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veling

검색결과 572건 처리시간 0.031초

해양구조물의 모듈조립공정을 위한 생산계획법 (A Production Planning System for Assembly Process of Offshore Structure Modules)

  • 김정제;박소흠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173-190
    • /
    • 1992
  • 해양구조물(Offshore Platform)은 우리나라 조선소에서도 1976년이후 꾸준히 시공되어져 왔으나, 이미 체계화되어 있는 선박 건조와는 달리 이 분야에 대한 정보와 연구가 적어,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원계획과 일정계획 등 생산계획 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구조물 건조과정중 모듈조립에 대한 효율적인 생산계획법을 제안하였다. 모듈은 해양구조물의 상부구조에 속하며 바다에서 설치할 때 해상 크레인의 용량제한 때문에 상부구조를 몇 개로 나눈 것이며, 성냥갑 모양이다. 모듈조립에는 구조, 의장, 도장 등 여러 직종의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 져야 하고, 작업들이 상호연계되어 있어서 이 들 직종간의 간섭이 있고 한 직종의 작업지연으로 다른 직종의 작업지연을 유발시켜 공정의 흐름이 정체되어 전체공기가 지연되는 사례가 허다하다. 결국 초기의 부적합한 인원투입으로 공사의 말기에 잔업, 철야, 외주 등 집중 인원투입으로 출혈 공기만회에 임하게 된다. 이런 현상은 원천적으로 초기 생산계획시 호환성이 없는 여러 직종의 인원을 동일한 작업자로 간주하고 계획수립을 하는데 기인한다. 모듈조립 공사에 대하여 소요 인력(Manpower)에 대한 표준모델을 설정하여, 직종별 자원분배의 평준화로 최적의 인력을 투입할 수 있는 생산계획법을 제안하고, 일정 기간에 24개의 프로젝트 즉, 72개의 모듈을 처리하는 실제의 예에 대한 생산계획 시스템을 전산화하여 시험함으로써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시험결과 한 프로젝트에 대한 1)공기면에서 18개월에서 16개월로 2개월(11%) 단축, 2)투입인원면에서 총투입 300명에서 208명으로 92명(31%)절감 등을 예상할 수 있었다.

  • PDF

항공라이다의 하천측량 적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iver Surveying by Airborne LiDAR)

  • 최병길;나영우;추기환;이정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5-32
    • /
    • 2014
  • 하천의 체계적 관리와 계획을 위해서는 정확도 높은 측량자료가 요구되며, 이를 통해 재해예방과 환경보호, 주요 인프라인 댐이나 보 같은 하천의 관리가 가능해 진다. 본 연구는 재난관리, 건설산업의 지원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는 하천측량을 현재의 토털스테이션을 이용한 측량 방법과 최근 들어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항공라이다측량 방법을 이용하여 동일지역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성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실험 대상지로는 강원도 북한강 상류지역을 선정 하였다. 선정된 실험 지역을 대상으로 총 2개의 횡단면도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횡단면도를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적인 육지부에서는 두 자료간 수준고의 평균제곱근 오차가 0.017m로 그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수직위치만 변하는 특이점이나 수심부에서는 항공라이다측량이 해당 지점의 수준고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향후 지속적인 연구와 실험으로 항공라이다측량을 이용한 세부 시설물의 정확한 측정 방안이나 수심부를 투과하여 하천 바닥면을 육지부와 동일한 오차범위 내로 측정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실용화 단계가 될 시점에서는 대규모 지역이나 사람의 접근이 불능한 지역에 대하여 하천뿐만 아니라 각종 엔지니어링 사업분야에서도 계획 및 설계 등 의사결정 수단으로 다양한 활용이 기대된다.

정량적 소프트웨어 능력성숙도모델 도입전략 및 사례 (Quantitatively Managed Leveling for 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Implementation)

  • 김한영;이우기;이정훈;이철기
    • 정보화연구
    • /
    • 제10권3호
    • /
    • pp.335-346
    • /
    • 2013
  • 정보산업의 발전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한 업무 처리가 가능한 소프트웨어의 필요성이 비약적으로 증가 되었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사용자들은 복잡한 처리도 가능하면서 더욱 안정적이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프로그램 개발 기업을 선호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소프트웨어 개발 조직의 능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연구로 이어졌고, 미국 국방부의 지원으로 능력성숙모델평가기준(CMMI)이 개발 되었다.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이 CMMI 상위 단계 인증을 받을 경우 해당 기업의 개발 프로세스와 유지보수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높은 단계의 인증을 받는 것은 의미있는 일로 평가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한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의 사례를 통해 정량적 우수단계인 4단계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이 개발 및 보수의 성숙된 프로세스를 확보하기 위한 기존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의 실제 사례분석을 통해 의미있는 요소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특히 국내외 소프트웨어 판매 시 프로그램신뢰 부족 및 유지보수에 대한 안전장치 부족으로 인식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사례분석을 통해 이러한 문제의 단초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NAND 플래시 메모리 기반 B+ 트리에서 페이지 매핑 로그를 이용한 색인 관리 기법 (Index Management Method using Page Mapping Log in B+-Tree based on NAND Flash Memory)

  • 김선환;곽종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12
    • /
    • 2015
  •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저전력, 빠른 접근 속도, 저렴한 가격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저장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제자리 덮어쓰기가 지원되지 않아 기존의 하드 디스크 기반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FTL(Flash Translation Layer)이 필요하다. FTL은 주소 매핑, 가비지 컬렉션, 마모도 균등화 작업 등을 포함하고 있어 저사양 임베디드 장치에 구현하기에는 메모리와 연산에 대한 비용이 많이 든다. 그래서 이런 장치들을 위해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최적화된 색인 자료구조들이 연구되고 있다. 연구된 방법들은 쓰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성능을 향상시켰지만 레코드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레코드 탐색시간을 증가시키지 않고 쓰기 횟수를 줄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페이지 매핑 로그 테이블을 이용한 색인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단점인 제자리 덮어쓰기 불가로 인해 발생하는 페이지 쓰기 횟수를 줄이기 위해 매핑 로그 테이블은 B+ 트리에서 변경된 노드 페이지 주소를 저장하고 레코드 검색 시 이를 이용한다. 실험 평가를 통해 제안된 기법은 다른 기법들과 비교 시 레코드 탐색에서 발생하는 페이지 읽기 횟수를 최대 약 61% 줄였으며, 레코드 삽입에서 페이지 쓰기 횟수를 최대 약 31% 줄일 수 있었다.

단층 코어넷 다단입력 인공신경망회로의 처리용량과 사전 무게값 계산에 관한 연구 (The Capacity of Multi-Valued Single Layer CoreNet(Neural Network) and Precalculation of its Weight Values)

  • 박종준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54-362
    • /
    • 2011
  • 인공신경망회로에서 아직도 안 풀리는 문제 중 하나는 회로의 처리용량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은 인공신경망회로의 가장 기본이 되는 하나의 입력과 하나의 출력을 갖은 단층 다단 코어넷을 제안하고 그 처리 용량에 관한 수식을 유도하였다. 제안된 코어넷의 처리 용량으로 p단 입력과 q단 출력을 갖는 코어넷의 처리용량(구현 가능한 함수의 수)은 $a_{p,q}=\frac{1}{2}p(p-1)q^2-\frac{1}{2}(p-2)(3p-1)q+(p-1)(p-2)$ 이며, 입력단 p 값이 짝수이고, 출력단 q가 홀수값이면 추가로 (p-1)(p-2)(q-2)/2 만큼 감해진다. 입력 값으로 3단(level), 출력 값으로 6단을 갖는 1(3)-1(6) 모델을 시뮬레이션하여 분석한 결과, 총 216가지의 함수 조합에서 입력 레벨링 방법으로 cot(x)를 이용하여 82가지의 함수가 구현가능 함을 보였다. 이 모델의 시뮬레이션 결과 80개의 함수가 수렴(구현 가능)하였고, 나머지 수렴되지 않은 함수 중에서 2개의 함수는 무게값 공간에서 무게값 좌표를 미리 계산하여 구현 가능함으로 나와, 총 82개의 구현 가능한 함수가 있음을 보였으며, 이는 위 코어넷 처리용량에 의한 계산 값과 일치하였다.

열수변질 함황철석 안산암 기원의 잠재성 특이산성토 물질 (Volcanic Origin Potential Acid Sulfate Soil Material : Hydrothermally Altered Pyrite Rich Andesite)

  • 김재곤;전철민;윤을수;장용선;정필균;정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11-317
    • /
    • 2000
  • 특이산성토와 잠재성 특이산성토 물질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산성으로 인하여 농업과 환경에서 문제시되어왔다. 대부분이 퇴적기원이며 소수의 경우에 화산기원으로 보고되어왔다. 산성은 잠재성 특이산성토 물질에 함유된 유황광물의 산화과정에서 생성된 황산에 기인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보고가 된바 없는 중생대 화산활동에 의하여 생성된 잠재성 특이 산성토 물질을 보고하고저 한다. 봉산통-황철석을 함유하지 않은 안산암질 모재층-황철석을 다량 함유한 안산암의 단면을 야외조사와 화학적 및 광물학적 분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한때 택지조성과정에 황철석을 함유한 안산암이 지표에 노출되어 황철석의 산화에의한 토양과 지표수의 산성화문제가 제기된 적도 있다. 봉산통과 모재에서는 황철석과 특이산성토의 생성과정에서 나타나는 노란색 반문과 같은 특징들이 나타나지 않았다. 열수변질에 의하여 생성된 안산에 존재하는 황철석이 화산활동에 의한 열수변질 기원임을 지시해주는 육각형 또는 주사위형의 모양과 암석의 갈라진 틈을 따라 산출되는 양상 등을 보여주었다.

  • PDF

한강의 오염도 (Han River Pollution Studies)

  • 최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4-45
    • /
    • 1972
  • The Han River is an important water source in Seoul and neighbouring districts, for public and industrial supply, and for agriculture and fishery. Nowadays, more than six million inhabitants are supplied withe water from this river. The total length of the river is 470km, and has 17 10$\^$9/㎥ an average annual flow. The hydrographic characteristics at Seoul are 653㎥/sec in an average flow, 4,608㎥/sec in the maximum average flow, and 201㎥/sec in the minimum average flow. These are influenced in some degree by snowmelt in early spring, and greatly by the flood during summer. For the pollution problems, the periods of low flow are critical ones. As a rule they occur around the months November through June. Nowadays, most of the sewage from towns and industries is discharged untreated. Apart from domestic and industrial sewages, there are some discharges of mineral matter by mines in the upriver region. In general, water quality of the Han River is kept very clean and healthy until Kwangnaru of the upper region of Seoul. A large pollution, however, is received in the downstream by the domestic and industrial sewages of Seoul. It can be seen that dissolved oxygen, COD and BOD$\sub$5/ diminish markedly, and the intensity of almost every water parameter of the river continues to increase. Comparison of the figures for 1971 derived from a sampling point 40km downstream of Kwangnaru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hardness, Ca and Mg were no changed; alkalinity, Si and soluble- Fe were slightly increased; CO$\sub$2/, acidity, Cl, NO$\sub$2/-N, Cu, Zn and Al were increased in 2 and 3 times; total residue, total ignitious residue, COD, BOD$\sub$5/, NH$\sub$4/-N, PO$\sub$4/-P, Mn, Pb and total-Fe were increased in 4 to 7 times; and SO$\sub$4/, particulate-Fe and Cd were increased in 10 to 11 times. On the other hand, coliforms were increased in 650 times; fecal coliforms in 365 times; enterococci and total plate counts in 30 times, respectively. In view points of water quality standards, the down Han River water is now leveling out in Cd, coliforms and fecal coliforms for the agricultural use; in dissolved oxygen and some trace elements (Cu, Zn, Pb and Cd) for the fishery use; in ammonia, COD, BOD$\sub$5/, and Cd for the drinking use.

  • PDF

FlaSim: 리눅스 커널 모듈을 이용한 FTL 에뮬레이터 (FlaSim: A FTL Emulator using Linux Kernel Modules)

  • 최화영;김상현;이승원;박상원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11호
    • /
    • pp.836-840
    • /
    • 2009
  • 플래시 메모리의 성능평가 실험 환경 구성은 플래시 메모리가 장착된 제품들이 동작하는 시스템으로 이뤄진다. 이와 같은 방법은 물리적이고 비용적인 제약이 따르게 된다. 또한 실험에 쓰이는 입력 데이터와 FTL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를 위한 결과 데이터인 트레이스의 추출 방법이 까다롭고 힘들다. Oracle의 경우 트레이스 추출이 불가능하고, MySQL, SQLite는 트레이스 추출이 가능하더라도 결과의 정확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통해 물리적 제약을 없애고 트레이스 추출을 쉽고 간편하게 하여 정확한 실험 결과 분석이 용이하도록 FTL 에뮬레이터를 설계하고 구현한 내용에 대해 다룬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FTL 에뮬레이터인 FlaSim은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저장 메커니즘과 동일한 동작을 하도록 구현하고 리눅스 커널 모듈을 사용하여 필요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FlaSim은 모듈 적재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FTL 알고리즘 및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실험의 확장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에 적용이 쉽고,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실험의 제약이 되는 물리적인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게다가 트레이스 추출하는 데 쉽고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하여 결과 도출 및 분석 시 시간적, 시스템적 제약을 받지 않아 효율성이 큰 장점이 있다. 추후 많은 FTL 알고리즘 및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실험과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착저형 수중장비를 이용한 수중작업 시 작업경계면 인식을 위한 소나시스템 활용법 (Sonar System Application for detection of underwater work space boundary using seabed type underwater equipments)

  • 신창주;장인성;원덕희;서정민;백원대;김기훈;김종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678-684
    • /
    • 2016
  • 수중사석고르기 장비와 같은 착저형 수중장비를 활용하여 해저면에서 수중 작업을 수행할 경우 해당 장비는 작업경계면을 정확히 인식하고 작업장 내에 자리잡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장비 전복과 같이 장비 안전사고와 직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작업경계면 표식을 위해서는 잠수부의 도움이 필수적인데, 이를 위하여 잠수부가 수중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재료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나일론줄을 해저면에 설치하여 작업경계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수중에서 주변 환경을 관찰하기 위하여 소나와 팬틸트를 이용하여 소나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거리변화에 따른 수중 작업경계면 탐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수중사석고르기 장비에 최종적으로 소나시스템을 설치하고 나일론줄로 표시된 작업경계면에 대한 탐지여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착저형 수중장비를 이용한 수중작업 시 작업경계면 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확보하였다. 작업경계면 인식 방안을 활용할 경우 추후에 개발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착저형 수중작업 장비의 작업절차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원격탐사 자료로부터 해안선 추출에 의한 조간대 DEM 생성 (Intertidal DEM Generation Using Waterline Extracted from Remotely Sensed Data)

  • 류주형;조원진;원중선;이인태;전승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1-233
    • /
    • 2000
  • 조간대의 지형은 연안의 동력학적 작용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간대의 지형적인 변화를 정량적으로 관측하는 것은 퇴적학적 연구뿐만 아니라 연안역 통합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측선을 따라 얻어진 측량자료와 비교적 단기간에 걸쳐 얻어진 광학 및 마이크로파 원격탐사 자료로부터 얻어진 수륙경계선을 이용하여 조간대 DEM을 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의 수륙경계선(혹은 해안선)은 해수와 노출된 조간대의 경계선으로 정의된다. 즉 수륙경계선은 특정한 상황의 조간대에서의 등고선을 의미하며,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넓은 지역의 DEM을 구할 수 있다. SAR 자료의 경우는 스펙클의 영향뿐만 아니라 해수와 노출된 조간대에서 반사된 신호와의 강도가 매우 유사한 관계로 수륙경계선을 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SAR 영상과 더불어 상관관계도(coherence map)에 MSP-RoA 경계면 추출기법을 적용하여 수륙경계선을 추출하였다. 여러 개의 영상자료로부터 얻어진 수륙경계선은 내삽과정을 거쳐 최종적인 DEM을 형성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곰소만 지역에 이 방법을 적용하여 정밀도가 비교적 높은 DEM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