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mestone, soil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7초

석회암지대 산림식생의 유형과 환경특성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Type and Environmental Properties in Limestone Area of Korea)

  • 윤충원;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2호
    • /
    • pp.1-8
    • /
    • 2009
  • 우리나라 석회암지대는 한반도에서 그다지 넓지 않은 좁은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고, 독특한 생태계 지역이므로 석회암지대 산림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산림식생의 유형분류, 산림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환경요인과 식생유형의 상관관계 등을 구명한 결과, 식생은 굴참나무군락군과 신갈나무군락군의 2개 군락군으로 크게 분류되었고, 기타 하위식생단는 4개 군락, 6개 군, 2개 소군으로 세분되어 총 8개의 식생단위로 나타났다. 석회암지대 조사지의 토성은 미사질양토로 나타났고, A층의 토양산도는 7.55로 나타났으며, 치환성 양이온인 칼슘($Ca^{2+}$)과 마그네슘($Mg^{2+}$) 함량은 각각 평균 $26.04cmol_{c}/kg$$2.93cmol_{c}/kg$으로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굴참나무군락군은 pH가 높고, 사면경사가 급하고, 노암율이 높으며, Ca 이온의 농도가 높은 입지에 주로 분포하는 경향이었고, 신갈나무군락군은 표고가 높은 입지에 분포하는 경향이었다.

점말동굴 지역의 지형과 지질 (A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Study on Jeomal Cave)

  • 김주환
    • 동굴
    • /
    • 제67호
    • /
    • pp.21-34
    • /
    • 2005
  • 점말동굴은 대부분이 퇴적기원인 석회 암 동굴이다. 토양은 산악지 역, 구릉지, 산록지 등에 다양한 종류의 토양이 분포한다. 동굴의 기본 골격은 주변을 통과하는 단층곡의 일부에 형성되었다. 동굴내의 소규모 수로는 절리의 방향이나 규모에 의해 유도된다. 동굴의 형태와 미지형은 그 지역의 지질구조 및 지하수의 유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동굴내의 점토는 지표로부터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동굴의 성인은 구조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石灰岩 地域 굴참나무群集의 構造와 土壤의 物理, 化學的 性質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Chinese Cork Oak ( Quercus variabilis ) Forests in Limestone Area)

  • Kim, Joon-Ho;Hyeong-Tae Mun;Young-Se Kwa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2호
    • /
    • pp.159-169
    • /
    • 1991
  • Floristic cmposition and soil properties were analyzed in chines cork oak(quercus variabilis)cmmunities in the limestone area, tanyang, ch'ungbuk province in korea. The tree layer was composed of quercus dentata, platycarya strobilacea, fraxinus rhynchophylla and others as wel as quercus variabilis. the shrub layer was dominated by ulmus davidiana for. suberosa,shrubby q. variabilis. euonymus alatus and rhus chinensis. among these, u. davidiana for. suberosa was known to have a restricted distribution to calcareous area, and 9 species in the shrub layer including e. alatus, indigofera kirilowii and rhamnus davurica belonged to the calcicole. The herb layer was dominated by carex lanceolata and spodiopogen cotulifer. ten specirs including g. lanceolata, clematis mandshurica, isachne globosa, lithospermum arvense and scabiosa mansenensis belonged to the calcicode. soil texture was classified to clay loam in both top and subsoil. Water cotent and organic matter were consistentl higher in top soil than in subsoil. soil ph rangd 7.8~8.4. Total n concentration in top soil ranged from 0.2 to 0.4mg/g, which was higher than that in subsoil. Available p and exchangeable k concentretion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op soil than in subsoil. However, exchangeable ca concentration was similar betweenthe top and the subsoil. Unlike the other nutrients, exchangeable mg concentration in top soil was lower than that in subsoil. orangic matter, n, p and k content in this chinese cork oak stand showed as much as the other noncalcareous sites. Soil properties in this study area seem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casts forming activities of earthworms.

  • PDF

석회암(石灰岩) 토양(土壤)의 지형적(地形的) 특성(特性)과 생성(生成) 및 분류(分類) -II. 강원도(江原道) 영월지역(靈越地域) 석회암(石灰岩) 토양(土壤)의 점토광물특성(粘土鑛物特性)과 생성(生成) 및 분류(分類) (Topographic Characteristics, Formation and Classification of Soils Developed in Limestone -II. Clay Mineralogical Properties, Formation and Classification of Limestone Soils from Yeongweal Area of Gangweon-Do)

  • 정석재;김태순;김영호;문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
    • /
    • 1990
  • 강원도(江原道) 영월군(寧越郡) 영월읍(寧越邑) 방절리일원(芳節里一圓)에 분포(分布)하는 석회암토양중(石灰巖土壤中) 잔적토(殘積土)인 평창통(平昌統) 산록경사지(山麓傾斜地)의 안미통(安美統), 단구지(段丘地)의 율곡통(栗谷統) 및 곡간저지(谷間低地)의 문경통(聞慶統)에 대(對)하여 지형(地形) 및 토지이용(土地利用)에 따라 변화(變化)하는 토양(土壤)의 점토광물(粘土鑛物)과 생성(生成) 분류(分類)을 밝혀 토양개량(土壤改良)의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코자 조사연구(調査硏究)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강원도(江原道) 영월지역(寧越地域) 석회암토양(石灰巖土壤)의 주요(主要) 점토광물(粘土鑛物)은 Kaolinite 및 Al-interlayered vermiculite 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Vermiculite, Illite 및 Chlorite도 분포되었다. 2.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은 표토(表土)가 10.5~22.9 me/100 g이고, 심토(心土)는 10.0~23.8 me/100 g로서 지형(地形)이 낮아질수록 적어지는 경향(傾向)이었으며, 점토함량(粘土含量)과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은 고도(高度)의 정상관(正相關)이 있었다. 3. 토심(土深)에 따른 암석학적(岩石學的) 연속성(連續性)을 보면 평창통(平昌統)은 완변(緩變), 안미통(安美統)은 불연속성(不連續性) 율곡통(栗谷統)은 혼성(混性) 그리고 문경통(聞慶統)은 균일성(均一性)을 나타내었다. 4. 형태학적인 토양 분류방법(分類方法)(Soil taxonomy)에 의(依)하면 평창통(平昌統) Typic hapludalfs, 안미통(安美統)은 Fluventic eutrochrepts, 율곡통(栗谷統)은 Fluventic eutrochrepts 이며, 문경통(聞慶統)은 Aeric haplaquepts로 분류(分類)되었다.

  • PDF

고로폐광산 침출수 처리대책 설계 (Remediation Design of Acid Rock Drainage (ARD) from Goro Abandoned Mine)

  • 최정찬;이민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2호
    • /
    • pp.1-10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석회석 및 인회석을 이용한 실내실험을 실시하여 ARD 내의 비소저감 효율성을 평가하고 인회석 배수 체계를 설계하는 것이다. 실내실험 결과, pH, 비소저감율 및 석회석/인회석의 용해량은 유속에 반비례 하였으며 인회석은 유속 0.6 ml/min/kg에서 비소를 100% 제거하였다. 인회석의 용해율은 석회석보다 10배 정도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비소화합물은 비산염인회석 그리고/또는 칼슘비산염수화물의 형태인 것으로 추측된다. 실내실험에 근거하여 인회석 배수체계를 설계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년 6개월 마다 인회석 62톤을 새로 충진시켜줘야 하며 침전물은 매 3개월 마다 침전조에서 제거해줘야 할 것이다.

콘크리트 재생 골재를 이용한 산성광산배수 중화처리

  • 김종범;오재일;정시열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71-74
    • /
    • 2001
  • AMB(Acid Mine Drainage), characterized as high concentration of metal & sulfate ions and low pH(2.0~4.0), is the world-wide problem wherever there is or has been mining activities. Though limestone has been generally used to neutralize AMD, There are metal hydroxide precipitation on the surface of limestone and excessive alkalinity formation which exceeds the regulation. In this research, concrete-recycled fine aggregate is selected for alternative neutralizing agent. Because fine recycled aggregate had more ANP than others in the preliminary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pply fine aggregate for AMD neutralization. Three columns packed with fine aggregates(2.5mm$O_3$) of it is calculated as 0.09(C-1), approximated 10% purity of limestone. Comparing with values of other columns(C-2: 0.01 and C-3: 0.01), there is variation of porosity and residence time induced from the precipitation of metal hydroxide. Consequently, 8 hours of HRT is enough to create adequate alkalinity and the function which could expect the variation of porosity(n) and residence time( $t_{R}$) should be applied to develop design function.lied to develop design function.

  • PDF

무안 교촌리주거지역 지반침하 안정성 분석 (Analysis of Ground Subsidence on Gyochon Residential Region of Muan City)

  • 한공창;천대성;류동우;박삼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7권1호
    • /
    • pp.66-74
    • /
    • 2007
  • 석회암 용식지역 상부에 위치한 주거지역에 대하여 지반침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석회암지역에 분포한 공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 전자탐사를 실시하였으며 지반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추조사를 포함한 지반공학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공동의 형상과 지하수 조건에 대하여 지반침하 분석 및 예측을 위한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지반침하를 일으키는 주요인은 지하수위의 하강으로 예측되었는데 이는 표토 하부의 지하수위가 감소함으로써 지반의 역학적 평형상태가 교란되고 공동이나 지표면의 침하가 발생해 표토 토양층이 유실되기 때문이다. 석회암 용식지역에서의 지반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천부 공동 상부의 지하수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보인다.

석회암층의 터널관통사례 (perforation of tunnel in limestone formation)

  • 김용일;황낙연;정두석;홍종상;이내용
    • 한국암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암반공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4-80
    • /
    • 2007
  • 본 논문은 영동선 동백산역에서 도계역 사이를 연결하는 국내 최장터널(16.2km)인 솔안터널의 굴착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본 현장은 퇴적암지대로서 단층,공동 및 함탄층으로 구성된 복잡한 지질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지질구조 중 석회암 지대에서 터널 굴착시 예기치 못한 유수에 의해 지반공학적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터널은 석회암층 내 공동 및 단층의 영향으로 지하수위의 저하 및 토사유실이 발생하여 지표침하를 가져왔다. 이에 따른 정밀조사를 통한 원인 분석과 대책을 소개하고, 석회암의 특성을 반영한 침하 재발방지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삼림토양내(森林土壤內)의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이 토양입단화(土壤粒團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Influence of organic Matter on Soil Aggregation in Forest Soils)

  • 박관수;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4호
    • /
    • pp.367-375
    • /
    • 1990
  • 모암(母岩), 유기물(有機物), calcium 및 Iron oxide가 토양입단화(土壤粒團化)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석탄암(石炭岩), 화강암(花岡岩),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을 모암(母岩)으로 하는 지역(地域)을 조사지(調査地)로 설정(設定)하고 조사지별(調査地別)로 삼림식생상태(森休植生狀態)에 따라 토양내(土壤內) 유기물(有機物), Calcium 및 Iron oxide의 함량(含量)차이가 입단안정도(粒團安定度)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分析) 평가(平價)하였다. 입단화도(粒團化度)와 관련된 요인(要因)들과 그 특성(特性) 및 침식(浸蝕)에 대한 안정성(安定性)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입단직경(粒團直徑)을 분석(分析), 평가(平價)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모암(母岩)이 입단화(粒團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보면 석탄암토양(石炭岩土壤)의 입단화도(粒團化度)가 21%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화강암토양(花崗岩土壤)으로 19.8%, 화강편마암토양(花崗片麻岩土壤)이 9.9%로 가장 낮았다. 입단화도(粒團化度)에 가장 큰 영향(影響)을 미치는 요인(要因)은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으로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입단화도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는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냈으며, 그 관계는 Y=4.31X-4.37 (Y : 입단화도(粒團化度), X :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과 같았다. 임상별(林相別) 입단화도(粒團化度)는 관엽수림지역(關葉樹林地域)의 토양이 침엽수림지역(針葉樹林地域)의 것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에 기인(基因)하는 것으로 인정(認定)되며 모암별(母岩別) 입단직경급(粒團直徑級)의 분포(分布)는 석탄암토양(石炭岩土壤)에서는 큰 직경급(直徑級) (0.5mm 이상) 입단(粒團)의 비율(比率)이 높은 반면 화강편마암토양(花崗片麻岩土壤)에서는 작은 직경급(直徑級) (0.25mm) 입단(粒團)의 비율(比率)이 높았고 화강암토양(花崗岩土壤)에서는 0.5mm직경급입단(直徑級粒團)을 중심으로 정규분포(正規分布)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토양(土壤)중 Ca과 Fe의 함량(含量)이 입단화도(粒團化度) 미치는 영향(影響)은 부분적(部分的)으로만 인정(認定)되고 있으나 석탄암지역(石炭岩地域)에서는 Ca의 영향(影響)이 유기물(有機物)과 함께 입단화(粒團化)에 크게 기여(奇與)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석회암과 화강편마암 지역의 초지에서 영양단계별 칼슘 전이 (Transfer of Calcium along Trophic Levels on Limestone and Granitic Gneiss Grassland)

  • 이훈복;남상호;김준호
    • 환경생물
    • /
    • 제25권3호
    • /
    • pp.228-238
    • /
    • 2007
  • Calcium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organisms' physiology, reproduction, and growth. Calcium amount and transfer efficiency along trophic levels were compared at two different geological areas, Limestone area (LS) and Granitic Gneiss area (GG) in 1992 and 1993. Biomass and calcium amount of plants, herbivores and carnivores were seasonally measured. The removal sweeping net method was used to collect the quantitative insect samples. Calcium content (mgCa $g^{-1}$ DM) and pH of soil were 4.85 and 7.3 at LS and 0.21 and 7.3 at GG. The calcium transfer efficiencies (%) at LS and CG were 0.2 and 4.2 from soil to plants, 0.002 and 0.02 from plants to herbivores, and 73 and 47 from herbivores to carnivores, respectively. As a whole, the high calcium content of the LS soil reduced the utilization of calcium by plants. The higher trophical levels were, the higher ecological efficiency of the biological levels was. The calcium transfer amount was higher at LS, but its efficiency was rather higher at G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