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class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재래 검점콩의 지방질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Lipid Class and Fatty Acid of Korean Black Soybean)

  • 이경임;유정희;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2-268
    • /
    • 1988
  • 검정콩을 chloroform-methanol(2 : 1, v/v)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총지방질을 SACC로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로 분획하고, 이들의 조성을 TLC에 의하여 분별하였으며, GC에 의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정콩의 총지방질중 중성지방질은 $88.5{\sim}89.2%$, 당지방질은 $2.4{\sim}2.5%$,, 인지방질은 $8.4{\sim}9.0%$였다. 중성지방질 조성중 triglycerides가 주된 성분이었으며, diglycerides, sterols, steryl esters, free fatty acids, hydrocarbons 등을 함유하고 있었다. 당지방질 성분으로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s 및 esterified steryl glycosides, cerebrosides 및 steryl glycodes, digalactosyl diglycerides 등이 분별정량되었으며, 인지방질에서는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inositol, phosphatidyl serule 및 lysophosphatidyl choline이 분별정량되었다. 검정콩의 지방산 조성은 중성지방질의 경우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고, oleic acid가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당지방질도 이와 비슷하나 olelc acid함량이 다소 낮은 반면 palmitic acid와 linolenic acid함량이 약간 높았다. 또한 인지방질은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 함량은 높으나 그외는 적은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

Nutrient Intake Status of Koreans by Income Level and Age Group Analyzed from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 Lee, Joung-Won;Cho, Han-Seok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6권2호
    • /
    • pp.67-77
    • /
    • 2004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nutrient intakes by the economic status and different age groups and to identify the nutritional risk group and its specific nutrition problem,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ere analyzed. The subject's numbers of 9,391 were classified into four classes such as low (14.2%), medium (37.2%), high (26.0%), and high above (22.6%) on the basis of the family monthly income and the 2001 Korean minimum cost of living according to the family size. Mean intakes of energy and all nutrients assessed by the RDAs, lipid-energy %, and MAR were increased as the economic status were going up. Na intake expressed per 1,000kcal was in reverse. Nearly a half(45.5%) of the low-income people seemed to take nutritionally inadequate diet in consideration with MAR values. Deficiencies of iron and even energy in the toddlers (1 to 2 years) of low-income class were of great concern. Adolescent age group has been observed that their calcium and iron intakes, and possibly energy, were appeared to be the most deficient among all the age groups regardless of the economic status. For the elderly in all the economic status except high-above class, calcium, vitamin A, and riboflavin were commonly deficient nutrients. Calcium deficiency was appeared throughout nearly all the ages except toddlers and all the economic classes. Even in the high-above class 57.3% took insufficient amount of calcium.

양식산 및 천연산 고등어근육의 일반성분과 지질성분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Proximate Compositions and Lipid Component in Cultured and Wild Mackerel Scomber japonicus Muscles)

  • 문수경;홍석남;김인수;정보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411-416
    • /
    • 2009
  • Proximate compositions and fatty acid profiles of cultured and wild mackerel (Scomber japonicus) muscles were compared. Protein content ranged from approximately 16% to 18% and was higher in wild fish than in cultured ones. Lipid content was between two to four times higher in large and small cultured fish (20.1-20.5%) compared with same sized wild fish. The prominent non-polar lipid (NL) class in fish muscles was triglyceride, and additionally, free sterol was among the prominent NL classes in wild fish muscles. Prominent phospholipid (PL) classes in cultured and wild fish muscles were phosphatidylethanolamine and phosphatidylcholine, with the former being higher in cultured fish and the latter higher in wild fish. Prominent fatty acids of total lipid were 16:0, 18:1n-9, 22:6n-3 (docosahexaenoic acid, DHA), 20:5n-3 (eicosapentaenoic acid, EPA), 16:1n-7, 18:0 and 14:0, while 18:2n-6 was among the prominent fatty acids in cultured fish. The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DHA+EPA) content (in mg/100 g of muscle tissue) was higher in cultured fish (2,711 mg in large fish and 2,572 mg in small fish) than in wild fish (2,431 mg in large fish and 1,398 mg in small fish). In conclusion, we have been able to demonstrate that cultured mackerel could also be a good sources of n-3 PUFA, such as DHA and EPA.

식육내 비타민 E에 의한 육색소와 지질의 산화 안정성 향상 (Improvement of Oxidative Stability of Myoglobin and Lipid with Vitamin E in Meat)

  • 파우스트만;린치;정진연;주선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6-95
    • /
    • 2003
  • 비타민 E에 의한 육색소의 산화 안정성 향상 기작을 정리하였다. 지용성 산화제인 $\alpha$-토코페롤이 수용성 단백질인 옥시마이오글로빈을 보호하는 원리가 밝혀지고 있다. 최근의 연구들에서 $\alpha$-토코페롤이 세포막 지방산화의 2차 산화물들의 방출을 지연시켜 옥시마이오글로빈 산화를 억제시키고 식육의 바람직한 육색을 유지시킨다는 증거가 제시되고 있다. 지방산화물의 한 그룹인 $\alpha$,$\beta$-분포화 알데하이드들은 단백질과 서로 결합하는 역할을 하여 옥시마이오글로빈의 산화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만약 $\alpha$-토코페롤이 이런 활동적인 알데하이드들의 발생을 지연시킨다면 이런 지방산화물들이 옥시마이오글로빈의 산화에 미치는 영향도 억제될 것이다. 또한$\alpha$-토코페롤은 메트마이오글로빈의 환원에 작용하여 쇠고기의 육색 안정성 유지에 일정부분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유지의 알칼리 이성질화에 의한 Conjugated Linoleic Acid 농축물의 제조 (Prepara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oncentrate from Vegetable Oils by Alkali Isomerization)

  • 김지호;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53-1457
    • /
    • 1999
  • 항산화 및 항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conjugated linoleic acid(CLA)를 식물성 유지로부터 알칼리 이성질화에 의해 고 농도의 CLA 농축물을 얻기 위한 최적 조건을 연구하였다. 지방산 조성이 상이한 식물성 유지를 알칼리 이성질화 하였을 때 CLA 생성량은 유지중 linoleic acid 함량이 많은 것이 가장 높았다. 홍화유를 알칼리 이성질화할 때 KOH 농도는 $8{\sim}11%$, 가열온도는 $180{\sim]185^{\circ}C$에서 cis-9, trans-11 CLA와 총 CLA 생성량이 가장 높았고, 가열시간은 CLA 생성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20{\sim}40$분이 가장 적당하였다. 홍화유를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에 의해 중성, 당 및 인지방질의 lipid class를 분획하여 알칼리 이성질화를 시켰을 때 중성지방질의 획분에 CLA가 가장 많이 함유되었다. 알칼리 이성질화시킨 홍화유를 요소처리와 HPLC 분획에 의해 95.4%의 CLA 농축물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잣지질 성분의 분획정량 및 각 획분의 지방산 조성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ree Lipid Classes in Korean Pinenut)

  • 김명;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06-412
    • /
    • 1984
  • 잣(Pinus koraiensis S & Z)에서 얻은 총지질 성분을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로 분획 정량하고, 다시 이 분획된 성분을 thin layer chromatography 로써 재분리시켜 구성성분들을 분별하고 scanner에서 정량하였으며, 각 획분별 지방산 조성을 gas chromatography로써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잣지질의 구성은 중성지질이 총지질의 $95.9{\sim}96.7%$, 당지질이 $2.5{\sim}3.2%$, 인지질이 $0.8{\sim}0.9%$였으며, 중성지질에서는 triglyceride(80.8%), diglyceride(6.3%), free fatty acid(5.2%), sterol(4.6%) ,sterol ester 및 hydrocarbon 등이 분별 정량되었으며, 이 중 triglyceride가 주된 물질이었다. 당지질에서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 및 esterified sterylglycoside(23.5%), cerebroside 및 steryl glycoside(7.8%), digalactosyl diglyceride(2.3%) 등이 분별정량되였고, 인지질의 획분에서는 phosphatidyl cho-line(40.2%), phosphatidyl ethanolamine(19.4%), phosphatidyl inositol(7.3%), lysophosphatidyl choline(5.8%), phosphatidyl serine(2.6%) 등이 분별 정량되었다. 2) 각 분획된 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중성지질의 경우 linoleic acid(48.7%), oleic acid(28.8%), arachidic acid(14.4%), palmitic acid(5.7%), stearicacid(1.84%), linolenic acid(0.7%), myristic acid(0.1% 이하), lauric acid(0.1% 이하) 등이 분리 정량되었으며, 당지질과 인지질에서도 linoleic acid, oleic acid등이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인지질의 경우 palmitic acid(17.7%)와 stearic acid(6.0%)의 함량이 다른 지질획분에 비해 다소 많았다.

  • PDF

Conjugated Linoleic Acid급여 뱀장어(Anguilla japonica) 지질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Lipids from Eel (Anguilla japonica) Fed Conjugated Linoleic Acid)

  • 최병대;강석중;하영래;김소영;이재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1-67
    • /
    • 2006
  • 최근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능성을 나타내는 원료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인의 식습관 상 어류 섭취가 많고 이로부터 DHA, EPA와 같은 기능성 지질의 섭취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인정 형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항암성, 체지방 감소효과 등을 보이고 있는 CLA를 어류사료에 첨가하여 안정성이 높은 중성지질의 형태로 바꾸어 항산화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뱀장어 사료에 CLA 함량을 $0\%,\;0.5\%,\;1.0\%,\;2.5\%$, 및 $5.0\%$로 성형하여 순환여과식 사육장치에서 8주간 사육하였다. 사육 후 이들 시료로부터 지질을 추출하고 $37^{\circ}C$에 저장하면서 지방산조성의 변화, 지질 class의 변화, 산소 소비에 따른 중량증가, 과산화물가, 카아보닐가 등으로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CLA 축적량은 $0.5\%,\;1.7\%,\;3.3\%$$6.2\%$로 나타나 CLA 공급이 많을수록 축적되는 CLA량은 증가하였다. 대조구의 경우 저장 3주 후부터 불포화산의 함량이 감소하여 $13.7\%$에서 5주 후에는 $6.2\%$로 급감하였다. $0.5\%$ CLA 급이구는 저장 4주째 불포화산의 함량이 $11.8\%$, 5주째는 $7.4\%$로 감소하였으며, $1.0\%$$2.5\%$ CLA 급이구에서는 불포화산의 함량이 4주째 $15.3\%$$14.8\%$로 변화가 적었다. 중성지질의 class 조성은 $1.0\%$$2.5\%$ CLA 급이구는 저장 5주째 중성지질과 인지질의 비가 53.9:46.1 및 64.3:35.7로 낮아졌으며, 다른 구에서는 저장 4주째부터 산화가 진행되었다. 과산화물가와 카아보닐가의 변화에서도 $1.0\%$$2.5\%$ CLA 급이구가 산화에 가장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Combined Lowering Effects of Rosuvastatin and L. acidophilus on Cholesterol Levels in Rat

  • Wang, Lijun;Zhou, Baihua;Zhou, Xue;Wang, Yang;Wang, Hongwei;Jia, Shengying;Zhang, Zhipeng;Chu, Chao;Mu, Jian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3호
    • /
    • pp.473-481
    • /
    • 2019
  • Statins are a class of lipid-lowering drugs commonly used in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s. However, statin therapy presents many limitations, which have led to an increased interest in non-drug therapies, such as probiotics, to improve blood cholesterol levels. Indeed, probiotic strains such as Lactobacillus acidophilus have been found to improve blood lipid profiles, especially in reducing total cholesterol and LDL-C levels.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high-cholesterol rat model and studied the effect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dministration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rosuvastatin. We were able to show that Lactobacillus exerts a cholesterol-lowering effect. Additionally, we observed that when administered together, rosuvastin and Lactobacillus exert a combined cholesterol-lowering effect. Altogether, our data advocate for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probiotics as non-drug supplements for the treatment of hypercholesterolemia.

일시적 운동이 혈중 Adiponectin과 Gut hormone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ute exercise on Adiponectin and Gut hormone)

  • 장석암;이장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94-1202
    • /
    • 2012
  • 최근에 발견된 Adiponectiin과 gut hormone은 지질대사와 인슐린 저항성, 그리고 식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트레이닝을 한 고등학교 씨름선수 16명(경량급=8, 장사급=8)을 대상으로 일시적 운동을 실시하여, 운동 전 후의 혈중 Adiponectin과 Gut hormones 농도의 변화와 체중차이에 의한 농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구명하고 체중의 차이가 운동의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으로 일시적 운동프로그램은 40분간 걷기를 한 후, 5분간 all-out 달리기를 실시하였으며 운동 전 후에 혈액을 채혈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Adiponectin과 Ghrelin의 농도는 경량급선수가 장사급선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인슐린의 농도에서는 반대로 장사급선수가 경량급선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또한, 운동 전 후의 유의한 차이는 오직 글루카곤에서 운동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다른 모든 변인에서 운동 전 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는 Adiponectin과 인슐린, Ghrelin 등의 혈중 농도에 대한 일시적인 운동 효과는 없었으며 체중 차이에 의해서 변화를 보였고, 글루카곤의 경우에만 일시적인 운동에 영향을 받아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Adiponectin과 인슐린, Ghrelin 등의 농도는 지속적인 운동의 효과와 체중 차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되며 글루카곤은 일시적인 운동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3종(種) 패류(貝類)의 지질조성(脂質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ipid Composition in Three Species of Shellfish)

  • 손양옥;하봉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07-419
    • /
    • 1983
  • 서식환경(棲息環境)이 다른 해산(海産) 참굴, 소라 그리고 담수산(淡水産) 후루미재첩의 3종(種) 패류(貝類)를 시료(試料)로 총지질(總脂質)을 추출(抽出)하여 thin layer chromatography와 TLC-scanner를 이용(利用)하여 총지질(總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질성분(脂質成分)을 정량(定量)하였다. 그리고 gas liquid chromatography로 총지질(總脂質)의 지방산(脂肪酸) 및 sterol 조성(組成)을 정량(定量)하였으며, 총지질(總脂質)을 다시 column chromatography로 중성지질(中性脂質), 당지질(糖脂質) 및 인지질(燐脂質)로 분획(分劃)하여 패류지질(貝類脂質)의 특징(特徵)을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시료(試料) 패류(貝類)의 총지질(總脂質) 함량(含量)은 굴이 1.8%, 소라가 0.4% 그리고 후루미재첩이 4.0%였다. 그리고 총지질(總脂質)의 전지방산(全脂肪酸)의 함량(含量)은 굴이 80.7%, 소라가 71.2%, 후루미재첩이 73.2%였고 불감화물은 굴이 15.4%, 소라가 18.1%, 후루미재첩이 23.1%였다. 2) 총지질(總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질성분(脂質成分)으로는 triglyceride, 극성지질일색소(極性脂質一色素) 혼합층(混合層) 그리고 sterol성분(成分)이 가장 많았고 hydrocarbon-esterified sterol 혼합층(混合層)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3) 총지질(總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은 참굴에서는 palmitic(37.0%), eicosapentaenoic(13.5%) 및 linoleic acid(11.2%)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고 소라에서는 octadecatetraenoic(15.8%), palmitic(11.2%), oleic(8.6%) 및 linoleic acid(8.1%)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으나, 후루미재첩에서는 palmitic(34.0%), Iinoleic(12.3%) 및 palmitoleic acid(9.8%)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었다. 특(特)히 참굴과 소라에서는 eicosapentaenoic acid의 함량(含量)이 후루미재첩보다 훨씬 많았다. 4) 3종(種) 패류(貝類)의 sterol성분(成分)은 주(主)로 cholesterol(42.7~64.0%), brassicasterol(15.6~24.7%) 및 24-methylenecholesterol(4.7~21.4%)였다. 그러나 참굴에서는 sitosterol(5.3%)이 소라에는 22-dehydrocholesterol(12.9%)이 검출(檢出)되었다. 5) 총지질(總脂質)에서 분획(分劃)한 비극성지질(非極性脂質)과 극성지질(極性脂質)의 함량(含量)은 시료(試料)에서 공통적(共通的)으로 비극성지질(非極性脂質)이 극성지질(極性脂質)보다 높았다. 그리고 극성지질중(極性脂質中)에서는 당지질(糖脂質)과 인지질(燐脂質)의 함량비(含量比)가 비슷하였다. 6) 중성지질(中性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질성분(脂質成分)은 triglycerides(33.0~36.7%), free sterol(25.7~32.2), esterified sterol(12.4~23.7%) 그리고 free fatty acids(5.1~11.7%)로 구성(構成)되어 있었다. 중성지질(中性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으로는 참굴과 후루미재첩에서는 palmitic(28.4~26.4%), eicosapentaenoic(18.6~21.9%) 및 linolenic acid(9.0~5.4%)가 주성분(主成分)이었고 소라에서는 octadecatetraenoic(14.5%), eicosapentaenoic(13.5%) 및 palmitic acid(12.3%)가 주성분(主成分)이었다. 7) 당지질(糖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으로는 참굴에서는 eicosenoic(14.3%), palmitic(12.1%) 및 linolenic acid(10.2%)가 주성분(主成分)이었고, 소라에서는 eicosenoic(26.0%), octadecatetraenoic(14.6%) 및 eicosadienoic acid(12.9%)가 주성분(主成分)이었으며 후루미재첩에서는 eicosadienoic(21.4%), stearic(14.6%), octadecatetraenoic(8.5%) 및 eicosenoic acid(8.5%)가 주성분(主成分)이었다. 8) 인지질(燐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으로는 참굴에서는 myristic(16.0%), stearic(10.6%), eicosenoic(10.5%) 및 palmitic acid(10.3%)가 주성분(主成分)이었고, 소라에서는 oleic(22.2%), stearic(20.7%) 및 linolenic acid(11.8%)가 주성분(主成分)이었으며, 후루미재첩에서는 eicosapentaenoic(25.1%), myristic(8.7%) 및 arachidonic acid(8.3%)가 주성분(主成分)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