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elong education

검색결과 594건 처리시간 0.036초

「대학­교육대학원 직업특수교육과」와 「전공과」간 융합교육과정에 기반한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화 조건 (A Study on the Qualification of Professional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Convergence Curriculum between the 「Department of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in University-Educated Graduate School」 and the 「Department of Majors」)

  • 김영준;강경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15-125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교육대학원 직업특수교육과"와 "전공과" 간의 융합교육과정에 기반하여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의 자격화 조건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문헌 분석과 전문가 회의를 병행한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내용은 현행의 "대학-교육대학원 직업특수교육과"에서 편성 운영하고 있는 교육과정을 이수하여 직업특수교사의 자격을 취득한 대상이 성인기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으로 재구조화 가능한 전공과에서 교직 경력을 축적한 이후 융합교육과정으로 구축된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에 대한 양성과정에 접근하여 자격을 취득하는 절차적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대학-교육대학원 직업특수교육과"의 교육과정적 기반이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인력의 양성과 융합되기 위하여 개선되어야 할 중점 사항 역시 연구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직업특수교육과 장애인 평생교육 간의 기능적 관계를 정립하는 것으로 결론을 고찰하였다.

평생학습적 시각을 통해 바라본 SSI 교육과 과학적 소양 (SSI Education and Scientific Literacy from a Lifelong Learning Perspective)

  • 박신희;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1-75
    • /
    • 2022
  • 최근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인 과학적 소양으로 새롭게 평생학습능력이 제시되었다. 학생들이 삶 속에서 접하는 다양한 과학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 과학교육을 넘어선 과학과 관련한 평생학습능력이 필요하지만, 기존의 과학교육 연구에서 학생들이 실제로 삶 속에서 맞닥뜨리는 문제를 과학적 소양을 통해 해결할 수 있었다는 경험적 증거는 찾기 어렵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평생학습능력을 학교 과학교육을 통해 어떻게 함양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도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학교 과학교육을 통해 평생학습능력을 함양하고 삶 속에서 접하는 과학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 SSI 교육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SSI 교육연구 속 진술을 검토하여 평생학습 관련 담론을 발견하고 그 유형과 특성을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교육 연구에서 주목하는 평생학습과 그것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를 위해 SSI 교육을 주제로 한 문헌 자료 18개를 선정하였으며, 자료에 드러난 진술을 검토하여 SSI 교육 연구에 내포된 평생학습 관련 담론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 범주화된 평생학습 관련 담론은 4가지이며 '과학에 대한 인식', '과학과 일상의 연결', '참여적 시민성의 촉진', '정체성의 구성'이다. 다양한 SSI 교육 연구들은 이미 여러 맥락에서 평생학습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평생학습 관련 담론의 4가지 유형은 UNESCO 평생학습 보고서에서 제시한 4가지 학습과 연결할 수 있었다. SSI 교육은 학생들의 삶의 경험을 학습의 일부로 바라보며, 학생들이 과학과 관련한 사회적 쟁점에 대해 책임감 있는 의사 결정을 내리고 실제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인성과 역량을 갖추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역량은 평생학습능력으로서 학교 밖 학생들의 실제 삶과 지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과학교육에서 평생학습과 관련한 담론의 확장과 학생들의 평생학습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 시스템 전반에 걸친 운영과 관리가 요구된다.

직업능력향상과 교육·훈련사업의 연계 가능성 탐색 - 평생교육분야와 지역고용사업을 중심으로- (An attempt to the possible link between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and educational·training projects - Based on lifelong education and regional employment -)

  • 여상운;천단;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407-416
    • /
    • 2018
  • 이 연구는 직업능력향상을 위한 평생교육과 지역의 교육훈련사업의 연계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평생교육기관의 직업능력향상 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평생교육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생교육 영역과 거기에서의 직업능력향상의 위상을 살펴보고, 실제 전국의 프로그램과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 수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지역의 교육훈련 사업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교육·훈련사업의 의의와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교육·훈련사업의 프로그램 수와 학습자 수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들을 살펴보면서 직업능력향상과 교육·훈련사업의 연계 가능성을 다섯 가지로 모색하였다. 그 다섯 가지는 비경제 활동 인구에 대한 고용관련 평생학습, 소외계층에 대한 평생교육과 연계의 강화, 재직자 중심의 평생교육 직업능력의 강화, 지역 내 평생교육기구와 대학을 활용한 직업능력 강화, 그리고 지역 일자리 수요와 공급자를 매개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강화로 나타났다.

평생교육에 대한 참여동기와 관여가 평생교육 학습자의 만족, 지속수강의도, 권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that Participating Motives and Involvement about Lifelong Education have on the Learners' Satisfaction, Continuous Intention to Take Courses,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김철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575-58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에 대한 참여 동기와 관여가 평생교육 학습자의 만족, 지속 수강 의도, 그리고 권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평생교육 참여 동기는 실용적, 오락적, 관계적, 목표지향적 참여 동기로 구분하고, 평생교육에 대한 관여는 상황적 관여와 지속적 관여로 구분하였다. 정량적 연구 결과, 실용적 참여 동기와 오락적 참여 동기는 평생교육에 대한 상황적 관여와, 목표지향적 참여 동기와 관계적 참여 동기는 평생교육에 대한 지속적 관여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교수 방법에 대한 만족에는 실용적 동기가, 시설 편리성에 대한 만족에는 오락적 동기가, 소통에 대한 만족에는 관계적 동기가, 콘텐츠 품질에 대한 만족에는 목표지향적 동기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에 대한 상황적 관여는 콘텐츠 품질에 대한 만족에, 지속적 관여는 교수 방법에 대한 만족에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지속 수강 의도에는 콘텐츠 품질에 대한 만족이, 평생교육 권유의도에는 시설편리에 대한 만족이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콘텐츠를 활용한 가정 내 온라인 평생교육이 발달장애인의 조리직무기술 습득 및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Online Lifelong Education at Home Using Contents of Lifelong Education Center Attached to the University on the Acquisition and Generalization of Cooking Task Skills of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ly Disabilities)

  • 김영준;권량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37-150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콘텐츠를 활용한 가정 내 온라인 평생교육이 발달장애인들의 조리직무기술 습득 및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학교 졸업 후 미취업의 상태로 가정 내에서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발달장애인 세 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구 설계 및 방법은 단일대상연구 중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의 기법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으로 참여한 세 명의 발달장애인은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콘텐츠를 활용한 가정 내 온라인 평생교육을 통하여 조리직무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하였으며, 가정이 아닌 실제 식당환경에서 역시 조리직무기술의 수행을 일반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소득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Inco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es of the Elderly in Lifelong Education and the Career Barriers)

  • 장경미;조아랑;현영섭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679-698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영향에 대한 소득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확인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노인의 소득이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소득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D시에서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 18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위해 주요변수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는 진로장벽에 부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했다. 평생교육에 참여하거나 참여한 노인은 능력을 발전시키고, 인정받음으로써 진로장벽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의 소득은 진로장벽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득이 많을수록 진로장벽의 부적 관계가 강화됨을 확인했다. 셋째,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소득은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dult learners in the Lifelong Learning happiness)

  • 김미영;강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38-146
    • /
    • 2016
  • 이 연구는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 특성과 평생학습 행복지수의 관계에서 성인교육자 특성, 학습참여동기 및 교육기관 특성의 매개 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학습자의 성별, 학력별, 연령대별, 거주지별, 평생학습 참여경험, 직업, 참여하고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평생학습 행복지수의 차이는 없으며, 둘째, 성인학습자 특성이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셋째. 성인학습자 특성은 성인교육자 특성, 학습참여동기 및 교육기관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넷째, 성인교육자 특성은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학습참여 동기와 교육기관 특성은 각각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다섯째, 성인교육자 특성은 성인학습자 특성과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매개 역할을 하지 않으나 학습참여동기와 교육기관 특성은 성인학습자 특성과 평생학습 행복지수에 대해 각각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평생학습 경험을 통해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하여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와 성인교육자가 성인학습자 특성 이해의 향상과 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질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성인학습자를 위한 CAD와 3D프린팅 전문인력 양성방안 (A Training Scheme of CAD and 3D Printing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for Adult Learners)

  • 최철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807-812
    • /
    • 2015
  • 평생교육은 시대적 키워드이다. 성인학습자를 위한 친화형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전문적인 학사관리를 대학이 제공해야한다. 이를 통해 대학은 성인학습자에게 생애 단계별 평생학습을 지원하고 평생교육대학의 교육편제를 유지하면서 계속학습의 편의를 마련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는 평생학습도시 여건을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한다. 본 논문은 K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의 산업체환경을 고려하여 평생학습자에게 비학위 재교육 과정으로 3D 프린팅과 CAD 전문인력 양성과정개설을 위한 정책적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K샌드아트 평생학습 전문강사 동아리에 나타난 교육적 효과 탐색 (Explor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K-Sand Art's Lifelong Learning Specialized Instructor Club)

  • 김영옥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09-419
    • /
    • 2020
  • 이 연구는 평생교육 분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샌드아트 기법의 학습자 흥미 유발 요인과 교육적 효과를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K샌드아트 평생학습 전문강사 동아리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첫째, 학습자의 흥미 유발 효과를 높이는 요인은 샌드아트 기법을 모래 놀이로 인식, 이야기와 음율, 샌드박스에 그리며 표현해보는 활동, 학습자의 관심 주제를 표현하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 평생교육 분야에서 샌드아트 기법은 교육적으로 심리치료, 집중력 향상, 자신감 향상, 표현력과 창의력 개발, 오감 발달에 효과가 있다. 셋째, 평생교육 분야에서 샌드아트 기법은 전 세대에게 적용되고 있으며, 평생교육 6진 분류 중 시민참여교육, 기초문해교육, 문화예술교육에 샌드아트 기법을 활용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넷째, 향후 과제로는 샌드아트 전문가 양성 지원, 샌드아트 재료 및 장비 지원, 다양한 대상을 찾아가는 샌드아트 프로그램을 확산해야 할 것이다.

농촌지역 평생교육 참여자의 특성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의 지역 간 차이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Lifelong Education in Rural Areas -Focused on Regional Differences in Large Cities,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

  • 김정태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6권1호
    • /
    • pp.1-1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tendency of rural residents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The analysis data were analyzed using a polynomial model for 3,685 people using raw materials from a lifetime education survey. According to the analysis, participants in rural residents prefer small study groups. They were also approached on a practical level, such as life-help or self-realization. And the participating education programs were highly involved in vocational non-formal education. Based on the workings of personal backgrounds,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lower income and lower educational backgrounds is more active than in urban areas. In additio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lifelong education was shown in the order of big cities, small cities, rural are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lifelong education are not suitable as a means to maintain rural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