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evity rate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3초

The influence of nanofillers on the properties of ethanol-solvated and non-solvated dental adhesives

  • da Cruz, Leonardo Bairrada Tavares;Oliveira, Marcelo Tavares;Saraceni, Cintia Helena Coury;Lima, Adriano Fonsec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4권3호
    • /
    • pp.28.1-28.10
    • /
    • 2019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anofillers on th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ethanol-solvated and non-solvated dental adhesives. Materials and Methods: Eight experimental adhesive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nanofiller concentrations (0, 1, 2, and 4 wt%) and 2 solvent concentrations (0% and 10% ethanol). Several properties of the experimental adhesives were evaluated, such as water sorption and solubility (n = 5, 20 seconds light activation), real-time degree of conversion (DC; n = 3, 20 and 40 seconds light activation), and stability of cohesive strength at 6 months (CS; n = 20, 20 seconds light activation) using the microtensile test. A light-emitting diode (Bluephase 20i, Ivoclar Vivadent) with an average light emittance of $1,200mW/cm^2$ was used. Results: The presence of solvent reduced the DC after 20 seconds of curing, but increased the final DC, water sorption, and solubility of the adhesives. Storage in water reduced the strength of the adhesives. The addition of 1 wt% and 2 wt% nanofillers increased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adhesives. Conclusions: The presence of nanofillers and ethanol improved the final DC, although the DC of the solvated adhesives at 20 seconds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n-solvated adhesives. The presence of ethanol reduced the strength of the adhesives and increased their water sorption and solubility. However, nanofillers did not affect the water sorption and strength of the tested adhesives.

Development of Zinc-Doped Titanium Dioxide Coatings with Enhanced Biocompatibility for Biomedical Application

  • Minseo Yu;Yo Han Song;Mi-Kyung Han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377-386
    • /
    • 2024
  • The surface of titanium (Ti) dental implants was modified by applying a zinc (Zn)-doped titanium dioxide (TiO2) coating. Initially, the Ti surfaces were etched with NaOH, followed by a hydrolysis co-condensation using tetrabutyl titanate (TBT, Ti(OC4H9)4) and zinc nitrate hexahydrate (Zn(NO3)2·6H2O), with ammonia water (NH3·H2O) acting as a hydroxide anion source. The morpholog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Zn-doped TiO2-coated Ti plates were characterized using X-ray diffraction (XR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Raman spect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Synthesis temperatures were carefully adjusted to produce anatase Zn-doped TiO2 nanoparticles with a bipyramidal structure and approximate sizes of 100 nm. Wettability tests and cell viability assays demonstrated the biomedical potential of these modified surfaces, which showed high biocompatibility with a survival rate of over 95 % (p < 0.05) and improved wettability. Corrosion resistance tests using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reveal that Zn-TiO2-treated samples with an anatase crystal structure exhibited a lower corrosion current density and more noble corrosion potential compared to samples coated with a rutile structure. This method offers a scalable approach that could be adapted by the biomaterial industry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and longevity of various biomedical implants.

애반딧불이(딱정벌레목: 반딧불이과)의 생육 특성 (Bionomical Characteristics of Luciola lateralis (Coleoptera: Lampyridae) in Mass Breeding)

  • 김하곤;권용정;서상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728-1732
    • /
    • 2008
  •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애반딧불이의 생육 특성을 조사한 결과, $23^{\circ}C$, R.H. 80%에서 사육에서 성충 수명은 암컷이 $17.5{\pm}0.7$일, 수컷이 $20.6{\pm}1.0$일으로 수컷이 다소 높았으나, 사육밀도별 유의차는 없었다. 성충 출현 후 최초 산란일은 1쌍 $2.8{\pm}1.5$일, 2쌍 $2.5{\pm}1.5$일, 3쌍 $1.7{\pm}0.7$일, 4쌍 $1.3{\pm}0.5$일로 사육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산란전기가 짧아졌다. 산란수는 평균 $248.9{\pm}80.7$개를 산란하며, 사육밀도와는 유의성이 없었다. 일별 산란은 산란 시작 1일째가 20.8%, 2일째 17.3%, 3일째 14.3%, 4일째 12.7%, 5일째 7.0%의 순으로 산란 시작 1일째가 가장 높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낮아졌다. 난기간은 $21.8{\pm}0.7$일이고, 부화율은 $95.5{\pm}4.8%$이었다. 유충 령기 구분은 탈피각과 유충반문으로 조사한 바 9령으로 확인되었고 1령 $1.0{\pm}0.1$일, 2령 $3.3{\pm}0.2$일, 3령 $10.2{\pm}1.0$일, 4령 $6.8{\pm}0.5$일, 5령 $6.9{\pm}2.0$일, 6령 $15.4{\pm}4.1$일, 7령 $18.3{\pm}5.9$일, 8령 $25.8{\pm}8.7$일, 9령 $31.2{\pm}13.2$일이었다. 성숙한 9령 유충은 $2.8{\pm}0.8$일 동안 용실을 만들고, 전용기간과 용기간은 $4.6{\pm}0.9$일과 $5.6{\pm}0.7$일이었으며, 성충이 된 후 약 $3.8{\pm}0.4$일 동안 뒷날개를 굳힌 후 용실을 뚫고 탈출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 알 기생봉인 날개매미충알벌(Phanuromyia ricaniae)의 생물 특성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anuromyia ricaniae(Hemiptera: Platygastroidea), an egg parasitoid of Ricania sublimata (Hemiptera: Ricaniidae))

  • 전성욱;김광호;이관석;서보윤;김지은;강위수;조점래
    • 환경생물
    • /
    • 제38권4호
    • /
    • pp.586-593
    • /
    • 2020
  • 본 연구는 갈색날개매미충을 생물적 방제인자로 활용하기 위해 알 기생 천적인 날개매미충알벌의 발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날개매미충알벌의 온도별 발육기간은 25℃에서 알은 3.8일, 유충 11.1일 및 번데기 16.3일, 30℃에서는 알 3.4일, 유충 7.8일 및 번데기 15.3일이었다. 유충 기간을 제외하고 온도에 따라 유의미한 발육 기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알~번데기까지 전 발육기간은 25℃에 비해 30℃에서 발육기간이 짧아 온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루 중 날개매미충알벌의 우화는 불이 켜져 있는 명 기간에 모든 개체가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우화율이 가장 높은 시간대는 10:00~12:00 사이였고(34.5%), 그 다음으로 12:00~14:00 사이였다(22.99%). 암 기간(00:00~08:00)에서는 성충으로 우화하는 개체는 관찰되지 않았다. 날개매미충알벌 성충의 성비는 암컷이 75.8%, 수컷이 24.2%로 암수 비율은 약 3 : 1이었다. 성충의 수명은 20℃에서 암컷과 수컷이 각각 49.0일, 44.0일, 25℃에서 27.6일, 28.4일 및 30℃에서 18.0일, 14.0일로 조사한 온도 중 암수 모두 온도가 낮은 20℃에서 수명이 길었고, 온도가 높을수록 수명은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암컷 성충은 00:00~02:00 사이를 제외하고 모든 시간대에 걸쳐 산란하였고, 산란수가 가장 많은 시간대는 20:00~22:00 사이로 26.1%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10:00~12:00 사이에 15.7%로 조사되었다. 날개매미충알벌은 수컷을 생산하는 단위생식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로 날개매미충알벌은 갈색날개매미충을 방제하는 중요한 생물적 방제 인자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가철 및 철환원균을 이용한 2가 산화철 매질에 의한 TCE 제거 연구 - 모델수립 (Trichloroethylene Treatment by Zero-Valent Iron and Ferrous Iron with Iron-Reducing Bacteria - Model Development)

  • 배연욱;김두일;박재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1146-115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내 투수성 반응벽체(permeable reactive barrier, PRB)의 TCE 처리에 관한 모델링을 수행하여 trichloroethylene (TCE)의 농도, 컬럼의 단위 부피당 철 매질의 질량, 철환원균(iron-reducing bacteria, IRB)의 농도에 대하여 각각의 유기적인 관계를 고찰하였다. 1차원 이송 확산 반응 방정식을 MATLAB을 이용하여 이송, 확산, 그리고 분해 반응 등을 컬럼의 길이, 실험 수행 시간에 따라 모델하였으며, 유한차분법(finite differential method, FDM)으로 수치해를 구하였다. 영가철 및 2가 산화철은 TCE에 의한 반응항과 철환원균에 의한 반응 항으로 나누어서 식을 정리했다. TCE 주입농도는 10 mg/L로 설정하여 영가철 및 2가 산화철에 의한 각각의 관계를 모델링했다. 또한, 철환원균 농도와 산화철 환원 모델을 통해 철환원균의 농도에 따른 산화철 환원 효율을 해석했고, 이것이 전체 TCE 분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모델로 나타냈다. 영가철 컬럼에서는 TCE 제거 효율이 60시간에서 235시간 동안 99% 이상을 나타냈고, 1,365시간 이후에 1% 이하로 떨어졌다. 2가 산화철 컬럼의 경우 TCE와 반응을 시작한 210시간 이후에 평형을 이루었고, 85.3%의 일정한 제거 효율을 나타냈다. 모델의 결과에 따르면, 철환원균에 의한 2가 산화철의 경우 영가철보다 TCE 제거 효율이 떨어지지만 더 높은 제거수명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광석을 이용한 염소계 지방족 탄화수소 혼합물 변환 특성 (Transformation Characteristics of Chlorinated Aliphatic Hydrocarbon (CAH) Mixtures by Natural Ores)

  • 손봉한;김남희;홍광표;윤준기;이채영;김영;권수열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12-722
    • /
    • 2007
  • This study screened three natural ores (iron, mangenase, and zinc), two types of slags, and two elemental metals (elemental iron and zinc) to evaluate transformation characteristics of CAH mixtures [e.g. Carbontetrachloride (CT), 1,1,1-Trichloroethane (1,1,1-TCA), and Perchloroethene (PCE)]. To select an effective metal medium to treat the CAH mixtures, we measured transformation capacities (CAH mass ultimately transformed/mass of metal added) and the degree of dechlorination. We also considered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metal media by comparing the value, CAH mass ultimately transformed divided by the price of metal medium added. A simplified mathematical model adapting CAH transformation capacity, first-order transformation kinetics, and available mass of metal transforming CAH was developed and used for estimating CAH transformation rate coefficient and longevity of the metal medium. CAH transformation capacity for elemental iron and elemental zinc were 4258~7129 and $4215{\sim}6330{\mu}g\;CAH\;transformed/g$ metal added, respectively, which are a factor of 80~200 higher than slags and natural ores. They also showed a factor of 1.1 to 2.2 greater degree of dechlorination than the others. Among natural ores and slags, Zinc ore showed the highest transformation capacity, $47{\sim}53{\mu}g\;CAH\;transformed/g$ metal added. Although zinc ore have smaller transformation capacity than elemental metals, economical efficiency of zinc ore is a factor of 10~20 greater than elemental metals tested. Consequently, zinc ore would be more economical medium than the others tested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pseudo first-order transformation rate of zinc ore was in the order of CT > 1,1,1-TCA > PCE.

긴날개여치 실내 대량 사육을 위한 발육 및 산란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Developmental and Ovipositional Characteristics for Interior Mass-Rearing of Gampsocleis ussuriensis Adelung)

  • 임주락;문형철;박나영;이상식;유영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81-387
    • /
    • 2019
  •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전북 부안지역에서 채집한 긴날개여치의 발육 및 산란특성을 조사하였다. 긴날개여치(Gampsocleis ussuriensis Adelung)는 저수지 주변 잡초가 우거져 있는 곳에서 주로 발견되었고, 야외에서는 성충이 7월 중순 출현하여 9월 상순까지 나타났다. 알 상태로 겨울을 보내고 이듬해 4월 상순부터 7월 중순까지 약충이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에서는 4월 상순 이후 부화한 약충은 5회 탈피를 하고, 성충이 되었다. 긴날개여치 산란기간은 약 58일 정도 소요되었다. 암컷 한 마리당 총평균산란수는 124개였으며, 성충수명은 암컷 95.6일, 수컷 84.8일이었다. 산란매트로는 마사토와 코코피트를 7:3으로 섞은 것이 가장 좋았다. 온도별 발육기간은 24℃에서 64.1일로 가장 길었고, 온도가 높을수록 발육기간이 짧아지고, 생충률은 32℃에서 77.8%로 가장 좋았다. 긴날개여치 약충 사육밀도는 사육밀도가 높을수록 생존율은 떨어지고, 발육속도가 빨라지며, 영기별 탈피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이었다.

가루응애류 Caloglyphus sp.의 생태에 관한 연구 (Bionomics of Caloglyphus sp.(Acarina : Acaridae))

  • 박지두;김종국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51-56
    • /
    • 1997
  • 각(各) 항온조건(恒溫條件)에서 솔잎혹파리 3령 유충을 식이물로 공급하며 응애류 Caloglyphus sp. 의 발육특성(發育特性)과 증식능력(增植能力)을 조사하였다. 본 응애는 란(卵), 유충(幼蟲), 제(第)1약충(若蟲), 제(第)2약충(若蟲), 성충(成蟲)의 4발육단계를 경과하며, 란(卵)을 제외한 모든 발육충태는 솔잎혹파리 유충을 포식(捕食)하였다. 란(卵)부터 성충(成蟲)까지의 발육소요일수(發育所要日數)는 온도가 높을수록 짧았으며, 발육한계온도(發育限界溫度)는 $8.2^{\circ}C$, 유효적산온도(有效積算溫度)는 122.0일도(日度)이었다. $25^{\circ}C$항온에서 란(卵)부터 제(第)2약충(若蟲)까지의 생존율(生存率)은 66.4%으며, 성충의 평균수명(平均壽命)은 수컷이 12.3일, 암컷이 10.2일 이었다. 성충은 1~2일 경과후 산란하기 시작하여 산란기간 초기에 다수의 알을 낳았으며 일생동안 평균 360.6 개체를 산란(産卵)하였다. 발육소요일수(發育所要日數) 및 령별생존율(齡別生存率)과 산란수(産卵數)를 이용하여 산출한 순번석율(純繁殖率)(Ro)과 평균(平均) 세대기간(世代期間)(T), 내적자연증가율(內的自然增加率)($r_m$)은 각 101.1, 9.3일, 0.494/♀/일 이었다.

  • PDF

Triladyl-난황 희석제가 한국 재래 흑염소의 정소상체 및 전기자극 유래 정자의 융해 후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iladyl-egg Yolk Diluents on the Viability of Frozen Korean Black-goat Spermatozoa from Cauda Epididymis and Electro-ejaculated Semen)

  • 김성우;이진욱;김관우;김찬란;전익수;이성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5-241
    • /
    • 2017
  • 가축유전자원으로서 흑염소 정액은 가축의 증식 및 유전적 개량을 위하여 동결정액으로서 보존될 필요성이 높으나 아직까지 연구 결과가 많이 누적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의 흑염소 동결유전자원의 생산성과 효율성 분석을 위하여 가축유전자원센터에서 보유 중인 흑염소 3 계통을 이용하여 전기자극방법에 의하여 채취된 정자와 정소상체유래 정자를 동결 보존하였다. 동결 전 Triladyl 난황희석액을 이용하여 흑염소의 정액과 혼합하여 $17^{\circ}C$에서 2시간 보존하면 응고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42.9%의 비율로 난황이 변화한다는 것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정장 제거용 배양액으로 전기자극 유래 정자를 세정 후 동결 보존하면 융해 후 정자 생존율이 정액 세정용 배양액 $53.8{\pm}5.2%$로 나타났으며 정소상체 정자는 $74.6{\pm}10.6%$로 유의적으로 높게 관찰되었다. 융해된 정자의 장수성을 $17^{\circ}C$에서 조사해 보면 정소상체 유래 정자가 전기자극 유래 정자보다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염소 동결 유전자원을 보존하는 방법으로 정소상체 정자는 활용성이 인정되며, 염소의 개량과 선발을 위하여 농가에서 활용 가능한 동결정액의 생산과 융해 후 생존성 증진을 위하여 더 많은 동결 보존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딸기 재배하우스에 발생하는 애못털진딧물(Chaetosiphon minus)의 생물적 특성 (Biological Traits of the Lesser Strawberry Aphid (Chaetosiphon minus) in Strawberry under Plastic Houses)

  • 권기면;이형근;허유리;홍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215-220
    • /
    • 2021
  • 딸기 하우스 내 해충에 대한 일관된 생물적 방제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 낮은 온도에 발생하는 애못털진딧물(Chaetosiphon minus)에 대한 유용천적을 선발하고, 그 이용가능성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방제대상인 애못털진딧물의 생물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약충의 발육기간은 10℃, 15℃, 20℃, 25℃에서 각각 평균 41.7일, 20.6일, 11.9일, 9.8일이었고, 약충의 발육임계온도는 5.5℃, 온일도는 185DD였으며, 순증식율은 25℃에서 22.38보다 20℃에서 30.16으로 높게 나타났다. 암컷성충의 총산자수는 20℃에서 58일 동안 35.2마리, 25℃에서 36일 동안 26.5마리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딸기 하우스 내에서 애못털진딧물이 다른 진딧물류에 비하여 낮은 온도에 적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저온에 활동성이 높은 꽃등에류와 같은 천적의 상업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