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8초

장기요양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부양부담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자원의 조절효과 -장기요양재가서비스 이용자를 돌보는 가족부양자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Resources on Caregiving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of Family Caregivers Performing Long-Term Care of the Elderly: A Focus on Using Home Care Services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 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1권3호
    • /
    • pp.121-139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resources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caregiving burden of family caregivers taking care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servic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family caregivers utilizing 30 home care centers in Seoul, Korea. Of the candidate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250 caregivers who had supported the elderly at home for at least 6 months were selecte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1.0.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whole family caregivers' caregiving burden of family caregivers was found to be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More specifically, the physical burden was the heaviest, followed by the family relationship burden, the social activity burden, the emotional burden, and the financial burden. Social support resources and life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a little bit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Second, the variables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life satisfaction, starting with the strongest effect, were a lower psycho emotional burden, greater informational support resources, a lower economical burden, greater emotional support, a younger caregiver age, a higher monthly income, and a shorter care period. Third, informational support resources were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burden and life satisfaction. The more the participants used the informational support resource subcategory of the social support resources, the narrower the life satisfaction decrease, even though the caregivers felt a support burden. Informational support resources appear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uffering effect.

재가노인의 장기요양예방과 자립지원에 관한 연구: 예방·자립지원 모형설계 방안제언 (A Study on a Prevention of Long-term Care self-reliance Support for the Elderly in Home: Proposal of an Prevention and Support for Self-reliance Support Model)

  • 김현실;황성자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359-1375
    • /
    • 2010
  • 본 연구는 고령사회에 따른 장기요양재가노인 인구의 증가 현상을 예견하면서, 요양급여 의존 증을 최소화하고, 예방·자립지원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예방·자립지원 모형의 기초를 제시함으로 예방·자립지원의 실천적 함의를 얻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이론적 문헌연구를 통하여 장기요양노인에게 예방·자립지원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며, 둘째,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와 연구대상자가 소속된 노인복지센터의 장기요양급여 관련문서 분석을 통하여 예방·자립지원에 저해하는 요소를 분석하고, 셋째, 요양급여 이용자들의 요양급여이용실제에서 예방·자립지원을 저해하는 요소와 실제 욕구를 조사하여 이 세 가지의 질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방·자립지원 모형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예방·자립지원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따라서 D시에 있는 주간보호센터와 노인복지센터의 사업자와 전문사회복지사의 협력과 승낙을 얻어 문서자료 수집과 연구 참여자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문헌연구에서는 장기요양 예방·자립지원은 장기요양급여노인에게도 자신이 삶의 주체가 되어 살아가도록 이용자의 권리를 지원하는 '이용자 중심의 지원체계의 강화'로 전개되어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문서분석에서는 보건의료와 관련한 급여제공이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고, 예방·자립지원을 위한 사회적지지체계의 미비 등이 나타났으며, 심층면접조사결과에서 장기요양급여이용노인의 예방·자립과 관련된 서비스의 강화가 요구되었으며 예방·자립을 위한 요양급여이용노인의 절실한 욕구는 ①고독감, 외로움, 불안, 공포 ② 자녀와 사람에 대한 그리움과 걱정, ③이동, 외출, ④ 보건·의료서비스·재활프로그램, ⑤ 주간보호이용욕구, ⑥주택구조의 불편, ⑦식사메뉴의 욕구, ⑧폐용증후군(disuse syndrome)의 발생 등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예방·자립지원모형은 ①이용자 중심의 지원체계의 강화, ②보건의료연계지원체계의 강화, ③사회적지지 체계강화의 3가지 축을 중심으로 예방·자립지원모형설계의 기초를 제시하고자 했다.

가정간호: 위기와 전망 (Home care services: crisis and prospects)

  • 송종례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6권1호
    • /
    • pp.55-65
    • /
    • 2009
  •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Home Care Services System to cut medical cost and make efficient use of limited medical resources because of increasing chronic diseases and the growing population of the elderly.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measures to control the use of insurance services by restricting the number of nurse's visits to patient's home and by asking the patients to shoulder the transportation fee of nurses during the visit. Factors such as oversupply of hospital facilities, low price of home care services, high insurance coverage for hospital services and increased nuclear family set up resulted in the limited use of home care nursing services. The introduc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2007 brought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home care agencies and these agencies are facing a crisis today. The increase in chronic diseases and growing population of the elderly recently resulted in the need to control the high medical cost. Home care services for early discharge patients and chronic-severe disease patients will contribute in the reduction of medical cost at the same time improves the quality of patient's life. To catch up with the demands of the nation, accessibility to home care services should be improved and policies such as the expansion of home care services insurance coverage and promotion of establishing home care agencies should be considered.

  • PDF

노인장기요양시설의 현황 및 Web GIS 분석에 의한 농촌지역 요양시설과 보건소·병원간의 접근성 (The Present Condition of Nursing Home & Accessibility to Health Center and Hospital from Nursing Home in Rural Area by Web GIS Analysis)

  • 남윤철;박경옥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29-3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detailed data of the distribution, locations, and the amount of people in the waiting line of the nursing home. Also, we studied the accessibility to the facilities by using Web GIS to analyze the transit time it takes from the nursing home to health center and hospitals. We can provide the basic data that could contribute when future plans for the nursing homes' locations, health and medical policy are ma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nursing homes are stiffly concentrated in regions of Seoul and Gyeongi-do where large number of the elderly covered by long-term care insurance and the waiting line was very long for the elderlies to enter the nursing homes. In these cities of Ulsan and Jeju where number of the elderly covered by long-term care insurance is relatively small, there were less facilities. 2. The nursing homes located in urban areas had higher occupancy rate and higher number of people in the waiting line. 3. The average time taken by driving from the nursing homes and health center was 10 minutes and there was not a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 cities. Driving from the nursing homes to hospitals in rural areas took 22 minutes which is 2.5 times of the time taken for urban areas. Daegu-si and Incheon-si had relatively short distance from the nursing homes and the hospitals while Jeju-do had the furthest. For rural areas, it is needed for health center to be equipped with a wider medical coverage, have closely connected with hospitals to minimize the differences they have from ones in rural areas. It is also needed to have ambulances equipped for tele-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system.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이 장애노인의 삶의 질 궤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implementa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the quality of life trajectory among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 전해숙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97-107
    • /
    • 2015
  •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influence of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NLCI) on the quality of life(QoL) trajectory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is more positive than its influence on those without disabilities. Methods: Sample consisted of 5,362 elderly aged 65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from Wave1 to Wave7.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Result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Before the NLCI, the trajectories of QoL between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and those without were same. (2) After the NLCI, elders with disabilities showed lower levels of QoL at the beginning, but the gaps gradually decreased with tim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mplementation of NLCI more positively affected elders with disabilities than those without disabilitie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LCI functions properly as one of social security nets to cope with the needs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In conclusion, it is critical to develop a sustainable NLCI system to enhance the QoL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방문요양 행위 업무량의 상대적 가치 측정 (Measuring Workload of Home Visit Care Activities Using Relative Values)

  • 한성옥;박은철;강대룡;강임옥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5호
    • /
    • pp.331-338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workload of home visit care activities and their relative values. This study examined also factors that affect the workload of home visit care activities. Methods :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6 home-helpers of 50 home visit care agencies at the 2nd Long-term Care Insurance Demonstration Project. The workload of home visit care activities was divided into total work and four dimensions ; physical efforts, mental efforts, stress and time. Home visit care activities consisted of four categories with 24 items. We used magnitude estimation method to measure their relative values of the four dimensions. The participants answered the relative values of each activities based on the reference service. We used the activity for supporting their elderly's evacuation as the reference service. Results :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over 40 years old female. They consumed most their time supporting elderly's going out. They consumed their highest physical, mental efforts, and stress for activities of coping with emergency situation.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workload and each dimensions. This study showed that all four dimension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workload of home visit care activities. Also, we found that the home-helper's career affects the workload of home visit care activities. Conclusions : The workload of home visit care activities could be explained by physical efforts, mental efforts, stress and time.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유형별 가족 부양스트레스 경로 (The Family Caregivers' Stress Pathways by Types of Long 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 박창제;이성진
    • 한국노년학
    • /
    • 제31권3호
    • /
    • pp.831-848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의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 유형별 부양가족의 부양스트레스 경로를 분석하여 그 함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2008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노인장기요양제도의 적용 대상자로 인정받은 65세 이상 노인과 그 부양가족이었고, 비확률표집을 통하여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방문요양서비스와 노인요양서비스 유형을 구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방문요양 151부, 노인요양시설 107부 총 258부가 본 연구의 분석 표본으로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시설이용 노인은 재가서비스 이용 노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여성비율과 고연령, 사별의 비율이 높고, 자녀수는 많았다. 둘째, 시설이용 노인은 평균적으로 재가서비스이용 노인에 비하여 ADL제한이 심하고 주요 질병으로 치매나 중풍의 비율이 높고 요양등급의 수준이 높았지만 그 반대인 경우도 있었다. 셋째, 재가서비스이용 노인의 주부양자는 시설이용 노인의 주부양자에 비하여 여성, 고연령, 저학력의 비율이 높았고, 관계는 배우자와 며느리의 비율이 높았으며 건강상태가 나쁘고 소득이 낮은 편이었다. 넷째,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유형별로 부양자의 스트레스 경로형태에서 차이를 보였다. 즉, 장기요양서비스 유형별로 1차 스트레스 요인이 2차 스트레스요인에 미치는 경로방향이 다르고, 2차 스트레스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도 다르다. 특히 방문요양 이용 부양자는 자아상실이 우울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보여주지만 노인요양시설 이용 부양자는 자아상실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가 전혀 형성되지 않았다. 다섯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인 우울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들은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 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다. 즉, 방문요양의 경우엔 2차 스트레스 요인 모두가 직접 영향을 미친 반면, 노인요양시설의 경우엔 2차 스트레스 요인 중 근로갈등과 가족갈등이라는 두 개의 요인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자아상실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노인 부양가족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정책이나 프로그램이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과 스트레스 경로를 반영하여 다르게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인의 AGING IN PLACE 증진을 위한 종합지원센터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일본 사례의 조사 및 국내 현황의 비교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General Support Center to Assist of the 'Aging in Place' of the Elderly - A Comparison of Japanese Cases and Domestic Situations -)

  • 김미란;이경훈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5호
    • /
    • pp.51-6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Act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has been enforced since 2008 in Korea. But This is not encompass all of the elderly policies. Aging policies service separately each part by residential, welfare, and so on. There are 'Local Community Support Service' and 'Community General Support Center' for seniors as a comprehensive institution in Japan. Local Community Support Service is preventive and regional. And Community General Support Centers are sufficiently provide for each region. Japan can be a leading model of Korea. Therefor it analyzes Japanese cases and compares to the domestic situations in this study.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measures the necessity of the General Support Center for the elderly.

일부 농촌지역 장기요양급여노인들의 인지기능상태와 관련 요인 (Cognitive Functio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Elderly People Affiliated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in Rural Areas)

  • 신은숙;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493-4501
    • /
    • 2011
  •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험급여를 받고 있는 노인들의 장기요양등급에 따른 인지기능상태를 파악해 보고, 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는 충청남도 9개 군의 농촌지역에서 장기요양보험 급여를 받고 있는 노인 410명을 대상으로 2009년 3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MMSE-K를 사용하여 측정한 전체 조사대상자의 인지기능상태는 확정적 인지기능장애(19점 이하)가 80.5%, 인지기능장애 의심(20~23점)이 11.7%, 확정적 정상(24점 이상)이 7.8%로 나타났다. 조상대상자의 인지기능은 장기요양등급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정도가 낮을수록, 직업이 없는 군, 혼자 산다는 군, 월수입이 낮은 군, 생활비를 자녀가 조달하거나 정부의 보조를 받는다는 군, 귀의 부자유가 있다는 군, 요실금이 있다는 군, 건망증이 있다는 군,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다는 군, 외출을 거의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조사대상자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생활비 조달원, 눈의 부자유 유무, 요실금유무, 건망증유무, 규칙적인 운동 여부 및 장기요양등급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특히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변수들이 인지기능과 높은 관련성이 있었다.

독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인프라 구축 현황에 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current infra-structural status of the aged care work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in Germany)

  • 이상명
    • 한국사회정책
    • /
    • 제19권3호
    • /
    • pp.49-83
    • /
    • 2012
  • 현재 독일은 '케어비상사태(Pflegenotstand)'라는 말이 등장했을 정도로 '요양서비스 질과 인력부족(Qualit't der Pflegeversicherung und Mangel an Pflegekr?fte)'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독일 정부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체계적이고 수준 높은 교육을 통해 전문지식을 갖춘 노인요양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정하였으며, 노인요양사라는 직업의 사회적 이미지와 위상을 높임으로써 직업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는 것과 특히 젊은 세대를 노인요양인력 유치 주요대상자로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노인요양직업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 주고,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요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의 주요관점은 독일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요양사의 전문성을 고려한 교육체계에 초점이 맞춰있으며, 독일의 노인요양인력 양성 교육내용과 시스템과 더불어 교육내용에 내포되어 있는 노인요양인력의 역할 및 업무와 사회적 위치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며, 독일의 노인요양사 인프라 구축 대안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