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mestone dust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초

노천광산의 발파분진 비산영역 예측에 관한 연구 (Study on Simulation of Dust Diffusion at Open Pit Mines)

  • 김복윤;이상권;조영도;김임호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8권3호
    • /
    • pp.194-199
    • /
    • 1998
  • 본 연구는 석회석 노천채광장의 발파 분진이 주변을 통과하는 특고압 선로에 어느정도 비산 퇴적할 것인지, 어떤 문제를 일으킬 것인지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였다. 발파 현장이 분진 발생량 및 입도분포는 그간의 연구 실적도 있고 계측도 가능하지만 얼마만큼의 분진이 어느 정도 거리까지 비산 퇴적할 것인지를 예측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한 바 있는 수치유체역학(CFD)을 이용한 3차원 유체거동 해석 프로그램(3D-Flow)을 이용하여 송전선로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시도를 하였다. 지형조건, 기상조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석회석 분진은 송전선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 되었다.

  • PDF

초기 반응단계에서 코크스에 의한 EAF DUST의 고온열적 거동 (High Temperature Thermal Behavior of EAF Dust by Coke at Initial Reaction Stage)

  • 정봉진;배상민;문석민;신형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7권5호
    • /
    • pp.19-25
    • /
    • 1998
  • EAF dust 처리를 위해 RAPID system으로 명명된 Extended Arc Plasma Furnace 공정개발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 EAF dust 처리공정의 초기반응 단계에서 코크스에 의한 EAF dust의 고욘열적거동을 조사하였다. 실험조건은 반응기내의 온도를 1000, 1100, 1200 및 130$0^{\circ}C$로 변화시키고, 각각의 반응온도에 대해서 반응시간이 3, 5, 8 및 12분인 경우에 석회석의 소성, EAF dust 자체의 열분해, EAF dust 혼합시료의 환원 및 휘발거동을 파악하였다. RAPID system에서 EAF dust의 용융 및 환원에 적합한 탄소환원 당량 180%와 염기도 1.7를 고려하여 혼합시료(EAF dust: 코크스 : 석회석=80:10:10 wt%)를 제조하였으며, 각 시료의 크기는 약 0.1mm 이하로써 입도분포는 200 mesh 이하가 80%를 나타내고 있다. 석회석의 소성은 $1100^{\circ}C$이상에서 3분이내에 완결되었으며, EAF dust 자체를 열분해시켰을 경우 $1300^{\circ}C$ 및 12분인 경우에 약 14%의 무게감량이 일어났고, 일부 입자들의 부분적인 소결 및 용융현상이 관찰되었다. EAF dust 혼합시료는 초기 반응단계에서 반응온도 및 반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무게 감량폭이 더 증가하였으며, $1300^{\circ}C$ 및 12분인 경우에 46%이 무게감량이 일어났다 이와 같이 EAF dust의 휘발 및 환원 거동에 관련된 무게감량 정보는 공정내에서 EAF dust의 처리시간을 결정하여 주고 궁극적으로 대용량의 전기로 분진처리 공정 설계시 전기로 분진의 처리량을 결정하는 주요인자중의 하나로써 사용될 수 있다.

  • PDF

제철소 석회석수세슬러지의 수화반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dration of sludge from limestone washing process in a steel making factory)

  • 안지환;김가연;김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권3호
    • /
    • pp.32-49
    • /
    • 1994
  • 포항제철소에서 발생되는 석회석슬러지의 기본탄산계 특성중의 일부분인 수화반응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석회석슬러지는 광물조성상 calcite이며 고품위(CaO 51%) 미분말(15~22$\mu\textrm{m}$) 석회석으로 보통탄산칼슘 영역 (-3mm + 325mesh)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2. 석회석슬러지는 수세슬러지와 소성로 습식집진 dust의 혼합슬러지이며 약 8:2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 수차례 시료채취한 소성로 습식집진 dust는 전형적인 calciteduTdmsk 실조업에서는 일부 열분해 시작한 quick lime과 다시 집진수와 수화된 slaked lime의 혼재가 예상되므로 두 공정 슬러지의 분리로 석회석슬러지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3. 석회석슬러지를 소성, 수화하여 제조된 slaked lime의 각종 수화반응기 종류별에 변화에 대해 검토하였다. 일반적인 기계적인 교반기인 magnetic stirrer의 shaking incubator, ultrasonic vibration reactor을 비교 검토한 결과 ultrasonic vibration reactor에서 격렬하지 않은 수화반응과 타반응기 보다 미세한 분체생성 및 균일한 입도분포의 특징을 갖고 있었다. 4. Ultrasonic vibration reactor에서 미분말의 slaked limetod성에 최적인 광액 농도는 10wt%이하였으며, 수화완료 시간도 5~10분으로 타반응기 보다 짧았다. 5. 석회석슬러지는 천연산 석회석을 원료로 한 경우 10~20$\mu\textrm{m}$의 불균질 slaked lime 분체를 생성에 반해 석회석슬러지는 균일한 1~5$\mu\textrm{m}$ 분체를 생성하였다.

  • PDF

석회석 노천채광장의 분진 비산특성 (Dust Fall Property of Open Cut Limestone Mine)

  • 이상권;김복윤;조영도;김임호
    • 화약ㆍ발파
    • /
    • 제17권2호
    • /
    • pp.45-51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Dust Fall Sample을 설치하여 한라시멘트 옥계 채광현장의 천공, 발파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을 측정하고, 실험적인 방법으로 100m길이의 가설 풍동을 만들어 풍속별 비산거리 및 분진입도 분포 등을 파악하여 주변작업 환경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낙진량은 기본적으로 분진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 수록 현저하게 감소하며, 같은 조건일 때는 풍속이 빠를수록 낙진량도 증가하였다. 또한 석회석 노천채광시 발파작업장으로부터 100m 내외의 주변 지표상의 낙진량은 아주 작은량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습식 배연탈황설비용 습분제거기 포집효율 평가 (Collection Efficiency of a Mist Eliminator for Wet Flue Gas Desulfurization)

  • 김문원;육세진;류태우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73-80
    • /
    • 2018
  • Recently,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on the effect of ultrafine dust on human body with increasing interest in the ultrafine dust. In the Republic of Korea, there are many old thermal power plants, and the amount of ultrafine dust emitted from the thermal power plants is reported to be about 14% of the total amount of domestic fine dust. Therefore, the amount of fine dust from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facility in the thermal power plant needs be reduced. In this study, we made an experimental setup to simulate a flue gas desulfurization facility and analyz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les passing through a mist eliminator.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mist eliminator by using the Arizona Test Dust in a dry environment, and then spraying limestone slurry into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mist eliminator to examine the size and morphology of limestone particles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mist eliminator. Cut-off size of the mist eliminator was formed at about $6{\mu}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design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removing particles passing through the mist eliminator.

석회석 슬러리 입자 제거를 위한 전기집진기 포집효율 평가 (Evaluation of Collection Efficiency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Removing Limestone Slurry Particles)

  • 이기혁;김문원;류태우;육세진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7-65
    • /
    • 2019
  • Recently,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on the effect of fine dust on human body with increasing interest in the fine dust. Thermal power plant,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ain sources of fine dust, is reported to be responsible for 14% of the total amount of domestic fine dust in the Republic of Korea. Therefore, dust collecting devices in the thermal power plant need to be improved. In this study,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ESP) was considered to substitute for a mist eliminator used in flue gas desulfurization facility. By considering real situation in the flue gas desulfurization facility,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ESP was evaluated by using the sprayed limestone slurry particles.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ES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ist eliminator, showing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the mist eliminator with the ESP in flue gas desulfurization facility.

고염소 부산물을 이용한 특수시멘트 제조 특성 (Characteristics of Manufacturing for Special Cement Using High Chlorine by-product)

  • 문기연;조진상;최문관;조계홍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0권6호
    • /
    • pp.68-7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석회석, 임의의 산업부산물, 국내산 석탄재 및 시멘트 킬른더스트를 활용해 원료배합특성 및 소성조건에 따른 CCA 특수시멘트 제조특성을 조사하였다. 소성조건에 따른 CCA 특수시멘트 제조특성결과, 소성온도 1200℃에서 CCA 광물상(C12A7·CaCl2) 합성량이 최대치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성온도 1300℃에서는 CCA 광물상 합성량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염소성분 휘발에 의한 현상으로 보여지며, CCA 광물상 합성에 기여했던 CaO-Al2O3 화합물은 SO3와 결합하여 yeelimite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소성유지시간에 따른 CCA 특수시멘트 제조특성 결과, 대체로 소성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CCA 합성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소성시간 30 min 이상에서는 클링커의 용융현상이 확인되며, 클링커링 공정을 위해서는 소성시간 20 min 이내가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로 미루어볼 때 CCA 특수시멘트 제조를 위한 최적 소성조건은 승온속도 10℃/mim, 소성온도 1200℃, 유지시간 20 min으로 판단되며, 고염소 함유 시멘트 킬른 더스트를 활용한 CCA 특수시멘트 제조가 용이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공기질 관리에 관한 환경 비용편익 연구[동해항만 주변 미세먼지오염을 기준] (Evaluation of Environmental Benefit and Cost for Management of Air Quality - [Based on Fine Dust Pollution on Donghae Harbor])

  • 김은주;이춘길;김지현;박영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61-569
    • /
    • 2012
  • 본 연구는 강원도 소재 동해항만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환경비용편익을 산출하는 것이다. 항구 인근에 부유하는 미세먼지의 농도는 매우 높은 편이며, 지점에 따라 국가 기준인 $100{\mu}g/m^3$ 이상으로 관측되는 곳도 있다. 시험대상 항구는 주로 석회석과 석탄을 취급함으로써 미세입자상 물질이 하역시 다량 발생한다. 연구결과 PM10을 기준으로 년간 12톤의 미세먼지가 하역작업 시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덧붙여서 원료물질을 비롯한 다양한 화물을 운송하는 대형차량 및 중장비는 디젤 검댕이를 발생하고, 도로먼지의 비산을 유발한다. 지방정부는 해마다 20억원 이상의 비용을 투자하여 대기중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있다. 편익대비 비용을 산출한 결과 그 효과는 최소 240%에서 최대 720%까지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회석광산에서 노천채굴에 따른 광해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 (Measures to Reduce Mine Hazards Caused by Open- cut Mining of Limestone Mines)

  • 원연호;안진만
    • 화약ㆍ발파
    • /
    • 제24권2호
    • /
    • pp.75-82
    • /
    • 2006
  • 우리나라 석회석 광산 대부분은 광상의 부존조건, 채광실수율, 안전조업,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노천채굴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광산개발 과정에 따른 진입로 확보, 발파 및 장비굴착, 암석의 파쇄 및 분쇄, 운반, 선광 등으로 인한 먼지의 날림, 소음, 진동, 폐석사면 붕괴에 의한 농경지 훼손 등의 광해를 발생시켜 환경적인 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석회석 노천채굴 작업에 따른 주변의 환경피해 최소화와 광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현장 시공과정에서 체험하였던 광해저감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채움재로서 제강더스트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Properties of Electric Arc Furnace Dust for Minearal Filler of Asphalt Concrete)

  • 김주원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61-168
    • /
    • 1993
  • 본 연구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채움재로서 제강더스트의 사용가능성을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에는 제강더스트의 기본물성시험과 혼합물의 비교시험을 포함시켰다. 비교시험에서는 채움재로서 석회석분을 사용하는 경우와 제강더스트를 사용하는 경우, 채움재와 아스팔트를 혼합한 필리-비투먼, 그리고 골재까지 혼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대하여 물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제강더스트는 포장용 채움재의 규정을 만족시키며, 제강더스트를 채움재로 사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보다 우수하며, 제강더스트는 아스팔트 혼합물용 채움재로써 충분히 사용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