하였다. 이러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집중적인 치료와 모니터링으로 위험요인을 통제해야 할 것이다.

머신러닝을 활용한 식품소비에 따른 대사성 질환 분류 모델 (Metabolic Diseases Classification Models according to Food Consumption using Machine Learning)

  • 홍준호;이경희;이혜림;정환석;조완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54-360
    • /
    • 2022
  • 대사성 질환은 국내의 경우 유병률이 26%에 이르는 질환으로 복부비만, 고혈압, 공복혈당장애, 고중성지방, 낮은 HDL 콜레스테롤 5가지 상태 중 3가지를 동시에 가진 상태를 말한다.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의 소비자패널 데이터와 건강보험공단의 진료 데이터를 연계하여 식품 소비 특성을 통해 대사성 질환자군과 대조군으로 나누는 분류 모델을 생성하고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기존의 국내외에서 연구된 많은 대사성 질환과 식품 소비 특성 관련 연구는 특정 식품군이나 특정 성분의 질환 상관성 연구이며, 본 논문은 일반 식사에서 포함하는 모든 식품군을 고려한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분류 모델, 의사결정나무 기반 분류 모델, XGBoost를 활용한 분류 모델을 생성하였다. 세 가지 모델 중 정확도가 높은 모델은 XGBoost 분류 모델이지만, 정확도가 0.7 미만으로 높지 않았다. 향후 연구로 환자군의 식품 소비 관찰 기간을 5년 이상으로 확대하고 섭취한 식품을 영양적 특성으로 변환한 후 대사성 질환 분류 모델 연구가 필요하다.

Comparative analysis of energy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household type and pres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men based on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6-2018)

  • Park, Jonghoon;Park, Yeonhee;Lee, Youngjun;Lee, Jungwoo;Lee, Seunghee;Shin, Chulho;Sung, Eun-Sook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7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energy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PA) levels in middle-aged Korean men aged 40-59 years according to household type and the presence of metabolic syndrome (MetS). [Methods] Data from 2,266 young adults (aged >39 years and <60 years) were obtained from the KNHANES. We analyzed the differences in energy intake and PA levels according to household type and Me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tS was determined by measuring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glucose, triglyceride, and HDL-C levels. [Results] Regarding total nutritional intake, no relationship with MetS was observed regardless of household type (interaction between MetS and household type: p = 0.875). No differences in total PA were observed between multiple- and single-person households (interaction between MetS and household type: p = 0.122). The relationship between MetS and MetS components according to nutritional intake showed that participants with a higher energy intake had a 27% lower prevalence of low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p < 0.05) and a 36% higher prevalence of high blood pressure (p < 0.01). The relationship between MetS and MetS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A level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prevalence of MetS by approximately 39%, 35%, and 43% (p < 0.01, 0.01, and 0.001) in subjects who were somewhat active, active, and very active, respectively, compared to inactivity. [Conclusion] Middle-aged men showed no difference in nutritional intake and PA between multiple- and single-person households. However, the risk of Me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rticipants with approximately 1.5 times the energy intake compared to the group with the lowest energy intake. Moreover, higher levels of PA had a marked positive effect on the risk factors and prevalence of MetS. Therefore, we suggest that reducing the total energy intake and increasing total PA are important for preventing MetS in middle-aged men regardless of household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