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iver scan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3초

MVCT를 이용한 치료 간(Interfraction) 그리고 치료 중(Intrafraction) 내부 장기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 of internal organ in the Inter-and Intrafraction using MVCT)

  • 정원석;김주호;김영재;신령미;오정훈;정건아;조준영;김기철;최태규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5-126
    • /
    • 2014
  • 목 적 : 다양한 치료 부위에 따라 MVCT(Megavoltage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하여 치료 중(Intrafraction), 치료 간(Interfraction)의 장기 위치 변화를 측정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에서 두 경부(Head & neck), 흉부(Thorax), 간(Liver), 전립선(Prostate) 종양을 가진 48명 환자들은 전체 치료 과정동안 다양한 MVCT scan을 시행하였다. 평균 환자 당 60개의 MVCT 영상을 획득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치료 간(Interfraction)오차는 흉부와 복부 그리고 골반이 종 방향(Longitudinal, Y)에서 3 mm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치료 중(Intrafraction)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치료가 끝난 후에 MVCT를 찍어 확인한 후 치료 중(Intrafraction) 움직임 차이는 종 방향에서 2 mm 내외로 나타났다. 또한 치료 전과 후의 움직임의 변화로 인해 치료 간 그리고 치료 중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도 두 경부(Head & neck), 흉부(Thorax), 간(Liver), 전립선암(Prostate cancer) 환자들의 치료 간(Interfraction) 변화와 치료 중(Intrafraction)변화를 통해 적절한 고정 기구와 표적 여백의 윤곽을 완성하는데 도움이 될 거라 사료된다.

FLASH를 이용한 3T 복부검사에 있어서 최적의 T1효과를 위한 적정 Flip Angle (Flip Angle of the Optimal T1 Effect Using FLASH Pulse Sequence at 3T Abdominal MRI)

  • 한재복;최남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1호
    • /
    • pp.101-106
    • /
    • 2009
  • 본 연구는 FLASH 펄스파형을 이용하여 숙임각(flip angle ; FA)변화에 따른 T1 강조영상의 신호강도(signal intensity ; SI)와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 CNR)를 비교함으로써 복부검사에서의 최적의 T1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FA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8년 9월부터 12월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복부 MRI 검사를 시행한 환자 20명(남 : 12명, 여 : 8명, 연령 범위 : $28{\sim}63$세, 평균 : 51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상 장비는 3Tesla MR scanner(Magnetom Tim Trio, SIEMENS, Germany)였으며, 8 channel body array coil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영상변수는 FLASH 펄스파형과 TR : 120 ms, TE : minimum, FOV : $360{\times}300\;mm$, Matrix : $256{\times}224$, Slice : 6 mm, scan time : 15초로 Breath-hold 기법을 이용하였다. 복부 영상은 물 신호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해 관심영역(FOV) 안에 물을 채운 50 ml syringe를 놓고 $10^{\circ}$부터 $90^{\circ}$까지 $10^{\circ}$ 간격으로 FA에 변화를 주면서 얻었다. 획득한 영상은 간(liver), syringe내부의 물(water), 비장(spleen), background의 신호강도(SI)와 대조도 대 잡음비(CNR)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신호강도는 관심영역을 설정한 다음 각 부위에서 3번씩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영상 전체의 평가에서는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를 적용하여 전체영상의 신호강도 균일도를 알아보았고 통계 분석은 SPSS for window version 17.0을 이용하였다. 간(liver)의 신호강도는 $475.54{\pm}81.76$으로 FA $40^{\cir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yringe내부의 물의 신호는 $475.97{\pm}68.98$로 FA $20^{\circ}$에서 가장 높았으며 FA가 높아짐에 따라 다른 조직의 신호보다 많은 감소를 보였다. 비장의 신호는 $443.02{\pm}55.77$로 FA $30^{\circ}$에서 가장 높은 신호강도를 보였으며 FA가 높아짐에 따라 신호가 감소하였다. 조직의 신호강도에서 Liver vs Water와 Liver vs Spleen은 FA $30^{\circ}$를 제외한 전 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Water vs Spleen은 FA $60^{\circ}$, FA $70^{\circ}$, FA $80^{\circ}$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전체영상의 신호강도는 $175.42{\pm}57.93$으로 FA $10^{\circ}$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FA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다가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는 FA $10^{\circ}$와 FA $20^{\circ}$에서 33.02와 31.4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A $10^{\circ}$와 FA $20^{\circ}$는 전체영상의 신호강도 균일도가 다소 떨어지는 영상으로 왜곡이 심하게 나타났다. CNR은 liver-water에서 FA $30^{\circ}$에서 12.7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FA $10^{\circ}$에서 -46.97, FA $80^{\circ}$에서 29.3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ver-spleen의 CNR에서는 FA $10^{\circ}$에서 -3.18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FA $80^{\circ}$에서 9.6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FLASH 펄스 파형을 사용한 복부 영상에서 최적의 T1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FA $80^{\circ}$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철운반단백질 포화정도에 따른 Gallium-67 체내분포의 변화: 증례보고 (Altered Biodistribution of Gallium-67 in a Patient with Multiple Factors Influencing Iron-transport Protein Saturation)

  • 최준영;김상은;이경한;김병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4-119
    • /
    • 1998
  • 반복적인 수혈을 받은 급성전격성간염 환자에서 Ga-67 체내분포의 양상을 추적하였다. 급성기에 시행한 갈륨스캔에서 간의 악성종양을 의심하게 하는 간섭취증가와 신장, 뼈섭취증가가 관찰되었다. 간섭취증가는 철운반단백질에 결합하지 않은 Ga-67이 염증이 일어난 간세포에 섭취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신장과 뼈섭취증가는 반복적인 수혈에 의한 철운반단백질의 포화에 따른 Ga-67의 세포내운반저하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10개월 후에 다시 시행한 갈륨스캔에서 간섭취는 더욱 증가되었으며 골수섭취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반면 신장섭취는 정상화되었다. 이러한 소견은 철결핍성 빈혈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 증례는 체내 철의 양과 이에 따른 철운반단백질 포화도의 변화에 의한 Ga-67의 체내분포의 변화를 예시해 준다.

  • PDF

비글견의 간 CT 혈관조영상에서의 Iopamidol과 Iopromide, Iohexol 조명제의 비교실험 (A Comparison of Iopamidol with Iopromide and Iohexol Contrast Media in Hepatic CT Angiography in Beagle Dogs)

  • 정유철;임창윤;김경민;이성옥;정주현;장진화;오선경;송경진;윤정희;최민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9-13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ompare the clinical efficacy of iopamidol and iopromide, iohexol nonionic contrast media in terms of their image quality in Beagle dogs with hepatic CT angiography and their application in veterinary clinics. With 9 Beagle dogs, contrast media of iopamidol (pamiray-$300^(R)$) and iopromide (ultravist-$300^(R)$, iohexol (omnipaque-$300^(R)$) were induced intravenously (600 mg I/kg, BW) and CT angiography was done under general anesthesia. CT scan included scout, pre-contrast and cine examinations. During CT angiography, peak HU (Hounsfield unit) and peak time were examined on each site (ROI; region of interest) of the aorta, caudal vena cava, potral vein and liver parenchyma. Any side effects were also examined. After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f HU and maximal enhancing time of each ROIs of aorta, caudal vena cava, portal vein and liver parenchyma between these contrast media. And any side effects were not noted. So it is concluded that iopamidol has similiar contrast enhancement like as iopromide and iohexol in hepatic angiography and and it is thought to be useful for evaluation of the abdominal organs by CT scan in veterinary clinics.

$^{99m}Tc-RBC$ 간신티스캔을 이용한 간내 공간점유병소의 감별진단 ([ $^{99m}Tc-RBC$ ] Hepatic Scintiscan in focal Hepatic Lesions)

  • 이도연;유형식;이종태;김기황;박창윤;박찬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1-197
    • /
    • 1987
  • 39 patients with focal hepatic lesions were evaluated by $^{99m}Tc-RBC$ liver scan. The diagnosis of focal hepatic lesions were made by percutaneous needle biopsy, angiography, surgery, or clinical courses. Thses diagnoses included 24 cases of hemangioma, 7 hepatomas, 6 metastatic disease, 1 abscess, and 1 cyst. 19 hemangiomas showed focal hot activity on delayed static planar images. 3 small deep seated hemangiomas were diagnosed by SPECT that would have been missed by planar images alone. 2 large hemangiomas had no radioisotope uptake within the lesions on delayed images and at surgery cavernous hemangioma with thrombosis, calcification, and fibrosis were found. For hepatic hemangiomas in our series, the sensitivity was 91.7% and the specificity was 100%. The remaining 15 patients including hepatomas, metastatic lesions, cyst and abscess showed cold defect on delayed blood pool images. It is concluded that $^{99m}Tc-RBC$ liver scan should be the choice of primary diagnostic procecure for clinically suspected hepatic hemangioma since it's inexpensive, non-invasive, and readly available.

  • PDF

위 부분절제술 환자의 간담도 스캔에서 위-담즙역류 (The Gastric-Bile Juice Reflux in Patients from Hepatobiliary Scan with Subtotal Gastrectomy)

  • 곽동우;김지현;김경훈;이경재;박영재;이인원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17-20
    • /
    • 2010
  • 간담도 스캔은 간세포와 담낭의 기능정도 및 담도계의 폐쇄여부를 알 수 있는 검사법이다. 또한 위부분절제술 후에 증가하는 위-담즙 역류는 담즙 역류성 위염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위부분절제술 환자의 간담도 스캔에서 위-담즙역류가 관찰되어 촬영방법에 따른 역류시기와 역류지표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원 핵의학과에 2008년 10월부터 2009년 1월까지 간담도 스캔을 시행한 환자 중 위부분절제술을 한 환자 72명(남자: 52명, 여자: 20명, 연령범위: 31-77세, 평균연령: $60.5{\pm}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99m}Tc$-mebrofenin 185 MBq/0.5 cc를 환자의 전주정맥에 주사 5분 후 바로 누운자세에서 전면상 30 kcounts를 획득하고, time setting으로 우측면상, $45^{\circ}$ 좌전사 위상을 획득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30분, 60분, 90분, 지방식 후 120분 영상을 획득하였다. 위-담즙역류가 일어난 환자의 경우 30분 전면상, 좌전사위상에서 liver, GB, CBD의 ROI를 그리고, 이후 영상들에서 위 역류 부분의 시간 별, 자세 별 관심영역을 그렸다. 그리고 그에 따른 역류지표 구하였다. 72명의 위부분절제술 환자 중 위-담즙역류가 40명(55.6%)의 환자에서 일어났으며, 30분 영상에서 1명, 60분 영상에서 7명, 90분 영상에서 4명, 지방식 후 영상에서 28명이었다. 시간 별 위-담즙역류가 최고치는 60분 영상에서 6명, 90분 영상에서 2명, 지방식 후 영상에서 32명으로 보였다. 전면상의 역류지표 0.85-23.36%(평균: 6.53%), 좌전사위상의 역류지표 1-29.13%(평균: 8.89%)이었다. 육안평가로는 26명(65%)이 전면상보다 좌전사위상의 위-담즙역류가 더 잘 구분되어 보였다. 위부분절제술 환자의 간담도 스캔에서 위-담즙역류가 50% 이상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고, 음식물을 섭취한 후 위-담즙역류가 가장 잘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담즙역류가 일어나는 경우 장과 위의 중첩을 줄여주는 좌전사위상을 촬영하고 환자마다 그에 따른 시간대의 위-담즙 역류 지표를 제공함으로써 임상에서 간담도 스캔 목적 이외의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PDF

$^{99m}Tc-DISIDA$를 이용한 간 혈류 중 동맥 분획의 측정 (Estimation of the Arterial Fraction of Total Hepatic Flow from Radionuclide Angiogram Using $^{99m}Tc-DISIDA$)

  • 이해규;임계연;양일권;김학희;임정익;박용휘;한석원;한남익;이영석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0-206
    • /
    • 1991
  • Arterial fraction of total hepatic blood flow was estimated by a new method, slope method, on radionuclid angiogram using $^{99m}Tc-DISIDA$ and was compared with that from $^{99m}Tc-Phytate$ radionuclide angiogram. This study included 11 of normal subjects, 37 of intermediate group with various liver diseases, and 25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We analyzed the datas with slope method from radionuclide angiogram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hepatic arterial fractions from uptake method, introduced by Lee et al. at 1986. The hepatic arterial fractions from radionuclide angiograms using $^{99m}Tc-DISIDA$ and $^{99m}Tc-Phytate$ were $0.32{\pm}0.09\;and\;0.31{\pm}0.11$ respectively in normal subjects, and $0.75{\pm}0.18\;and\;0.77{\pm}0.21$ respectively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The hepatic arterial fractions by the slope method was well correlated with those of the uptake method on $^{99m}Tc-DISIDA$ scan.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hepatic arterial fractions from $^{99m}Tc-DISIDA$ and $^{99m}Tc-Phytate$ scans. Hepatic arterial fraction estimated by the slope method is a useful index for the diagnosis of liver cirrhosis and the evaluation of status of portal hypertension.

  • PDF

디클로벤지딘에 폭로된 흰쥐의 간장세포와 방광 상피세포에 형성된 DNA adducts의 $^{32}P-postlabeling$과 GC/MS-SIM에 의한 분석

  • 이진헌;신호상;장미선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2년도 춘계 국제 학술대회
    • /
    • pp.49-51
    • /
    • 2002
  •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dichlorobenzidine(DCB)-DNA adducts in liver cell and bladder epithelial cells by $^{32}$ P-postlabeling and GC/MS-SIM, we orally exposed the dichlorobenzidine (20mg/kh body wt.,/day)to male sprague-dawley rats for 14 days. Two kinds of DCB-DNA adduct were found at the same site of thin layer chromatogram of $^{32}$ P-postlabeling method in liver cells and bladder epithelial cells. In liver cells, relative adduct labeling(RAL) $\times$ 10$^{12}$ of DCB-DNA adduct A1 were 34.1$\pm$3.71 and 69.9$\pm$5.02, that of adduct A2 were 74.1$\pm$10.1 and 105.1$\pm$10.1 on 10 and 14 days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And in bladder epithelia cells, RAL $\times$ 10$^{12}$ of DCB-DNA adduct A1 were 5.92$\pm$1.60 and 15.9$\pm$1.31, that of adduct A2 were 9,81$\pm$2.81 and 22.8$\pm$1.79 on 10 and 14 days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DCB metabolites formed DNA adducts were monoacetyl-dichlorobenzidine(acDCB) and diacety1-dichlorobenzidine(di-acDCB), which was identify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scan ionization mode(GC/MS-SIM), along with hydrolysis, extraction and TFA(trifluoroacetyl anhyride) derivatization with DCB-DNA adducts isolated from live cells and bladder epithelial cells. The base peak of acDCB were 252 and 294 m/z, and that of di-acDCB were 252, 294 and 336 m/z. In conclusion, the exposed DCB formed two kinds of DCB-DNA adduct, the proximate materials of that were acDCB and di-acDCB in liver and bladder epithlial cells. And the above GC/MS-SIM method was found the DCB-DNA adducts could be monitoring by gas chromatography.

  • PDF

Evaluation of Computer-Assisted Quantitative Volumetric Analysis for Pre-Operative Resectability Assessment of Huge Hepatocellular Carcinoma

  • Tang, Jian-Hua;Yan, Fu-Hua;Zhou, Mei-Ling;Xu, Peng-Ju;Zhou, Jian;Fan, Ji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5호
    • /
    • pp.3045-3050
    • /
    • 2013
  • Purpose: Hepatic resection is arguably the preferred treatment for huge hepatocellular carcinoma (H-HCC). Estimating the remnant liver volume is therefore essential.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using computer-assisted volumetric analysis for this purpose. Methods: The study involved 40 patients with H-HCC. Laboratory examinations were conducted, and a contrast CT-scan revealed that 30 cases out of the participating 40 had single-lesion tumors. The remaining 10 had less than three satellite tumors. With the consensus of the team, two physicians conducted computer-assisted 3D segmentation of the liver, tumor, and vessels in each case. Volume was automatically computed from each segmented/labeled anatomical field. To estimate the resection volume, virtual lobectomy was applied to the main tumor. A margin greater than 1 cm was applied to the satellite tumors. Resectability was predicted by computing a ratio of functional liver resection (R) as (Vresected-Vtumor)/(Vtotal-Vtumor) x 100%, applying a threshold of 50% and 60% for cirrhotic and non-cirrhotic cases, respectively. This estimation was then compared with surgical findings. Results: Out of the 22 patients who had undergone hepatectomies, only one had an R that exceeded the threshold. Among the remaining 18 patients with non-resectable H-HCC, 12 had Rs that exceeded the specified ratio and the remaining 6 had Rs that were < 50%. Four of the patients who had Rs less than 50% underwent incomplete surgery due to operative findings of more extensive satellite tumors, vascular invasion, or metastasis. The other two cases did not undergo surgery because of the high risk involved in removing the tumor. Overall, the ratio of functional liver resection for estimating resectability correlated well with the other surgical findings. Conclusion: Efficient pre-operative resectability assessment of H-HCC using computer-assisted volumetric analysis is feasible.

4차원 방사선 치료시 Body Fix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n Usefulness of Applying Body-fix to Four Dimensional Radiation Therapy)

  • 김영재;장영일;지연상;한재복;최남길;장성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19-42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간암 치료시 Body fix를 이용하여 4DRT를 실시할 경우 종양의 체적, 위치의 변화정도, 종양 및 정상조직의 선량흡수정도를 파악하여 Body fix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사전 연구에 동의한 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Body fix의 착용 유무에 따라 각기 다른 4차원 모의치료영상을 획득하여 영상을 바탕으로 종양조직 및 정상조직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종양의 용적을 분석해본 결과 Body fix의 사용이 GTV는 0.17%, CTV와 PTV는 3.2% 정도 체적을 줄일 수 있었으며, 종양의 운동성은 AP방향에서 29.8%, UL방향에서 5.31%의 움직임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종양의 흡수선량 값은 Body fix를 사용한 경우가 다소(1.3%) 높았으며 정상조직(정상간, 위, 우측신장, 척수)의 흡수선량은 5% 정도 줄일 수 있었다. 따라서 간암의 4DRT시 Body fix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