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quid food

검색결과 2,110건 처리시간 0.031초

만성 알코올 섭취시 2-Acetylaminofluorene 투여가 흰쥐간 Cytochrome P-450 및 Glutathione 이용 효소계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ronic Alcohol Feeding and 2-Acetylaminofluorene Treatment on Microsomal Cytochrome P-450 and Glutathione Dependent Enzymes Activities in Rat Liver)

  • 김정희;최옥희;윤혜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59-866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액체식이로 알코올을 열량의 35%로 6주간 섭취시킨 흰주의 간조직내 지질과산화물과 glutathione 이용효소계의 활성도 및 cytochrome P-450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아울러 간암의 발암원으로 알려진 2-AAF를 투여하여 이들의 상호효과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체중, 간무게, 그리고 체중에 대한 간무게의 알코올에 대한 효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체중은 알코올에 대한 효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체중은 알코올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간무게 및 체중에 대한 간무게는 알코올군의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2. Microsome의 지질과산화물 함량 및 cytosol의 glutathione peroxidase, glutathione reductase 활성도는 알코올과 2-AAF 투여시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ytosol의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도는 알코올과 2-AAF에 의해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알코올 섭추와 함께 투여시 GST 활성도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3. Microsome의 cytochrome P-450 및 cytochrome b5 함량에 대한 알코올 효과는 cytochrome P-450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고 cytochrome b5는 유의적인 증가를 보여 주었으며 2-AAF 투여 역시 cytochrome P-450의 유의적인 증가를 유도하였다. 따라서 알코올 섭취와 2-AAF 함께 투여 시 cytochrome P-450의 함량이 대조군의 약 2.2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cytochrome b5 함량이 1.7배로 높이 증가하였다. 이는 2-AAF가 cytochrome P-450을 유도하여 자신의 대사를 촉진시키며 알코올의 섭취 또한 2-AAF의 hydroxylation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과량의 알코올을 만성적으로 섭취시 간조직내의 microsome의 MFO system에 영향을 미쳐서 발암물질의 생체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고 또한 GST의 활성도를 증가시키므로 어느 정도 발암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H2O2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잎 분획물의 PC12 cell 보호 효과 (PC12 Cell Protective Effects of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Leaf Fraction against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 박선경;진동은;박창현;승태완;최성길;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83-488
    • /
    • 2014
  •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잎의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distilled water 분획물의 total phenolic 화합물 함량은 chloroform 분획물이 206.8 mg GAE/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 및 지질 과산화(MDA) 생성 억제효과 실험 결과에서 chloroform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in vitro 항산화 실험들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인 chloroform 분획물을 이용하여 $H_2O_2$으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PC12 cell)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생성 억제효과, 세포 생존율 그리고 세포막 손상 억제효과 역시 농도 의존적 경향을 나타내며 positive control 로 사용된 Vit.C와 유의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HPLC 분석 결과 브로콜리 잎 chloroform 분획물에 존재하는 주요 phenolic 화합물은 feulic acid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생리활성 물질로서의 ferulic acid 등을 함유한 브로콜리 잎 chloroform 분획물은 in vitro 항산화 활성과 함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복방제제 내 클로르퀴날돌과 프로메스트리엔에 대한 HPLC 기반 동시분석법의 개발 및 밸리데이션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HPLC method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hlorquinaldol and promestriene in complex prescription)

  • 이슬지;신상연;신혜진;이진균;김동환;이수정;한상범;박정일;이정미;권성원
    • 분석과학
    • /
    • 제25권2호
    • /
    • pp.152-157
    • /
    • 2012
  • 현재 시중에 많은 복방제제가 유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의 품질관리를 위한 시험법은 부족한 실정이다. 여러 주효 성분을 가지는 복방제제의 경우 대부분 약전에 수재된 항목 중 2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약전에 단일 항목에 대한 시험법이 고시되어 있을 뿐 여러 항목을 한번에 시험하는 방법이 없어 한가지 제제를 관리 하는 데에 여러 시험법이 요구되어 효율이 낮고 비용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유통중인 복방제제의 새로운 분석법을 개발한 과정과 그 때에 적용되는 기준을 제시하고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복방 프로메스트리엔, 클로르퀴날돌 제제에 대한 새로운 분석법을 HPLC를 기반으로 가장 적용이 용이하게 개발하였으며 직선성, 정밀성, 정확성(회수율), 시스템 적합성(반복성, 분리도) 등의 항목에 대하여 밸리데이션을 수행함으로써 분석법을 검증하였다. 또한 개발된 시험법을 이용하여 시중 제품을 모니터링하고 실험실간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여 시험법의 견고성을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고시안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생체친화성 균주에 의한 인삼열매증포 추출물의 최적발효조건 및 항산화활성 (Establishment of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s for Steam-dried Ginseng Berry via Friendly Bacteria and Its Antioxidant Activities)

  • 김승태;김희정;장수길;이도익;주성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7-8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뿌리보다 활성성분의 함량 및 종류가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인삼열매를 7증7포 증숙처리 후 확보한 열수추출물에 대한 발효에 적합한 발효균주의 선발과 발효의 조건을 탐색하여 효능이 개선된 기능성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5종의 생체친화형 세균(L. fermentarum, L. plantarum, L. brevis, L. casei, B. subtillis) 중 L. plantarum에서 우수한 발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특히 L. plantarum 으로 증포인삼열매 추출물을 발효 시 효과적인 항산화활성이 관찰되었다. 더욱이, L. plantarum으로 발효 시 인삼의 중요 활성성분인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및 성분의 변화가 관찰되었고 비발효시 관찰되지 않았던 높은 수준의 Rg3를 포함한 Rh1, Rg2, Rd, 및 Rh2가 관찰되어 발효물의 약리학적 적용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증포인삼열매추출물은 L. plantarum에 의해 효과적으로 발효가 되며, 발효 후 나타나는 항산화활성 및 진세노사이드의 성분/함량의 변화가 치료적 수준에 적합한 후보물질로의 개발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설탕 사양꿀의 특이 성분 분석 (Characteristic components of sugar-fed honey compared to natural honey)

  • 김세건;홍인표;우순옥;장혜리;한상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55-359
    • /
    • 2017
  • 천연꿀과 사양꿀의 성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천연 아카시아꿀, 밤꿀 그리고 잡화꿀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양꿀은 사탕수수 사양꿀 그리고 사탕무 사양꿀을 시료로 분석하였다. 사양꿀은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단일물질을 분리하고, 이화학 분석을 통해 트랜스-2-데센다이산으로 동정하였다. 또한 UPLC를 이용하여 천연꿀과 사양꿀에서의 트랜스-2-데센다이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사탕수수 사양꿀과 사탕무 사양꿀은 $121{\pm}5.9$, $127{\pm}4.5mg/100g$ 확인된 반면 천연 아카시아꿀에서는 $13{\pm}0.9mg/100g$, 밤꿀은 $17{\pm}0.6mg/100g$, 그리고 잡화꿀에서는 $13{\pm}1.3mg/100g$로 사양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적게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트랜스-2-데센다이산 성분은 사양꿀에서는 주요 성분이지만 천연꿀에서는 미량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천연꿀과 사양꿀을 구분 할 수 있는 성분으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moxacillin의 경구투여에 따른 양식 어류(넙치, 조피볼락, 참돔)의 근육조직내 잔류량의 변화 (Muscle Tissue Distribution Level of Amoxicillin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nd Red Sea Bream (Pagrus major)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 정희식;김석;민원기;이후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44-249
    • /
    • 2006
  • Amoxicillin을 넙치, 조피볼락 그리고 참돔에 각각 400 mg/kg bw/day의 용량으로 7일 동안 사료와 혼합하여 경구 투여한 다음, 휴약기간 동안 근육조직 내 잔류 분포를 조사하였다. 실험어는 해수 중에서 일정한 크기의 케이지에 일반 상업용 사료를 주어 사육하였고, 실험에 사용하기에 앞서 15일 동안 환경에 적응시켰다. 약제 투여 후, 근육시료는 1, 2, 3, 4, 그리고 5일에 각각의 실험어를 대상으로 채취하였다. Amoxicillin의 잔류분석은 형광검출기를 부착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moxicillin의 회수율은, 0.05mg/kg의 농도에서 84.3-101.3%, 0.1mg/kg의 농도에서는 75.0-91.5%를 보였다. 투약 후 1일에는, 참돔의 근육 중 amoxicillin의 잔류농도가 넙치와 조피볼락의 근육 중 잔류농도에 비하여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투약 후 4일에는, 모든 근육 시료에서 amoxicillin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moxicillin의 사료혼합을 통한 경구 투여는 넙치, 조피볼락 그리고 참돔의 근육 중에서 안전휴약기간(7일) 보다도 체래 소실이 빨리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는 바, 안전휴약기간을 준수한다면 amoxicillin의 어류 근육 조직 내 잔류로부터 안전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태의 가열시간 및 냉동저장에 따른 지방산 조성 변화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Shank During Heating Time and Frozen Storage)

  • 김경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15
    • /
    • 198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nges of the lipid contents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shank during heating time and frozen storage. 1. The total lipid contents of raw shank were about 3.57% and decreased stepwise during heating time 30, 60, 90 min and frozen storage(24hrs) The contents of neutral lipid, glycolipid and phospholipid were 70.71%, 6.36%, and 22.93% in raw shank, and neutral lipid contents were decreased, whereas Phospholipid content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heating tide. In frozen storage, neutral lipid and glycolipid contents were increased, while phospholipid contents were decreased. 2. Lipids of shank possessed about 8 kinds of fatty acid as the constituent by gas-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The main fatty acids were oleic acid, palmitic acistearic acid and linoleic acid: the fatty acids of total lipids in raw shank were 43.48% of oleic acid, 23.13% of palmitic acid,12.00% of stearic acid and 6.75% of linoleic acid. Also the fatty acids were 43.32% of oleic acid, 23.26% of palmitic acid, 9.30% of stearic acid 2.15% of linoleic acid in neutral lipid, 22.63% of oleic acid, 8.44% of palmitic acid, 11.98% of stearic acid, 27.01% of linoleic acidin glycolipid, 39.38% of oleic acid, 15.89% of palmitic acid, 15.55% of stearic acid, 17.49% of linoleic acid in phospholipid. 3. The fatty acid pattern of total lipid, neutral lipid, glycolipid and phospholipid was not any changes, wherea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atty acid contents: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of total lipid were decreased in the 30 min and 60 min heating but increased in 90min heating, and linoleic acid of neutral lipid was increased stepwise during heating time and frozen storage. Also palmiict acid of glycolipid was increased gradually and linoleic acid in heating time 30, 60 min was higher than 90 min and frozen storage. Among fatty acids in phoapholipid, oleic acid was increased during heating time, while decreased in frozen storage, and linoleic acid was not any change but linolanic acid was increased. UFA/SFA of phospholipid was the highest when heating time was 60 min. From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when heating time was 60 min beneficial nutritionally, comparing with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heating time aid frozen storage.

  • PDF

닭에서의 지방산(脂肪酸) 생합성(生合成)에 미치는 급여지방산(給與脂肪酸)의 영향(影響) (Fatty Acid Biosynthesis of Chicken Fed Various Long Chain Fatty Acids)

  • 고태송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13-319
    • /
    • 1978
  • 무지방사료(無脂肪飼料) 및 여기에 17:0, 18:0 혹은 18:2을 첨가(添加)한 사료(飼料)를 병아리에 급여(給與)해서 간장(肝臟) 및 혈장(血漿)의 각지질분획(各脂質分劃)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 미치는 급여지방산(給與脂肪酸)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그 결과(結果) 간장중(肝臟中)의 총지질함량(總脂質含量) 및 각지질분획(各脂質分劃)의 함량(含量)은 급여지방산(給與脂肪酸)에 의해서 영향(影響)받지 않았다. 그러나 17:0을 급여(給與)하면 간장(肝臟) 및 혈장(血漿)의 각지질분획(各脂質分劃)에 17:0 및 17:1 출현(出現)하고, 혈장(血漿)트리그리세라이드에서는 17:0이 또한 혈장(血漿)콜레스테롤에스텔에서는 17:1이 다른 분획(分劃)보다도 유의(有意)하게 높았다. 더욱이 간장(肝臟)에서는 각분획(各分劃)사이에 양지방산(兩脂肪酸)의 분포치(分布値)에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18:2의 급여(給與)도 17:0을 급여(給與)한때와 같이 간장(肝臟) 및 혈장(血漿)의 각지질분획(各脂質分劃)에 18:2이 출현(出現)하고, 특(特)히 간장인지질분획(肝臟燐脂質分劃)에서 18:2의 분포치(分布値)는 다른분획(分劃)보다도 유의(有意)하게 높았다. 그러나 18:0을 급여(給與)해도 이것이 간장(肝臟) 및 혈장중(血漿中)에 특별적(特別的)으로 증가(增加)하지는 않았다. 또한 17:0 및 18:2과 같은 외인성지방산(外因性脂肪酸)의 급여(給與)에 의하여 내인적(內因的)으로 합성(合成)되는 16:1 및 18:1의 분포치(分布値)는 간장(肝臟)에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 PDF

에탄올을 장기간 섭취한 흰쥐의 간기능에 미치는 아스코르빈산 및 알파토코페롤 투여의 영향 (Effects of Ascorbate and $\alpha$-Tocopherol Administration on Liver Function in Chronically Ethanol-Treated Rats)

  • 이치호;정영진;박동기;김춘원;한영복;이원창;김종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2-137
    • /
    • 1993
  • 본 연구는 장기간의 에탄올을 섭취시킨 흰쥐에 있어서 최근에 개발된 CL-HPLC를 이용해 측정한 과산화물 및 혈액 생화학치의 변화를 조사하고, 또한 이들 수치에 미치는 아스코르빈산, 알파토코페롤 및 아스코르빈산 알파토코페롤 병합투여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은 감소하였으나, 상대적 간장중량, GPT의 수치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과산화물가가 유의하게(p<0.001) 증가하였다. 반면에 에탄올 투여군에 3주동안 아스코르빈산, 알파토코페롤 및 아스코르빈산.알파토코페롤 병합 투여를 한 결과, 알파토코페롤 투여군 및 아스코르빈산.알파토코페롤 병합투여군에서 상대적 간장중량, 콜레스테롤함량, GPT의 수치 및 과산화물가가 회복되었다. 이 결과는 식이중의 알파토코페롤 및 아스코르빈산.알파토코페롤 투여가 에탄올로 유도된 간장의 과산화지질의 형성을 방지해, 간기능을 회복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하겠다.

  • PDF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로부터 Helicobacter pylori Urease Inhibitor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elicobacter pylori Urease Inhibitor from Rubus coreanus Miquel)

  • 양성우;호진녕;이유현;신동훈;홍범식;조홍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769-777
    • /
    • 2004
  • 위염과 위궤양의 일차적 발병 인자로 알려진 Helicobacter pylori의 생육을 억제하고 urease 산물인 암모니아의 축적에 의한 위점막 손상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복분자로부터 H. pylori urease저해물질을 분리정제하고 소재화와 관련된 일부 성질을 규명하였다. 양념 채소류, 차류, 죽류, 건강채소류등의 식용식물, 약용식물, 허브 및 해조류, 총 173종으로부터 극성도에 따라 계통추출한 수용성인 냉수추출물(Fr, 1), methanol 추출물(Fr.4), 열수추출물(Fr.5) 519점을 대상으로 H. pylori urease 저해활성을 검색하였다. 1차 및 2차 저해활성 검색 결과 복분자의 70% acetone추출물이 약 24%의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 추출물을 ethyl acetate와 butanol을 사용하여 ethyl acetate/DW layer(RCE/RCWl)와 butanol/DW layer(RCB/RCW2)로 순차 분획한 후 활성획분인 RCW2 내의 활성 본체를 확인할 목적으로 periodate oxidation과 pronase digestion을 실시한 결과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성 물질로 판명되었다. 저해활성 물질은 DEAE-Toyopearl 650C, Butyl-Toyopearl 650M 및 Sephadex LH-20순의 column chromatography에 의 해 분리 정제되었다. 분리 urease 저해물질, RCW2-IIIc $\alpha$는 HPLC의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에 의해 비교적 순도 높은 분자량 약 13 kDa의 단일 물질임이 확인되었다. 저해활성물질은 열에 안정성을 보이 는 내열성 단백질임을 알 수 있었고 위내 단백분해효소인 pepsin에도 가수분해 저항성을 나타냄으로써 기능성식품의 소재로 높은 소재화 적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