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inoleic acid antioxidant

Search Result 35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쥐에서 Conjugated Linoleic Acid가 대장의 종양발생률과 항산화효소와 Eicosanoid 및 2차 담즙산 배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Colon Tumor Incidence and Antioxidant Enzymes and fecal Excretion of Secondary Bile Acids in DMH-treated Rats)

  • 김경희;강금지;박현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10호
    • /
    • pp.1038-1044
    • /
    • 2002
  • The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on tumor incidence, eicosanoid formation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colonic mucosa and the fecal excretion of deoxycholic acid and lithocholic acid in 1,2-dimethylhydrazine (DMH)-treated rats. One hundred twenty 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BT (beef tallow diet) group and FO (fish oil diet) group, and each group was again subdivided into 2 groups depending on CLA supplementation, i.e.4 groups of BT, BTC, FO, FOC. All rats were fed experimental diet for 30 weeks, which contained 12% (wt/wt) total dietary fat including 1% (wt/wt) CLA, and were intramuscularly injected with DMH for 6 weeks to give total dose of 180 mg/kg body. CLA-supplemented to BT and FO diet reduced tumor incidence, eicosanoid (PGE$_2$ and TXA$_2$) level in colonic mucosa. N-3 fatty acids (mainly DHA) of fish oil diet (FO, FOC group) also reduced tumor incidence and significantly reduced eicosanoid (PGE$_2$ and TXA$_2$) level in colonic mucosa. CLA supplementation and n-3 fatty acid significantly increased colonic mucosal level of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but reduced secondary bile acids (deoxycholic acid and lithocholic acid) excretion in the feces. In conclusion, CLA supplementation and n-3 fatty acid could reduce tumor incidence by reducing eicosanoids and increasing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colon and decreasing the excretion of deoxycholic acid and lithocholic acid in the feces. The data might suggest that CLA supplementation and n-3 DHA rich fish oil may modulate colon carcinogenesis.termediate level of endurance exercise training for 6 weeks did not influence concentrations of most of free amino acid in soleus muscle of rats collected at an overnight fasted and rested state. In contrast, isolucine and leucine concentrations in extensor digitorum longus muscle of exercise-trained ra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for control anima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erobic energy metabolism had not been efficiently conducted, and thereby the utilization of BCAA for energy substrate was enhanced in fast twitch oxidative glycolytic fibers of extensor digitorum longus muscle of rats followed exercise-training protocol for 6 weeks.

Lactobacillus spp.와 Bacillus coagulans의 Glutathione Sulphydryl 함유율과 황산화 활성 (Glutathione Sulphydry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actobacillus spp. and Bacillus coagulans)

  • 변정열;윤영호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2호
    • /
    • pp.91-97
    • /
    • 2004
  • 활성산소의 세포막 파괴 효과로부터 보호작용과 항산화 활성이 강한 균주를 선별하기 위하여 33균주에 대한 세포네 glutathione 함유율과 linoleic acid 산화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Lactobacillus casei CU4114 25.15 umol/g으로 가장 높은 함유율을 보이고 있으며Lactobacillus rhamnosus CU4201, Lactobacillus plantarum CU4203이 14.0umol/g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는 수준으로 높은 함유율을 나타내었다. 포자형 성균주중의 glutathione 함유율 측정 결과 Lactobacillus sporogenes CU4109, Sporolactobacillus inulinus CU4110 은 Bacillus coagulans 균주의 GSH 함유율보다 유의성이 인정되는 높은 함유율을 나타내었다. L. acidophilus CU4111, L. casei CU4114, L. brevis CU4206, L. helveticus Cu4231은 Lactobacillus spp. 중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Bacillus coagulans의 항산화 활성범위는 6.02${\sim}$51.72%로 나타났으며 Bacillus coagulans 균주의 항산화 활성이 Lactobacillus spp.의 산화억제활성보다 높은 성향을 나타내었다.

  • PDF

수용성계의 Linoleic Acid와 LDL에 대한 한국산 홍삼의 산화방지효과 (Antioxidant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on Aqueous Linoleic Acid and LDL)

  • 이종원;이성계;도재호;성현순;이형옥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283-288
    • /
    • 1997
  • 1% linoleic acid를 함유하는 수용성 완충용액과 LDL(low-density lipoprotein, 1 mg protein/ml)을 함유하는 수용성 완충용액 각각에 $H_2O_2$$FeCl_2$를 가하여 유발된 산화과정 중 한국산 홍삼 extract(red ginseng extract; RGE)에 대한 산화방지활성을 비교물질로 ${\alpha}-tocopherol$을 사용하여, HPLC를 이용한 MDA(malondialdehyde) 정량법과 fluorometry를 이용하여 측정 비교하였다. LDL(0.25 mg protein/ml)에서 생성된 conjugated diene도 spectrometry로 측정하였다. Linoleic acid를 기질로 사용한 경우, MDA 생성량으로 비교한 산화방지효과에 있어서 1000 ppm RGE의 첨가로 71.8%의 우수한 산화저해율이 나타났으며, 이때 비교물질로 사용한 100 ppm ${\alpha}-tocopherol$의 경우에는 76.1%이었다. LDL(1 mg/ml)을 기질로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RGE 200 ppm 첨가시 가장 우수한 항산화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때의 산화저해율은 25.2%이었고, 100 ppm ${\alpha}-tocopherol$의 경우는 21.2%이었다. 또한 LDL(0.25 mg protein/ml)을 기질로 사용하여 생성된 c-diene을 측정한 경우에도 50 ppm RGE의 첨가로 44.2% 저해효과가 입증되었다.

  • PDF

Effect of Rhodiola Extract Supplementation on Blood Lipid Concentrations and Anti-Oxidant Status in Rats Fed Highly Oxidized Linoleic Acid Diets

  • Park, Ock-Jin
    • Nutritional Sciences
    • /
    • 제4권2호
    • /
    • pp.79-84
    • /
    • 2001
  • The influence of Rhodiola extract on tissue antioxidant status, plasma lipid levels, cholesterol contents of liver and fores were investigated in rats find oxidized linoleic acid. Groups of five-week old male Sprague-Dawley rats fed ad libitum with a diet containing 20% oxidized linoleic acid with or without 300 mg/kg body weight freeze-dried Rhodiola water extract. The antioxidant effect of dietary Rhodiola extract supplementation on the peroxidation potential of rats was investigated. The microsomal thiobarbir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contents were changed significantly by Rhodiola extract supplementation. Hepatic Catalase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Rhodiola supplemented rats, whereas hepatic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MnSOD) or Copper Zinc Superoxide Dismutase (CuZnSOD) were not elevated. In addition, plasma cholesterol lowering effect was observed along with the stimulated excretion of cholesterol through the feces were observed with Rhodiola feeding. Supplementation with Rhodiola extract did not alter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These results support that Rhodiola extract may be effective in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stress, and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lood dyslipidemia. It demonstntes that Rhodiola extract has a potential to exert anti-atherogenic properties antioxidative capacities .

  • PDF

뽕나무가루 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버섯균사체 배양물의 자유라디칼 유도 산화 억제 (Inhibition of Free Radical-Induced Lipid Oxidation by the Extract from Submerged-Liquid Culture of Mushrooms in the Medium Containing Mulberry Tree Powders)

  • 김석종;임동길;박철우;세르보로다메;형석원;이강권;김정옥;하영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5-261
    • /
    • 2004
  • 뽕나무가루 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느타리버섯균사체 배양물의 조추출물이 자유라다칼로 유도한 linloeic acid의 산화를 대조구에 비해 75.9% 감소시켰고, mouse liver microsome산화에서도 NADPH/Fe$^{++}$ system에서 64.3%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효과는 조추출물로부터 용매분획한 분획물의 단독 효과보다 우수하였다. 상황 및 동충하초버섯균사체 배양물의 조추출물도 느타리 버섯균사체 배양물의 조추출물과 효과가 유사하였지만 다소 낮았다.

황련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Extract from Coptis chinensis Franch)

  • 김용주;이문조;박진우;김준기;최달영;김철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41-246
    • /
    • 2000
  • 상용되는 한약재의 하나인 황련(Coptis chinensis Franch)를 열수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의 유지에 대 한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즉 황련 추출물과 항산화제인 BHT, ascorbic acid 및 $\alpha$-tocopherol을 각 각 linoleic acid에 소정량 첨가하고 5$0^{\circ}C$에서 일정기간 저장하여 linoleic acid의 산화 안정성을 비교 검 토하였으며, 또한 유지 자동산화의 촉진인자인 금속이온(Fe3+, Zn2+)을 첨가하여 황련 추출물의 금속이 온 봉쇄효과를 조사하였다. 황련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항산화 효과는 전 농도별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 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시간 경과에 따른 항산화 효과에 있어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각 농도(5mg 및 10mg)에서 유도기의 연장효과가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황련 추출물과 항산화제와의 비교 에 있어서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 및 ascorbic acid와 거의 같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며, 천연 항산 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는 아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황련 추출물의 금속이온 봉쇄효과에 있어서 는 linoleic acid에 황련 추출물과 Fe3+ 및 Zn2+을 첨가한구가 황백 추출물의 무첨가구보다 항산화 효과 가 아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금속이온 봉쇄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액상 모델 시스템에서 베타-카로틴의 Co-oxidation에 대한 리폭시게나아제 및 기타 관련 인자들의 영향 (Effect of Lipoxygenase and Other Factors on the Co-oxidation of $\beta$-Carotene in Aqueous Model System)

  • 최홍식;김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2-207
    • /
    • 1995
  • The effects of lipoxygenase, linoleic acid, tocopherol and pH on the co-oxidation of $\beta$-carotene in the aqueous system were studied. It showed that the co-oxidation of $\beta$-carotene was noticeable at both pH 7.4 and 9.0. As the concentraitons of linoleic acid and $\beta$-carotene increased, the rate of oxidation of $\beta$-carotene tended to be increased. However, $\alpha$- and $\delta$-tocopherol retarded the co-oxidation of $\beta$-carotene. As the concentrations of tocopherols increased, $\beta$-carotene was more stabilized, generally. But low concentration of $\alpha$-tocopherol(10-4M) acted more effective antioxidant than high concentration of it(10-3M) at pH 7.4. The antioxidant effect of tocopherol greatly depended on pH ; it was outstanding at pH 7.4.

  • PDF

새로이 분류된 천연 항암제 : Conjugated Dienoic Derivatives of Linoleic Acid (CLA) (Naturally-Occurring Novel Anticatcinogens : Conjugated Dienoic Derivatives of Linoliec Acid (CLA))

  • 하영래;마이클파리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01-407
    • /
    • 1991
  • 동물실험을 통하여 새로이 밝혀진 항암제(anti-initiator/anti-ptomotor)인 CLA는 grilled ground beef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CLA는 grilled ground beef 외에도, cheese 및 이들 관련식품에 많이 존재한다. CLA는 반추동물의 위에 서식하는 혐기성 bacteria에 의해 linoleic acid로부터 생성되며, 식품 가공 중에서도 생성된다. 이것은 또한 in vivo에서 linoleic acid의 carbon centered free radical 형태의 산화에 의해 생성되기도 한다. CLA는 아주 강력한 항산화제임이 밝혀져, 지금까지 알려지 있지 않았는 free radical에 대응하여 membrane을 보호하는 in situ defense mechanism 역할을 한다. 이는 또한 cytochrome P450 isozyme의 활성을 저해하는 반면, ODC 효소 활성 역시 저해한다. 그래서, 적어도 CLA의 이 세가지 biological activity가 CLA 항암기작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일부 아미노산이 Linoleic acid의 산화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ino acids on the Oxidation of Linoleic acid)

  • 이준호;이은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36-341
    • /
    • 1983
  • 본(本) 연구는 linoleic acid emulsion에 아미노산용액을 첨가했을 경우 이들 아미노산에 항산화효과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고 만약 항산화효과가 있다면 산화기간 중 어느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Linoleic acid emulsion과 $10^{-2}M$, $10^{-3}M$, $10^{-4}M$의 glutamic acid, phenylalanine, alanine용액을 부피비(比)로 동량(同量) 섞어 시료를 준비하였으며 아미노산 용액 대신 증류수를 넣은 control group과 함께 $60{\pm}1^{\circ}C$에서 incubation 시켰다. Incubation 시킨 sample은 UV visible spectrophotometer에 의해 흡광도를 측정하여 diene conjugation의 정도와 TBA 값을 정하였으며 이 값으로 induction period와 그후의 산화정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Diene conjugation의 측정결과(測定結果) glutamic acid의 첨가는 induction period를 감소시켜 prooxidant로 작용하며 alanine과 phenylalanine은 induction period를 연장시켜 주므로 항산화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2) Induction period 중 아미노산이 항산화적인 작용을 하는데에는 최적농도(濃度)가 필요하며 alanine과 phenylalanine의 최적농도(濃度)는 각각 $10^{-3}M$$10^{-2}M$이었다. 3) Induction period 측정 이후에 TBA값의 측정(測定)결과 glutamic acid, alanine, phenylalanine을 첨가한 group이 control group에 비해 그 값이 낮으므로 induction period 이후의 단계에서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항산화적(抗酸化的)인 작용(作用)을 하는 최적 농도(濃度)가 glutamic acid의 경우 $10^{-2}M$이었으며 alanine과 phenylalanine의 경우에는 각각 $10^{-3}M$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