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ivestock management

검색결과 727건 처리시간 0.03초

Genetic Evaluation of F1, F2 and F3 Crosses of Hariana with Friesian, Brown Swiss and Jersey

  • Dutt, Triveni;Bhushan, Bharat;Srivastava, B.B.;Bhat, P.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5호
    • /
    • pp.470-474
    • /
    • 1998
  • Data on the first lactation performance traits of $F_1$, $F_2$ and $F_3$ crosses covering the period from 1972 to 1995 of a total of 803 dairy cows of three genetic grades maintained at Livestock Production Research Farm, Indian Veterinary Research Institute, Izatnagar were analysed. Three genetic grades were 1/2 Friesian + 1/2 Hariana (FH), 1/2 Friesian + 1/4 Brown Swiss and 1/4 Hariana (FBH) and 1/2 Friesian+ 1/4 Jersey + 1/4 Hariana (FJH). Age at first calving increased by 7% and 8% in $F_2$ and $F_3$, respectively, over the $F_1$ in FH. The reduction in age at first calving at $F_2$ and $F_3$ levels by 2-7% over the $F_1$ was observed in FBH and FJH. The lactation milk yield of $F_1$, $F_2$ and $F_3$ crosses was $1,943{\pm}100.3$, $2202{\pm}120.5$ and $1,925{\pm}123.2kg$ in FH; $2,014{\pm}76.7$, $2,264{\pm}91.5$ and $2,096{\pm}123.9kg$ in FBH and $2,005{\pm}87.0$, $2,414{\pm}94.4$ and $2,093{\pm}121.1kg$ in FJH, respectively. The lactation milk yield improved by 12-20% in $F_2$ crosses in various genetic grades. The performance of $F_1$ was, however, maintained in FH $F_3$ crosses, it improved by 4% in FBH and FJH $F_3$ crosses. The lactation lengths and calving intervals were nearly the same for $F_1$, $F_2$ and $F_3$ crosses in FH while lactation lengths and calving intervals were reduced by 3-11% in $F_2$ and $F_3$ crosses in FBH and FJH genetic grades. The milk yield/day of lactation length and milk yield/day of calving interval increased by 16-35% in $F_2$ and 2-14% in $F_3$ over the $F_1$ in various genetic grades. It is recommended that a sufficiently large effective population size of these three genetic grades be maintained by inter se matings and rigorous selection of sires so for developing a genetic base population for new breed development.

관리(管理)를 중단(中斷)한 산지초지(山地草地)의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II. 관리(管理)를 중단(中斷)한 산지초지(山地草地)의 식생천이(植生遷移)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Hilly Pasture II. Studies on vegetational succession of abandoned hilly pasture)

  • 박근제;이종경;윤세형;김맹중;김정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37-344
    • /
    • 1998
  • 본(本) 시험(試驗)은 관리(管理)를 포기(抛棄)한 산지초지(山地草地)의 식생천이(植生遷移)를 조사(調査)하여 산지초지(山地草地) 관리(管理)에 이용(利用)코자 1993년부터 1996년까지 경기도 여주 야산지(野山地)에 조성(造成)한 초지(草地)에서 수행(遂行)되었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지(草地)의 식생(植生)은 정지초지(整地草地)는 관리포기 후 l년차에, 임간초지(林間草地)는 방치후(放置後) 2년차에 식생이 가장 많이 변하였다. 2. 관리(管理)를 중단(中斷)한 후 초지식생(草地植生)의 생활형(生活型)은 미세지형(微細地形) 정지초지(整地草地)나 임간초지(林間草地) 공히 반지중식물(半地中植物), 지중식물(地中植物), 지표식물(地表植物)은 점차 감소하였으나, 1년생(年生) 식물(植物)과 어린나무를 포함한 관목류(灌木類)는 현저히 증가되었다. 3. 식생(植生)그룹간의 유사성(類似性)은 식생구성(植生構成) 초종(草種)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는데, 이와 관련하여 초지(草地)의 식생구성(植生構成)이 비슷한 군락(群落)이 유클리드 거리계수(距離係數)가 가깝게 집단(集團)을 형성하였으며, 유사성(類似性)이 낮은 식생(植生)그룹은 유클리드 거리계수(距離係數)가 보다 먼 곳에서 서로 묶여지는 경향을 보였다. 미세지형(微細地形) 정지초지(整地草地)나 임간초지(林間草地) 공히 관리를 중단(中斷)하면 개량초지(改良草地)와는 다른 산지야초지(山地野草地)나 임야(林野)로 천이(遷移)되었다.

  • PDF

제주 토양에서 시용한 가축분 중 양분의 유효화율 (Fractional Recovery as Extractable Form of Nutrient in Composted Livestock Manure Application on Soil Distributed in jeju)

  • 황기성;이인복;박진면;유봉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9-54
    • /
    • 2007
  • 본 연구는 축분 퇴비시용에 따른 토양중 양분행동 양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직경 30 cm 높이 1 m의 PVC pot에 화산회(구좌통) 토양과 비화산회(애월통) 토양을 충진하고 표토 20 cm 깊이로 계분 부숙퇴비, 돈분 부숙퇴비, 우분 부숙퇴비를 0, 50, 100, 150 ton/ha 해당량을 시용한 후 210일이 경과한 후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풍건한 후 가축분 퇴비 처리에 따른 토양중 인산, 칼리 및 마그네슘의 유효화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축분 퇴비의 시용은 통양중 유기물을 $23\sim111$, 질소 $80\sim450$ ton/ha 해당량을 시용하는 효과가 있었다. 가축분 퇴비의 시용에 따른 인산의 유효화율 변화는 $1.6\sim91.7%$로 가축분 종류에 따른 차이가 매우 컸는데 토양별로 비화산회 토양이 화산회토양에 비하여 월등히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칼리의 유효화율 변화는 $22\sim94%$ 범위로 가축분의 종류 및 시용량에 따라 차이가 컸는데 가축분 종류에 따른 유효화율은 계분 부숙퇴비, 우분 부숙퇴비, 돈분 부속퇴비의 순으로 컸다. 칼슘의 유효화율은 화산회 토양은 $38\sim93%$ 비화산회 토양은 $9\sim90%$ 범위로 가축분 종류 및 토양의 특성에 따른 차이가 컸는데 가축분 종류별로 살펴보면 계분 부숙퇴비, 우분 부숙퇴비, 돈분 부숙퇴비의 순으로 컸다.

Reproductive Potentials of Gayal (Bos frontalis) under Semi-intensive Management

  • Giasuddin, M.;Huque, K.S.;Alam,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3호
    • /
    • pp.331-334
    • /
    • 2003
  • The assessment of reproductive potentials of female gayal under semi-intensive management was conducted with 18 animals in Bandarban hilly area of Bangladesh. Age at first estrous (days), age at first conception (days), length of estrous cycle (days), number of service per conception (natural), gestation period (days), age at first calving (days), and calving interval (natural service) (days) of gayal were $598.2{\pm}168.44$, $723{\pm}169.94$, $21.86{\pm}2.93$, 1.41, $296.05{\pm}3.87$, $1014.42{\pm}260.32$ and $465{\pm}80.48$ respectively. Daily milk yield and lactation length of gayal were $304.98{\pm}30.46ml/day$ and $116.67{\pm}8.08days$. Gayal male calves had higher birth weight (19.67 kg) than female calves (15.58 kg) in first lactation. Birth weight increases in second and third lactation than first lactation in both male and female calves. Highest conception rate observed in winter season and 70.60% successful conception occur when service was given within 21-30 h of estrous. Maximum number of female gayal use to come in estrous in winter and calved in monsoon and autumn. Cervicitis and irregular heat were the most reproductive problems followed by metritis, case of abortion, anestrous and repeat breeding. From this study it was observed that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gayal is very close with the domestic cattle. It may use as beef cattle for the hilly regions of Bangladesh.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Lipopolysaccharide의 처리가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ra-Uterine Infusion of Lipopolysaccharides on Reproductive Performance in Dairy Cows with Retained Placenta)

  • 백광수;박성재;박수봉;이왕식;김현섭;정경용;기광석;전병순;안병석;서국현;김태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0권3호
    • /
    • pp.195-199
    • /
    • 2006
  • 본 연구는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Lipopolysaccharide(LPS)의 처리가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분만 후 12시간이 경과하여도 후산이 배출되지 않은 홀스타인 개체 33두 및 대조구 12두에 대하여 분만후 20일째에 LPS 100 ${\mu}g$을 자궁 내에 주입한 다음 7일후에 발정이 발현되었을 때 인공수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첫 수정에 의한 수태율은 대조구의 경우 공시한 12두가 모두 첫 수정에 의해 수태가 되지 않았고 처리구는 33두중 11두가 수태되어 33.3%의 수태율을 나타내었다.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대조구 및 처리구의 분만후 수태까지의 일수는 각각 $149.6{\pm}34.3$일 및 $53.0{\pm}12.5$일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p<0.01)으로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대조구 및 처리구의 수태당 종부 횟수는 각각 $3.6{\pm}0.8$회 및 $2.1{\pm}0.3$회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미래 동물생명산업 발전전략으로써 스마트축산의 응용: 리뷰 (Applying a smart livestock system as a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animal life industry in the future: A review)

  • 박상오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41-262
    • /
    • 2021
  • 본 논문은 과학논문을 통해 30년 후인 2050년까지 가축과 동물성식품의 동향을 예측하면서 미래 동물생명산업 발전 전략으로써 ICT-기반 스마트축산 기술의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가축사육과 동물성식품 소비는 인구증가, 고령화, 농촌인구 감소, 도시화 및 소득증가에 대한 반응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기후변화는 가축 환경, 생산성과 번식효율성을 바꿀 수 있다. 가축생산은 온실가스 배출 증가, 토지 황폐화, 수질오염, 동물복지 및 인간의 건강 문제로 이어질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물생명산업의 다양한 측면에서 4차 산업혁명과 융합된 ICT-기반 스마트축산을 활용하여 기후변화 대응, 생산성 향상, 동물복지, 동물성식품 영양품질 개선, 동물의 질병예방을 위한 선제적인 미래 대응전략이 필요하다. 미래 동물생명산업은 지속 가능성과 생산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동화를 통합해야 한다. 디지털 시대에 IoT와 빅 데이터를 사용하는 지능형 정밀가축사양, ICT-기반 스마트축산은 동물생명산업의 다양한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다. 축사 내부와 외부의 환경 매개 변수를 정밀하게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있다. ICT-기반 스마트축산은 인터넷과 휴대폰을 통한 원격 제어를 위해 센싱 기술을 사용하여 동물의 행동복지 및 사양관리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농가가 필요로 하는 광범위한 정보의 수집, 저장, 검색 및 보급에 도움이 될 수 있고 새로운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