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oleic acid 산화억제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6초

유지 불검화물과 식물체 추출물이 식용유의 $180^{\circ}C$ 가열 산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il Unsaponifiables and Plant Extracts on the Thermal Oxidation of Oils at $180^{\circ}C$)

  • 정문웅;윤석후;김성렬;이지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60-868
    • /
    • 1997
  • 여러 종류(8종)의 유지로 부터 추출한 불검화물과, 강력한 자동산화억제력이 있다고 알려진 53종의 식물체(농산물 및 생약) 메탄을 추출물을 유지에 첨가한후 $180^{\circ}C$에서 14 혹은 16시간 연속 가열하는 동안 유지의 지방산조성을 측정하여 이들 추출물들이 유지의 고열 가열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추출된 유지의 불검화물들은 모두 $180^{\circ}C$의 고온 가열산화 조건에서 항산화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그러나 53종의 농산물 및 생약중에서는 일부 종들은 강력한 가열산화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특히, 대황, 백굴체, 정향 등의 메탄올 추출물은 강력한 가열산화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대황, 백굴체 및 정향의 메탄올 추출물들이, 면실유를 $180^{\circ}C$에서 1일 7시간씩 8일간 가열 처리하는 과정에서 면실유의 linoleic acid 파괴 및 중합체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 결과 정향 및 백굴체추출물은 $180^{\circ}C$에서 장기간의 가열조건에서도 linoleic acid 파괴 억제 및 중합체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크게 나타낸 반면, 대황의 경우에는 장기 가열산화 조건에서 지방산의 파괴에 대한 억제력은 미미하였으나, 중합체 생성억제력은 비교적 양호하였다.

  • PDF

엉겅퀴로부터 분리 정제한 Silymarin 및 Silybin의 지질 과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Silymarin and Silybin Purified from Silybum marianum on Lipid Peroxidation)

  • 이백천;박종옥;류병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7-43
    • /
    • 1997
  • 본 연구는 지질의 과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엉겅퀴(Silybum marianum)로부터 silymarin 및 silybin을 정제하여 실험하였다. Silymarin 및 silybin은 xanthine oxidase system에서 superoxide anion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쥐의 간 mitochondria에서는 silymarin 및 silybin은 reduced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NADPH)에 의해 효과적 또는 ascorbic acid 또는 Fenton's reagent에 의하여 비효소적으로 유도되는 지질의 과산화를 억제하였다. 또 mitochondria의 지질과산화도 silymarin 및 silybin에 의하여 억제되었고 NADPH 의존 cychrome P-450 reductase에 의한 Fe2+의 산화도 silymarin 및 silybin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Silymarin 및 silybin은 microsome의 효소 시스템 및 linoleic acid hydroperoxide induced peroxidation system에서 지질의 과산화의 연쇄반응에서 유리기의 억제효과가 있었다.

  • PDF

마늘 및 생강추출물의 DNA 손상억제작용 (Inhibitory Effects of Ginger and Garlic Extracts on the DNA Damage)

  • 강진훈;안방원;이동호;변한석;김선봉;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87-292
    • /
    • 1988
  • 지질의 산화로 일어나는 DNA손상 작용에 대한 천연 항산화성분의 억제작용과 그 기구를 조사하기 위하여 가정에서 상용(常用)하는 생강과 마늘에서 추출한 항산화성분을 각각, linoleic acid와 pBR322 DNA의 반응계에 첨가하여 $37^{\circ}C$에서 반응시키면서 경시적인 DNA 손상억제능을 조사하였다. 또한, linoleic acid와 생각 및 마늘추출물의 반응계에서 경시적으로 생성하는 superoxideanion(${\cdot}\;O_2^+$)과 과산화수소$(H_2O_2)$를 측정하여 이들 추출물의 활성산소소거능(活性酸素消去能)도 아울러 비교(比較) 검토(檢討)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생각 및 마늘추출물을 첨가한 반응계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DNA 손상이 크게 억제되었으며 생각추출물의 DNA 손상억제능이 전(全)농도에 걸쳐 반응 4일까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나 $555{\mu}g$ 이상의 농도에서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는 마늘추출물에 비하여 상당히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 추출물은 linoleic acid의 산화과정에서 생성된 superoxide anion과 과산화수소의 소거능이 컸으며 이러한 작용은 생각추출물이 마늘추출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양(兩)추출물의 DNA 손상억제능이 활성산소종(活性酸素種)의 소거능(消去能)의 차이에 기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기(上記) 추출물의 항산화력도 뛰어나 반응 4일까지 POV 가 20millieq./kg 이하(以下)로 나타났는데 이것으로 보아 활성산소소거능(活性酸素消去能) 뿐만 아니라 과산화물의 생성에 관여하는 각종 free radical의 소거능도 클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지방산의 산화(酸化)에 대한 양조간장의 항산화(抗酸化) 특성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oybean Sauce on the Oxidation of Fatty Acid Mixture)

  • 최홍식;이정수;문갑순;박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2-336
    • /
    • 1990
  • 레놀레산이 함유된 액상 모델시스템에 있어서 지방산의 산화반응에 미치는 양조간장(분말)의 항산화 특성에 대한 일련의 연구를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양조간장은 산화반응 과정 중 과산화물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반응에 첨가된 양조간장의 함량이 높을수록 항산화 작용이 더 큰 결과를 보였다. 이를 기존 항산화제와 비교하였을 때 알파-토코페롤0.05% 첨가수준의 항산화성은 양조간장 분말 $0.2{\sim}0.5%$ 범위에 있었다. 그리고 10ppm의 염화제일철이 함유된 산화반응에 있어서 양조간장은 미량금속의 산화촉진작용을 저하시켰으며 구연산과 공존할 때 항산화작용의 상승효과도 있었다. 또한, 양조간장은 oxidative free radical과 반응하였을때 수소공여성이 인정되었으며 리놀레산 혼합물의 리폭시제나이제 촉매적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효과도 보였다.

  • PDF

참깨기름의 일사광선(日射光線)에 의(依)한 산패(酸敗) (Rancidity Development of Sesame Oil Irradiated with Direct Sunlight)

  • 윤형식;최인욱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100-105
    • /
    • 1987
  • Chloroform:methanol {2:1(v/v)} 추출(抽出)한 참깨기름에 무색(無色), 청색(靑色), 적색투명(赤色透明) 셀로판 필름으로 덮개를 한 실험구(寶驗區)에는 시료(試料)무게에 대(對)하여 각각(各各) 0.02%의 BHA와 BHT를 첨가(添加)하여 일사광선하(日射光線下)에서 하루에 4시간(時間)동안 조사(照射)시켰을 때의 이들의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를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 carbonyl가(價), TBA가(價),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의 변화(變化)를 통(通)해 관찰(觀察)하였다. 항산화제첨가구(抗酸化劑添加區)의 경우(境遇) BHT가 BHA보다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가 컸으며 BHT나 BHA 모두 조사일수(照射日數)가 경과(經過)할수록 그 효과(效果)는 감소(減少)하였다. 적색(赤色) 및 청색(靑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은 강(强)한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적색(赤色)이 청색(靑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보다 강(强)한 효과(效果)를 보였다. 이는 적색(赤色)이 청색(靑色)보다 단파장영역(短波長領域)의 광선투과율(光線透過率)이 낮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적색(赤色), 청색(靑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과 BHA, BHT의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를 비교(比較)해 본 결과(結果), 적색(赤色) 및 청색(靑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이 BHA나 BHT 보다 저장초기(貯藏初期)부터 지속적(持續的)인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를 보였다. 추출(抽出) 직후(直後)의 참깨기름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주로 oleic acid (37.7%), linoleic acid(43.4%)로 구성(構成)되었으며 착색(着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을 덮은 시료(試料)를 하루 4시간(時間)씩 일사광선하(日射光線下)에서 10일(日)동안 조사(照射)시킨 후(後)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을 살펴본 결과(結果) oleic acid의 함량(含量)이 control의 경우(境遇) 1.7%, 청색(靑色)은 0.6%, 적색(赤色)은 0.2% 각각(各各) 증가(增加)하였으며 linoleic acid는 control이 4.3%, 청색(靑色)이 4.2%, 적색(赤色)은 2.1%씩 감소(減少)하였다.

  • PDF

Tumor Cell Proliferation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pore Forming Lactic Acid Bacteria (포자생성 유산균의 종양세포 증식 억제 활성과 지방산 산화 억제 활성)

  • 변정열;윤영호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2호
    • /
    • pp.99-106
    • /
    • 2004
  • 포자형성 유산균주에 대하여 종양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활성과 항산화 활성 및 세포내 glutathione 함유율을 측정하였다. 종양세포에 대한 억제활성은 균주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고 Bacillus coagulans KTCC 3675는 높은 수준의 특이한 수준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고 human lymphoma cell NCLH-1299에 대한 억제 활성은 미약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BA 방법에 의한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5~25% 정도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특별히 높은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보인균주는 Bacillus coagulans KTCC 625, Bacillus coagulans KTCC 1015 및 Lactobacillus sporogens CU 815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포자형성 유산균체 추출액의 linoleic acid과산화 억제 활성과 세포내 glutathione함유율과의 상관계수는 0.78로서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는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 PDF

뽕나무가루 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버섯균사체 배양물의 자유라디칼 유도 산화 억제 (Inhibition of Free Radical-Induced Lipid Oxidation by the Extract from Submerged-Liquid Culture of Mushrooms in the Medium Containing Mulberry Tree Powders)

  • 김석종;임동길;박철우;세르보로다메;형석원;이강권;김정옥;하영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5-261
    • /
    • 2004
  • 뽕나무가루 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느타리버섯균사체 배양물의 조추출물이 자유라다칼로 유도한 linloeic acid의 산화를 대조구에 비해 75.9% 감소시켰고, mouse liver microsome산화에서도 NADPH/Fe$^{++}$ system에서 64.3%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효과는 조추출물로부터 용매분획한 분획물의 단독 효과보다 우수하였다. 상황 및 동충하초버섯균사체 배양물의 조추출물도 느타리 버섯균사체 배양물의 조추출물과 효과가 유사하였지만 다소 낮았다.

클로로필의 광산화에 미치는 β-카로텐과 비타민 C의 영향 (Effect of β-Carotene and Vitamin C on Chlorophyll-Induced Photooxidation)

  • 류승희;이혜숙;이영순;권태완;송영선;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9-106
    • /
    • 2005
  • 클로로필의 광산화에 미치는 $\beta$-카로텐과 비타민 C의 역할을 linoleic acid emulsion 모델 시스템과 피부조직 균질액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이와 더불어 각각의 성분들의 조합시 일어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Linoleic acid emulsion 모델 시스템에서 클로로필과 $\beta$-카로텐은 고농도에서 자외선 H에 의한 광산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농도의 비타민 C는 이를 억제시켰다. 갓김치에 함유되어 있는 클로로필, $\beta$-카로텐, 비타민 C 농도를 참고하여 이들을 조합하였을 때 자외선 B에 의한 광산화를 억제시켰으며 $\beta$-카로텐의 경우 단독으로 사용되었을 때에는 산화를 촉진하였으나 다른 항산화성분들과 함께 사용될 경우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ICR mouse의 피부조직 균질액에 클로로필, $\beta$-카로텐, 비타민 C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첨가하였을 때 클로로필 a, b 및 $\beta$-카로텐의 첨 가는 광산화를 가속화시켰다. 비타민 C의 경우 50 ppm을 첨가하였을 때에는 아무런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500 ppm을 첨가하였을 때에는 자외선 B에 의한 광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시켰다. 500 ppm의 비타민 C에 클로로필과 $\beta$-카로텐을 혼합하였을 때에도 광산화가 억제되었으며 비타민 C의 농도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돈육(豚肉)의 가열처리중(加熱處理中) 아질산염(亞窒酸鹽)이 지질산화(脂質酸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ffects of Sodium Nitrite on Lipid Oxidation of Pork during Cooking)

  • 정홍균;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2호
    • /
    • pp.148-158
    • /
    • 1986
  • 돈육 등심의 각 가열처리조건에 따른 아질산염이 중량감소, pH, 발색율, 색도 및 지 지질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고온에서 가열처리하든가 미세하게 간 돈육 시료는 중량감소가 컸으나 아질산염을 처리한 시료의 중량감소는 적었고 가열처리함에 따라 pH가 떨어졌는데 아질산염을 처리한 시료의 pH저하가 억제되었다. 아질산염을 처리함에 따라 발색율, lightness, redness, 및 Chroma값이 높아져서 변색이 억제되었고 가열처리를 하면 전반적으로 malonaldehyde의 함량이 높아졌으나 고온장시간의 가열처리에서는 시료의 malonaldehyde의 함량이 오히려 감소되었다. 또한 아질산염을 처리하면 과산화물 및 malonaldehyde의 함량이 줄어들어 산화방지에 효과를 나타냈는데 가열처리 온도가 높아지고 시간이 길수 그 효과는 적었다. 돈육을 가열처리하면 각 지질성분의 함량은 대체로 낮아졌는데 인지질성분은 주로 phosphatidyl choline과 phosphatidyl ethanolamine이었으며 이들의 생성은 가열처리를 함에 따라 감소되었다. 총지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oleic acid와 palmitic acid였으며 인지질을 구성하는 주요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였고 인지질은 필수지방산 및 이중결합이 2개 이상인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이 높았는데 이들 지방산은 가열처리함에 따라 그 조성이 감소되었으며 아질산염을 처리하면 총지질 및 인지질을 구성하는 이중결합이 2개 이상인 불포화지방산의 산화가 억제되었다.

  • PDF

올리브 잎 분획물의 항산화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력 평가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Olive Leaf (Olea europaea L.) Fractions)

  • 최남영;이재환;신한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57-2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호주산과 스페인산 올리브 잎의 이화학적 특성중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페놀 함량, 항산화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력을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호주산과 스페인산 모두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22.7, 23.9%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체적으로는 물 분획물(1.5% 내외)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총 페놀 함량의 경우도 부탄올 분획물(18% 내외)이 가장 높았으며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과 물 분획물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은 페놀함량을 나타냈다. SOD 유사활성능은 0-36.08%의 범위이었으며 모든 추출물 및 분획물에서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활성도가 증가하였고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이 36.08%로 활성이 가장 높았다. DPPH radical 제거활성은 호주산 올리브 잎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63.32%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Linoleic acid와 함께 시료를 처리하여 지질과산화를 억제하는 정도는 호주산 올리브 잎 분획물은 시간 경과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비교적 일정하게 산화억제활성이 나타난 반면 스페인산 올리브 잎의 경우 몇몇 분획물에서 약한 산화억제활성을 나타냈을 뿐 산화억제활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발암물질인 nitrosamine 생성의 원인물질인 nitrite 제거활성을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부탄올 분획물은 nitrite 제거활성이 65.70, 73.10%로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헥산과 물 분획물은 제거능력이 없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