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quat flesh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7초

국내산 비파(Eriobotrya japonica Lindley)를 첨가한 Stirred Yoghurt의 제조 (Preparation of Stirred Yoghurt from Milk Added with Korean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ey))

  • 고진경;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0-206
    • /
    • 2005
  • 비파를 첨가한 stirred yoghurt를 제조하기 위하여 비파 착즙액 $15\%$를 Skim milk에 첨가하여 Streptococcus thermophilus 와 Lactobacillus acidophilus 혼합균주로 발효시킨 발효유에 비파 과육 첨가량 $(5\%,\;10\%,\;15\%,\;w/v)$과 올리고당 첨가량 $(10\%,\;15\%,\;20\%,\;25\%,\;w/v)$을 달리하여 제조한 stirred yoghurt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비파 과육 $15\%$와 올리고당 $20\%$를 첨가하였을 때 단맛, 신맛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색도 측정 결과 비파 과육 $15\%$ stirred yoghurt에 올리고당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값)와 적색도(a값)는 감소하였고 황색도(b값)는 증가하였다. Texture 특성은 $15\%$ 비파 과육 첨가 stirred yoghurt에 올리고당 $20\%$ 첨가시 견고성(hardness), 탄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 껌성(gumminess)과 탄력성(resilience)등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15\%$비파 착즙액 첨가 발효유에 $15\%$비파 과육과 $20\%$ 올리고당의 첨가가 비파 첨가 stirred yoghurt 제조를 위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비파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Effec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Ethanol Extracts of Different Aerial Par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s)

  • 이환;김연경;이현주;이재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11-220
    • /
    • 2016
  • 본 연구는 비파 씨, 과육 및 잎의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이 항산화효과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비파 잎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비파 씨, 과육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비파 씨, 과육 및 잎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의 $IC_{50}$값은 0.049, 0.063, 0.042 mg/mL로 비파 씨와 잎이 과육에 비하여 항산화 활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Rancimat에 의한 항산화능 측정 결과도 비파 씨와 잎 추출물이 높게 나타났다. 비파 부위별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비파 씨 에탄올 추출물은 위암과 폐암세포는 농도 의존적으로 저하시켰으나, 간암세포의 경우는 $400{\mu}g/mL$부터 유의하게 저하시켰다. 비파 잎과 과육 에탄올 추출물은 고농도에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비파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는 모든 부위에서 나타났으며, 특히 비파 씨 추출물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비파 부위별 분말의 영양성분 비교 (A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nen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Lindl.) Powder in Different Aerial Components)

  • 이환;김연경;이재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41-549
    • /
    • 2015
  • This study compares the major nutritional components of the leaf, flesh, and seed of dry loquat (Eriobotrya japonicaLindl.). Among proximate compositions, the crude fat, crude ash, and dietary fiber of the leaf exceeded those of the seed and flesh, whereas the carbohydrate content of the leaf was lower than that of the seed and flesh. The main component of free sugars in the leaf, flesh, and seed was fructose. Total amino acids of the leaf, flesh, and seed were 552.43, 63.00, and 260.29 mg%, respectively. Although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the leaf, flesh, and seed varied, glutamic acid and ${\gamma}$-aminobutyric acid were the major amino acids in the leaf, flesh, and seed. Major fatty acids of total lipid were oleic acid and stearic acid in the leaf and seed, and the major acid was linoleic acid in the flesh. Major organic acids were oxalic acid in the leaf, maleic acid in the flesh, and citric acid in the seed. Vitamin C content was higher in the seed than in the leaf and flesh.

한국산 비파의 부위별 영양성분 (Nutrition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Loquat(Eriobotrya japonica Lindl.))

  • 배영일;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7-63
    • /
    • 1998
  • To furnish basic data about the utilization of Korean loquat as floo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Nutritional components in leaves, fruit excluded seed, flesh and seed of Korean loquat were analyzed as follows : moisture 48.7%, 87.8%, 88.3% and 59.5% ; total sugar 1.57%, 7.21%, 7.36% and 2.41% ; crude protein 5.23%, 1.61%, 1.44% and 4.31% in each portion, respectively. The highest mineral contents of loquat leaves, fruit excluded seed, flesh and seed were Ca 2,458ppm, K 661ppm, 654ppm and 1,528ppm, and water soluble vitamins such as ascorbic acid, thiamin and pyridoxine were confirmed in different pares of Korean loquat, the contents of those were high thiamin 5.86mg% in leaves and ascorbic acid 1.l0mg%, 1.26mg% and 4.90mg% in fruit excluded seed flesh and seed,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free sugars were high sucrose 0.87%, glucose 0.62%, 0.6475 and rhamnose 0.20%, and major organic acid were detected oxalic acid 1,693.70mg%, malic acid 201.70mg%, 207.60mg% and citric acid 55.70mg% in each portion, respectively. Free amino acid were identified 21, 14, 14 and 16 kinds of leaves, fruit excluded seed, flesh and seed, respectively and their contents in each portion were highest glutamic acid 280.22mg%, proline 35.l0mg%, glutamic acid 56.96mg% and sarcosine 230.24mg%, respectively. Volatile components were identified 25 and 11 kinds of leaves and flesh and their contents were highest d-nerolidol 28.70ppm, hexadecanoic acid 16.67ppm, respectively.

  • PDF

비파 부위별 추출물이 3T3-L1 세포와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oquat(Eriobotrya japonica Lindl.) Extracts in Different Aerial Components on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and Pig Preadipocytes)

  • 이환;이재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63-873
    • /
    • 2016
  • The curr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seeds, flesh or leaves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and male pig preadipocytes. The cell number was measured with the MTT assay after trypsin digestion. The cell differentiation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GPDH) activity and triglyceride(TG) content. No cytotoxicity was observed from the loquat flesh and leaf ethanol extracts at concentrations of 5, 10, 25, 50, 100 or $200{\mu}g/mL$ in 3T3-L1 cells and pig preadipocytes. However, the cell viability of neither cell line were affected by up $50{\mu}g/mL$ of loquat seed ethanol extract. Treatment with the loquat seed and leaf ethanol extracts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terminal differentiation of both cell lines in a dose-dependent manner, as confirmed by the decrease in the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GPDH) activity and TG content. Treatment with the loquat seed and leaf ethanol extracts inhibited the GPDH activity and reduced the TG content of both cell types more effectively than that with the loquat flesh ethanol extract. The most potent anti-adipogenic effect was obtained in the case of the ethanol extract of loquat seeds.

비파의 유리당, 유기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조성 (Composition of Free Sugars Organic Acids and Free Amino Acids in Loquat Flesh)

  • 조영숙;박석규;이홍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9-93
    • /
    • 1991
  • For the investigation of major taste components in loquat(Eiobotrya japonica) flesh its conte-nts and compositions of free sugars organic aicds and free amino acids were analyzed Major free sugars of the fully ripened loquat were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and their contents were 3,71, 3.42 and 0.46%(w/w) respectively. The content of total sugar 13.7% was 2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unripe fruit. The content of total organic acid was about 0.2% (w/w) and major organic acids were malic acid -89mg% formic acid -32mg% and oxalic acid -26%mg% Thirteen kinds of free amino acids from the fully ripened loquat were confirmed. Major free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valine glutamic acid serine alanine and histidine and their contents were in the range of 18-30mg%.

  • PDF

국내산 비파 열매의 화학적 성분 분석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Fruit)

  • 이부용;박은미;김은정;최희돈;김인환;황진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28-432
    • /
    • 1996
  • 국내에서 재배 수확되는 비파나무(Eriobotrya japonica Lindl.) 열매의 가공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화학적 성분들을 분석하였다. 건물 기준으로 비파열매 과육과 씨의 조지질은 0.53%와 0.83%, 조단백질은 0.05%와 5.27%, 조섬유는 3.46%와 3.49%, 조회분은 3.24%와 2.78%, 당질은 92.72%와 87.63%이었다. 비파 열매 과즙의 당도는 약 $12^{\circ}Bx$, pH는 4.43,산도는 구연산으로 0.18%이었다. 과육과 씨의 $3^{\circ}Bx$추출물 유리당 조성은 프럭토스 0.77%와 0.31%, 글루코스 0.73%와 0.79%, 슈크로스 0.52%와 0.19%로 나타났으며, 씨에는 특징적으로 리보오스가 0.56% 함유되어있었다. 비파 과육의 아미노산은 글루탐산이 336.72mg%, 아스파르트산이 251.06 mg%로 가장 많이 , 리신과 아르기닌은 각각 5.26 mg%와 30.90mg%로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씨에도 글루탐산이 448.23 mg%, 아스파르트산이 335.63 mg%로 가장 많이, 히스터딘과 이소로이신은 각각 37.89mg%와 44.20mg%로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과육과 씨에는 칼륨이 전체 회분의 32627.95 mg%와 28936.28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비타민 A와 C는 과육과 씨에서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Chloroform-methanol (2 : 1)로 추출한 비파 씨의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 23.72%, stearic acid 3.81%, oleic acid 8.55%, linoleic acid 54.29% 및 linolenic acid 9.63%이었다. Silicic acid 컬럼으로 분획한 결과 중성지질 43.78%, 당지질 12.32% 및 인지질 43.90%의 조성비를 나타내었다. 각 분획들의 지방산 조성은 중성지질의 경우 palmitic acid 28.89%, stearic acid 6.80%, oleic acid 11.07%, linoleic acid 40.67% 및 linolenic acid 12.58%, 당지질의 경우 palmitic acid 13.21%, stearic acid 4.56%, oleic acid 6.53%, linoleic acid 64.92% 및 linolenic acid 10.77%, 인지질의 경우 palmitic acid 30.95%, stearic acid 3.40%, oleic acid 9.09%, linoleic acid 48.45% 및 linolenic acid 8.10%이었다.

  • PDF

비파(枇杷)의 항암효과에 대한 암세포특이성 검정 (Anticancer Effect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by Specificity Test with Several Cancer Cell Lines)

  • 황태익;임현옥;이재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14-320
    • /
    • 1996
  • 비파의 항암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비파를 잎 줄기 과실 종자로 나누어 정상세포와 여러 가지 암세포주를 비교하여 특이적으로 암세포를 공격하는지 여부를 MTT방법에 의해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파의 4가지 부위를 MeOH 와 물로 추출하여 정상세포와 암세포 (SNU-1, SNU-C4)에 처리하였다. 이 가운데서 과육의 물추출 분획이 정상세포는 영향이 없이 암세포를 고사시켰다. 2. 과육의 물추출 분획을 Sephadex LH-20으로 분리정제하여 9개의 분획으로 나누어 이 분획들을 사람 정상세포와 7가지 암세포에 처리하였다. 이 9개의 분획중 8번째 분획이 정상세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유방암, 간암, 위암에 특이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3. 제 8분획의 생체에서 암치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mouse에 복수암을 유발시켜 (10마리) 구강투여하거나 복강에 주사하였다. 암이 유발된 대조구는 10일 부터 13일 사이에 모두 죽었다. 그러나 투여군은 2개월사이에 1마리씩 죽었고 나머지는 모두 생존하였다. 상기는 결과는 비파과육에 는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해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