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evee break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velopment of a Flood Runoff and Inundation Analysis System Associated With 2-D Rainfall Data Generated Using Radar III. 2-D Flood Inundation Simulation (레이더 정량강우와 연계한 홍수유출 및 범람해석 시스템 확립 III. 2차원 홍수범람 모의)

  • Choi, Kyu-Hyun;Han, Kun-Yeun;Kim, Sang-Ho;Lee, Chang-He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4 s.165
    • /
    • pp.347-362
    • /
    • 2006
  • In this study, a 2-D flood inundation model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impact of levee failure in a natural basin for flood analysis. The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inundation flow from the levee break of Gamcheon river during the typhoon Rusa on October 31 through September 1, 2002. To verify the simulated results, wide range field surveys have been performed including the collection of NGIS database, land use condition, flooded area, and flow depths. Velocity distributions and inundation depths were presented to demonstrate the robustness of the model. Model results have good agreements with the observed data in terms of flood level and flooded area. The model is able to compute maximum stage and peak discharge efficiently in channel and protected lowland. Methodology considering radar-rainfall estimation using cokriging scheme, flood-runoff and inundation analysis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integrated flood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the river or protect lowland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of a Raster-based Two-dimensional Flood Inundation Model (래스터 기반의 2차원 홍수범람 모형의 개발)

  • Lee, Gi-Ha;Lee, Seung-Soo;Jung, Kwan-Su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6
    • /
    • pp.155-163
    • /
    • 2010
  • The past researches on flood inundation simulation mainly focused on development of numerical models based on unstructured mesh networks to improve model performances. However, despite the accurate simulation results, such models are not suitable for real-time flood inundation forecasting due to a huge computational burden in terms of geographic data processing. In addition, even though various types of vector and raster data are available to be compatible with flood inundation models for post-processes such as flood hazard mapping and flood inundation risk analysis, the unstructured mesh-based models are not effective to fully use such information due to data incommensurabi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aster-based two-dimensional inundation model; it guarantees computational efficiency because of direct application of DEM for flood inundation modeling and also has a good compatibility with various types of raster data, compared to a commercial model such as FLUMEN. We applied the model to simulate the BaekSan levee break in the Nam river during a flood period from August 10 to 13, 2002.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field-surveyed inundation area and were also very similar with results from the FLUMEN. Moreover, the model provided physically-acceptable velocity vectors with respect to inundating and returning flows due to the difference of water level between channel and lowland.

Empirical Formula for Propagation Distance of Flood Wave-front in Flat Inundation Area without Obstacle due to Levee Breach (장애물이 없는 평탄지형 제내지에서의 범람홍수파 선단 전파거리 실험식 산정)

  • Yoon, Kwang-Seok;Lee, Jong-Ky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10
    • /
    • pp.833-840
    • /
    • 2007
  • The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ropagation distance of flood wave due to levee breach in a flat inundation area without obstacle. Hitter solution was considered to formulate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a representative form was written referring to existing researches. As a result of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the propagation velocity of the wave front in inundation area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initial water level in a channel, which was similar to flow in a channel due to dam break. An empirical formula was also suggested using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dimensionless propagation distance L can be written as the power function of dimensionless time T Coefficients k and m were varied with the dimensionless time T whereas k and m in Ritter solution were 2 and 0, respectively. The variation of coeffici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 and T was influenced by the water depth in the inundation area and the fact proved that the changing points of L in the slope of relationship between L and T are the same to thos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dimensionless maximum water depth in the inundation area, $h_{max}$ and L.

The Analysis of Levee Break using FFC-9 (FFC-9 모형을 이용한 하천제방 붕괴해석)

  • Park, Jae-Hong;Chun, Myung-Ho;Han, Ke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48-852
    • /
    • 2009
  • 하천 제방붕괴 해석을 위한 FFC-9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은 하천제방의 붕괴해석을 위해 하천의 흐름해석 및 제방붕괴 알고리듬이 결합된 물리적 이론에 기반한 프로그램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낙동강 실제제방의 붕괴해석에 적용하였다. 적용된 제방은 경북 고령의 낙동강 본류 우안에 위치하고 있는 실제제방이 2000년 9월 15일 07:40분경에 붕괴를 시작하였다. 붕괴폭은 110m로 최초에는 60m, 수위 강하시 50m로 붕괴는 지속되었다. 붕괴지점의 제방고는 22.80 m이며 계획 홍수위는 20.26m, 사고당시 하천의 수위는 17.10m, 제내지 수위는 9.80m로서 제내지와 제외지의 수위차는 7.3m였다. 제방 붕괴로 인한 여러 피해중 농경지 침수는 150 ha에 이르렀다.. 연구모형을 2000년 9월 12일 00시${\sim}$18일 23시 기간동안 낙동강 유역의 홍수로 인한 제방 붕괴상황에 대해 적용하였다. 계산구간은 현풍${\sim}$적포교의 33.55 km구간으로서 전체 단면의 개수는 67개이며 평균적인 계산거리간격은 ${\Delta}x$ = 0.5 km 이고 계산시간간격은 0.5 hr이며 제방붕괴시의 계산시간간격은 0.25 hr으로 설정하였다. 이 구간에서의 주요 지류로서는 회천과 황강이 고려되었다. 상류단 경계조건으로서는 현풍 수위표지점의 유량 수문곡선을 사용하였고, 하류단 경계조건으로서는 적포교 수위표지점의 수위 수문곡선을 사용하였다. 본 모형에 적용된 조도계수는 이전의 홍수조건으로부터 검증된 $0.020{\sim}0.033$의 범위를 이용하였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for Flood Inundation according to Overflow and Break at Vulnerable Levee in the Han River (월류 및 파제에 따른 한강제방 취약지역의 홍수범람모의)

  • Park, Sung Woo;Lee, Jin Woo;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43-4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한강제방 취약구간인 성산대교와 잠실철교 부근 지역에 대한 홍수범람을 수치모의 하였다. 사용된 수치모형은 스위스의 Beffa에 의해 개발된 FLUMEN(FLUvial Modeling ENgine)으로서 스위스, 독일, 오스트리아 등에서 홍수범람해석에 사용된 바 있는 모형이다. 제방 취약지역은 한강 하천정비기본계획(2002)과 대학과 연계한 하천관리에 관한 연구용역(2단계 4차년)에 제시된 HEC-RAS 부등류 해석에 의해 계산된 홍수위와 기존 제방의 높이를 비교하여 산정하였다. 범람모의를 위해 HEC-RAS 부정류 해석을 통해 경계조건을 산정하고, FLUMEN을 이용하여 한강제방의 취약지역에 대한 범람모의와 파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파제에 따른 범람모의를 실시하고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제방 취약지역에서 월류로 인한 범람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일부 주거지역이 침수되었다. 가상 파제시나리오를 통한 수치모의 결과에서 여의도에서 $2.179km^2$의 넓은 지역에 침수현상이 계산되었으며, 최대 침수심은 5.054m로 성산대교 남단의 가상 파제 시나리오에서 계산되었다. 수치모의 결과 FLUMEN은 한강유역의 범람모의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는 홍수 방어대책을 수립함에 있어 홍수 취약지역의 선정과 수공구조물의 설치 방향을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 된다. 정확도를 높이려면 보다 정밀한 제내지, 제외지의 측량자료의 적용, 내수 침수모형과의 연계, 조밀한 불규칙 삼각망의 작성이 필요하며, 국내실정에 맞는 정확한 적용기준마련과 유역의 수리학적 특성이 고려된 홍수해석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고 보다 정확한 조도계수의 산정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The analysis on Flood Inundation and Water Level Variation in Stream by Levee Break (파제에 의한 홍수범람 및 하도내 수위변동 분석)

  • Jeong, Ha-Ok;Park, Sang-Woo;Moon, Byoung-Seok;Jang, Suk-Hwan;Oh, Kyung-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785-78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태풍 및 집중호우로 발생되는 홍수류에 의해 많은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도시하천유역의 하천 제방 붕괴시 홍수범람모의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 하천으로는 전주천유역을 선정하였으며, 전주천 하천 제방을 가상으로 붕괴시켜 홍수범람구역에서의 시간의 변화에 따라 침수양상 및 침수수위 등을 분석하고, 제방 붕괴에 의한 범람 진행시 하도내의 수위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침수심도 및 홍수범람도를 SURFER와 연계하여 작성한 다음 기존의 홍수범람도 작성 방법 중 하나인 Arcview GIS를 이용하여 작성한 홍수범람도와 비교 검토하여 전처리과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정밀도가 높은 침수심도 및 홍수범람도를 작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시간의 변화에 따라 하도내에서 홍수범람구역으로의 월류량 및 침수수위, 침수수량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제방 붕괴로 인한 하도내 수위의 변화는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Arcview GIS와 SURFER를 이용하여 작성한 홍수범람면적의 차이가 크지 않아 전처리과정이 복잡한 Arcview GIS보다 비교적 작성방법이 간단하고 정밀도가 높은 침수심도 및 홍수범람도를 동시에 작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3-D Numerical Simulations of Gradual Progress of Levee Break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점진적 제방붕괴 수치모의)

  • Jo, Hwan-Beom;Yeo, Chang-Geon;Lee, Seung-Oh;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34-738
    • /
    • 2010
  • 현재 우리나라는 이상기후 현상이 발생하여 계획홍수위를 초과하는 극한홍수에 의한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심지역에서 제방이 붕괴된다면 범람홍수파에 의해 적지 않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해를 줄이려면 제방붕괴시 범람홍수파의 수리학적 거동특성을 명확히 규명하고 이에 따른 대피체계가 수립되어야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3차원 수치모형인 FLOW-3D를 통한 범람홍수파 특성연구에 조도계수 및 GMO(General Moving Object)를 추가하여 점진적인 제방붕괴로 인한 제내지에서 범람홍수파의 수리학적 거통 특성을 모의하였다. 높이 0.6m의 제방붕괴 단면이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넓어지면서 제내지로 홍수파가 유입되어 들어오도록 모의하였다. 수치모의 된 결과를 선행연구의 수리실험결과와 비교 검증을 수행하였다. 또한 수치모형 값에 조도계수를 입력하여 기존연구와 비교분석하였다. GMO를 이용하여 붕괴속도($v_0$)에 변화를 준 경우, 유속($v_{max}$) 및 수위($h_{max}$)변화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초기 월류수심($h_0$) 변화에 따른 범람홍수파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붕괴속도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으로 제방붕괴시 홍수범람에 의한 비상대처계획(EAP)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Strategics for Establishment of Spatial Information by Assessment of GIS-Based Flood Risk (GIS기반 홍수위험도 평가를 통한 공간정보 구축 방안 개발)

  • Sim, Gyoo Seong;Lee, Choon Ho;Lee, Tae Geun;Jee, Gye Hwa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3 no.2
    • /
    • pp.39-48
    • /
    • 2015
  • In this study, we evaluated flood risk by applying calculation fomula considering practical risk calculated by inundation analysis information through 2D inundation analysis, suggested a plan that provides a standardized information system. Generally, we evaluated flood risk to people and classified four degrees by using inundation depth, velocity, Debris Factor and Flood Hazard Rating relationship because current flood risk assessment method based inundation depth and area was considered to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risk to people on flood. We simulated overflow and levee break scenarios according to 500 year and 200 year floods, respectively, by using Flumen which is a 2D flood inundation model for Geumho river basin in Daegu.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inform practical risk information to people in expected flood area.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the fields of disaster estimatingsuch as information analysis, evaluation, planning by offering Risk information based on standardized inform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