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sion size

검색결과 586건 처리시간 0.025초

최소침습적 복합레진 수복을 위한 레진침투법의 활용 (Utilization of Resin Infiltration for the Minimally Invasive Composite Restoration)

  • 김형준;박소영;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82-391
    • /
    • 2019
  • 와동 형성이 시작된 우식병소에는 병소 본체 주변으로 탈회가 진행 중인 초기 병소가 혼재한다. 이 연구에서는 법랑질에 국한된 우식 와동을 복합레진으로 수복 시 레진침투법을 병행하는 기법이 치질 보존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인접면 우식병소가 있는 탈락된 유구치를 이용, 레진침투(I, Infiltration), 치아삭제(P, preparation), 복합레진 수복(F, filling)의 적용 순서를 달리하여 IPF군과 PFI군으로 나누었다. 수복 범위, 레진침투 양상, 변연부 미세누출의 관점에서 수복물을 평가하였다. 치질 삭제범위는 수복 전후에 micro-CT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두 실험군 모두에서 치료 전 병소의 크기보다 복합레진 수복물의 크기가 작았다.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을 이용한 레진침투 양상 평가 결과 두 실험군 모두 복합레진 수복물 주변에서 침투레진이 확인되었으며, 인공 탈회 유발 후에도 침투레진은 대부분 유지되었다. 수복물 변연부 미세누출은 micro-CT로 확인하였고, PFI군에서 더 빈번하게 확인되었다. 복합레진 수복과 레진침투법의 병용은 치질 보존 측면에서 의미를 가지며, 접착 향상을 위하여 레진침투-와동 형성-복합레진 수복의 순으로 진행하는 것이 추천된다.

Long-term Observation of Gastric Adenocarcinoma of Fundic Gland Mucosa Type before and after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a Case Report

  • Takahashi, Keitaro;Ueno, Nobuhiro;Sasaki, Takahiro;Kobayashi, Yu;Sugiyama, Yuya;Murakami, Yuki;Kunogi, Takehito;Ando, Katsuyoshi;Kashima, Shin;Moriichi, Kentaro;Tanabe, Hiroki;Kamikokura, Yuki;Yuzawa, Sayaka;Tanino, Mishie;Okumura, Toshikatsu;Fujiya, Mikihir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1권1호
    • /
    • pp.103-109
    • /
    • 2021
  • Gastric adenocarcinoma of the fundic gland mucosa type (GA-FGM) was proposed as a new variant of gastric adenocarcinoma of the fundic gland type (GA-FG). However, at present, the influence of Helicobacter pylori and the speed of progression and degree of malignancy in GA-FGM remain unclear. Herein, we report the first case of intramucosal GA-FGM that was endoscopically observed before and after H. pylori eradication over 15 years. The lesion showed the same tumor size with no submucosal invasion and a low MIB-1 labeling index 15 years after its detection using endoscopy. The endoscopic morphology changed from 0-IIa before H. pylori eradication to 0-IIa+IIc and then 0-I after H. pylori eradic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unaltered tumor size reflects low-grade malignancy and slow growth, and that the endoscopic morphology is influenced by H. pylori eradication.

동시에 발견된 위장관 간질 종양과 점막하 종양 형태의 MALT 림프종의 내시경 치료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for Simultaneous Presence of GIST and Submucosal Tumor Type MALT-Lymphoma on the Stomach ?)

  • 유인경;전훈재;진윤태;금보라;김은선;최혁순;남승주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24-27
    • /
    • 2014
  • 본 증례에서는 우연히 한 환자에서 위장관 간질 종양과 점막하 종양 형태의 MALT 림프종을 동시에 발견하였고, 이를 내시경적 절제술로 치료한 사례이다. 현재 환자는 절제술 후 2년 동안 질병의 진행 없이 외래에서 경과 관찰 중이다. 아직 MALT 림프종과 위장관 간질종양에서 내시경적 점막하 절제술은 정립된 치료 방법이 아니지만, 본 증례처럼 성공적으로 치료될 수 있음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아직은 내시경적 절제술로 치료한 사례가 적지만, 향후 내시경적 절제술 후 긴 기간 동안 추적 관찰된 증례들이 모인다면 조기위암처럼 표준화된 치료법으로 시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Diagnostic Accuracy of Percutaneous Transthoracic Needle Lung Biopsies: A Multicenter Study

  • Kyung Hee Lee;Kun Young Lim;Young Joo Suh;Jin Hur;Dae Hee Han;Mi-Jin Kang;Ji Yung Choo;Cherry Kim;Jung Im Kim;Soon Ho Yoon;Woojoo Lee;Chang Min Park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0권8호
    • /
    • pp.1300-1310
    • /
    • 2019
  • Objective: To measure the diagnostic accuracy of percutaneous transthoracic needle lung biopsies (PTNBs) on the basis of the intention-to-diagnose principle and identify risk factors for diagnostic failure of PTNBs in a multi-institutional setting.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9384 initial PTNBs performed in 9239 patients (mean patient age, 65 years [range, 20-99 year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4 were included. The accuracy,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of PTNBs for diagnosis of malignancy were measured. The proportion of diagnostic failures was measured, and their risk factors were identified. Results: The overall accuracy, sensitivity, specificity, PPV, and NPV were 91.1% (95% confidence interval [CI], 90.6-91.7%), 92.5% (95% CI, 91.9-93.1%), 86.5% (95% CI, 85.0-87.9%), 99.2% (95% CI, 99.0-99.4%), and 84.3% (95% CI, 82.7-85.8%),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diagnostic failures was 8.9% (831 of 9384; 95% CI, 8.3-9.4%). Th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diagnostic failures were lesions ≤ 1 cm in size (adjusted odds ratio [AOR], 1.86; 95% CI, 1.23-2.81), lesion size 1.1-2 cm (1.75; 1.45-2.11), subsolid lesions (1.81; 1.32-2.49), use of fine needle aspiration only (2.43; 1.80-3.28), final diagnosis of benign lesions (2.18; 1.84-2.58), and final diagnosis of lymphomas (10.66; 6.21-18.30). Use of cone-beam CT (AOR, 0.31; 95% CI, 0.13-0.75) and conventional CT-guidance (0.55; 0.32-0.94) reduced diagnostic failures. Conclusion: The accuracy of PTNB for diagnosis of malignancy was fairly high in our large-scale multi-institutional cohort. The identified risk factors for diagnostic failure may help reduce diagnostic failure and interpret the biopsy results.

Surgery for symptomatic hepatic hemangioma: Resection vs. enucleation, an experience over two decades

  • Nalini Kanta Ghosh;Rahul R;Ashish Singh;Somanath Malage;Supriya Sharma;Ashok Kumar;Rajneesh Kumar Singh;Anu Behari;Ashok Kumar;Rajan Saxena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8-263
    • /
    • 2023
  • Backgrounds/Aims: Hemangiomas are the most common benign liver lesions; however, they are usually asymptomatic and seldom require surgery. Enucleation and resection are the most commonly performed surgical procedures for symptomatic lesion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outcomes of these two surgical technique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symptomatic hepatic hemangiomas (HH) operated upon between 2000 and 2021.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the enucleation and resection groups. Demographic profile, intraoperative bleeding, and morbidity (Clavien-Dindo Grade) were compared.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for continuous and categorical variables respectively. p-value of <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Sixteen symptomatic HH patients aged 30 to 66 years underwent surgery (enucleation = 8, resection = 8) and majority were females (n = 10 [62.5%]). Fifteen patients presented with abdominal pain, and one patient had an interval increase in the size of the lesion from 9 to 12 cm. The size of hemangiomas varied from 6 to 23 cm. The median blood loss (enucleation: 350 vs. resection: 600 mL), operative time (enucleation: 5.8 vs. resection: 7.5 hours), and postoperative hospital stay (enucleation: 6.5 vs. resection: 11 days) were greater in the resection group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the resection group, morbidity was significantly higher (62.6% vs. 12.5%, p = 0.05), including one mortality. All patients remained asymptomatic during the follow-up. Conclusions: Enucleation was simpler with less morbidity as compared to resection in our series. However, considering the small number of pati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with comparable groups to confirm the superiority of enucleation over resection.

Liver PET/MRI 검사 시 MR 기반 호흡 움직임 보정 방법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MR Based Respiratory Motion Correction Technique in Liver PET/MRI Study)

  • 도용호;이홍재;김진의;노경운
    • 핵의학기술
    • /
    • 제22권1호
    • /
    • pp.15-22
    • /
    • 2018
  • PET/MRI 검사 시 호흡에 의한 움직임은 영상의 질 저하는 물론 종양의 크기, 표준섭취계수의 오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체형 PET/MRI 장비에서 MR기반 호흡 움직임 보정 방법의 적용에 따른 종양의 표준섭취계수, 크기와 영상 품질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Biograph mMR 3.0T (Siemens, Germany)장비에서 2016년 3월부터 7월까지 $^{18}F-FDG$ liver PET/MRI 검사를 시행한 30명 ($62.5{\pm}10.2$세)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7분의 PET listmode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안 MR 기반 호흡 움직임 보정 방법인 MAG, MTG와 NG T1 weighted MR 영상을 획득하였다. Gated PET 영상의 재구성은 35% efficiency window가 적용된 MAG와 MTG로부터 획득된 감쇄보정영상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Non-gate, MAG, MTG 영상에서 측정된 종양의 표준섭취계수와 Z축 방향의 크기 그리고 반치폭을 분석하였다 평균 $SUV_{max}$$SUV_{peak}$는 NG 대비 MAG 13.15%(P<0.0001), 8.66%(P<0.0001), MTG 13.27%(P<0.0001), 8.80%(P<0.0001) 증가하였으며 Z-축에서 평균 종양의 크기와 반치폭은 MAG 14.47%(P<0.0001), 15.49%(P=0.0004), MTG 14.89%(P<0.0001), 15.79%(P=0.0003)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MAG와 MTG 비교 평가에서 MTG의 $SUV_{max}$$SUV_{peak}$는 MAG 대비 0.07%(P=0.8802), 0.13%(P=0.7766) 증가하였으며 Z-축에서 평균 종양의 크기와 반치폭은 0.49%(P=0.2786), 0.36%(P=0.2488) 감소하였다. 약 7분과 2분의 추가 검사시간이 필요한 MAG와 MTG에서 표준섭취계수와 종양의 크기, 반치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 PET/MRI 검사 시 MR 기반 호흡 움직임 보정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NG 대비 MAG, MTG 모두에서 표준섭취계수와 종양의 크기 및 공간분해능이 개선되었으며 MAG와 MTG의 결과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호흡에 의한 움직임에 영향을 받는 다양한 상 복부 검사에 MBRMCT를 적용 시 추가적인 장비의 설치 없이 약 2분의 추가 검사시간이 필요한 MTG 방법 적용하여 NG 대비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뼈 검사 영상과 골반 X선 영상의 결합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combination of Bone Scan Image and Pelvic X-ray Image)

  • 이충운;유연욱;김용근;원우재
    • 핵의학기술
    • /
    • 제22권1호
    • /
    • pp.23-27
    • /
    • 2018
  • [목적] 뼈 검사는 골격계 질환에 대한 예민도와 높은 해상력의 핵의학 영상 검사이다. 본 연구는 추가적인 방사선피폭없이 뼈 검사 영상과 골반 X선 영상의 결합을 시행하고 영상의 해부학적 정보와 관용도를 증가시켜 환자 병변 진단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2015년 11월에서 2016년 8월까지 본원에서 뼈 검사를 실시한 환자 중 골반 X선 촬영을 시행한 236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남자 64명, 여자 172명, 평균연령 $50.96{\pm}15.39$세) 검사장비는 감마카메라 Symbia Ecam(SIEMENS, Germany)을 사용하였고 디지털 엑스레이는 DRS-800(Listem, Korea)을 사용하였다. 영상의 결합 및 분석프로그램은 Osirix version 3.8.1(Osirix, USA), 통계프로그램은 Stata/SE 버전 14.0(StataCorp, USA)를 사용하였다. 환자에게 $^{99m}Tc-DPD$ 740 MBq을 정맥주사한 후 2~4시간이 지난 뒤에 검사를 진행하였다. 감마카메라 영상 획득 조건은 Matrix size $256{\times}1024$, Zoom 1.00, 검사 속도 17 cm/min로 하였다. 디지털 엑스레이는 Collimator size $14^{{\prime}{\prime}}{\times}17^{{\prime}{\prime}}$, 77 kVp(60~97kVp), 평균 30 mAs(20~48)로 전상장골극과 치골결합 사이 수직입사를 하였다. Osirix 상에서 골반 뼈의 윤곽 및 가상의점을 선택하여 결합하고 획득한 영상을 핵의학과 5년 이상 근무한 방사선사 3명에 의해 평가 되었으며, 모두 동일할 경우 일치, 하나라도 동일하지 않을 경우 불일치로 평가하였다. 전체 236명 중 일치하는 대상은 216명 (91.53%) 이다. 연령의 중위수 및 범위(최소값~최대값)는 일치하지 않는 그룹에서 67(46~81)세, 일치하는 그룹에서 52(22~87)세로, 일치하지 않는 그룹의 연령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두 군 간에 연령이 다른지 Wilcoxon rank-sum test를 수행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두 군 간에 나이가 차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 < 0.0001). 남자는 64명 중 60명(93.75%), 여자는 172명 중 156명(90.70%)가 일치하였고, 골반 병변이 없던 환자는 54명 중 54명(100.00%), 골반 병변이 있던 환자는 182명 중 162명(89.01%) 일치하였고, 골반 병변 여부에 따른 일치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94). 뼈 검사와 골반 X선 영상을 결합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변수가 있을 수 있었고 환자의 연령과 골반병변이 영상의 결합에 일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방사선 피폭 없이 소아의 골반 골육종 진단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되고 이와 같은 영상의 결합 연구를 통해서 핵의학 영상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종격동 종양의 전산화 단층촬영(CT)소견, 수술소견 및 병리조직학적 침윤도 사이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Relativity Between Invasiveness on Chest of Tomographic Finding and Histopathologic Invasiveness)

  • 김용희;이현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8호
    • /
    • pp.780-785
    • /
    • 1997
  • 종격동 종양은 그 발생 위치가 심장과 대혈관, 식도, 그리고 신경조직 등과 같이 인체에 중요한 조직과 인접해 있는 점과 수술적 치료가 비교적 용이하고 그 결과 또한 우수하여 흉부외과 영역에서 매우 흥미있는 질환으로 관심을 끌어 왔다. 저자는 울산의대 서울중앙병원 흉부외과에서 1990년 1월부터 1995년 6월까지 5년 6개월간 수술적 치료를 받은 원발성 종격동 종양 87명을 대상으로 연령과 성별, 진단방법, 임상적 징후 및 증상, 크기, 해부학적 위 치, 수술소견, 병리조직학적 진단에 대하여 관찰하고 전산화 단층촬영(U)소견과 병리조직학적으로 침윤성 을 보였던 종격동 종양에서의 임상적 의의를 분석하여 종격동 종양에 대한 적절한 외과적 치료지침을 얻고자 하였다. 종양의 발생 부위는 전상부 종격동이 50명(57%)으로 가장 많았으며 후부 종격동 30명(35%), 중부 종격동 7 명(8%)순이었다. 병리조직학적 분류로 보면 흉부종 27명(31%), 원발성 낭종 19명(22%), 신경성 종양 19명 (22%), 기형종 10명(10%)순이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침윤성을 보인 경우는 17명(20%)이었으며 전상부 종격 동에 14명(16%), 후부 종격동에 3명(4%)이었다. 종격동 종양 \ulcorner대한 전산화 단층촬영은 87명 모두 시행하였으며, 주위 조직에 침윤성을 보인 경우는 15명(17%)이었다. 종양의 외과적 치료로 완전 절제 80명(92%), 부분 절제 6명(7%), 개흉후 조직검사 1명(2%)을 시행하였다 수술 소견상 14명(16%)에서 주위 조직의 침윤이 의심 되었다. 종양의 크기는 전체 평균 6.0$\pm$3.2 cm 전상부 종격동 종양 6.2$\pm$3.1 cm 중부 종격동 종양 3.9$\pm$ 1.1 cm 후부 종격동 종양 5.8그2.6 cm등이었다. 양성 종양의 크기는 평균 5.5$\pm$2.6 cm 악성종양의 크기는 7.3$\pm$ 4.6 cm이었다. 수술소견상 침윤이 의심된 경우들의 평균 크기는 7.2$\pm$3.8 cm이었고, 소견상 침윤이 의심 된 경우들의 평균 크기는 8.0$\pm$3.8 cm이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침윤성을 보였덜 17명과 CT소견상 침윤성을 보였던 15명과의 상관성은 민감도 (sensitivity) 35%, 특이도(specificity) 87%, 예측도(predictability) 35%이며, 수술소견상 침윤성을 보였던 14명과 의 상관성은 민감도 53%,특이도 93%, 예측도 64%이었다. 또한 종양의 크기와 악성도와의 상관관계에서 크기가 클수록 악성일 가능성이 증가하는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유의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종격동 종양에 대한 수 珦\ulcorner진단으로 또는 수술시 예측할 수 있는 침윤성은 낭성 종양을 제외 한 경우 병리조직학적 진단과의 일치성이 낮아 종격동 종양의 수술적 치료는 종양을 포함하여 가능한 범위까지 광범위하게 절제하는 것이 수술 결과를 좋게 하는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PDF

두개인두종의 감마나이프 치료 후 장기 추적 결과 (Long-term Results of Gamma Knife Radiosurgery for Craniopharyngioma)

  • 김윤석;이도희;라동숙;전영일;안재성;전상룡;김정훈;노성우;나영신;김창진;권양;임승철;이정교;권병덕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sup2호
    • /
    • pp.289-293
    • /
    • 2001
  • Objectives : The optimal treatment of craniopharyngioma is controversial. Despite recent advances in microsurgical management, complete surgical removal of craniopharyngioma remains very difficult. Radiation added to surgery is effective, but radiation therapy resulted in untoward side effect in young patient. Gamma knife radiosurgery offers the theoretical advantage of a reduced radiation dose to surrounding structures during the treatment of residual or recurrent craniopharyngioma compared with fractionated radiotheraphy. We described retrospective analysis of tumor size and clinical symptoms of patients after gamma knife radiosurgery in residual or recurrent craniopharyngioma were performed. Material and Methods : From September 1990 to January 2000, 18 patients of craniopharyngioma were treated by gamma knife radiosurgery. All patient had undergone surgery, but residual or recurrent tumor was found and all of them treated postoperative gamma knife radiosurgery. The mean age was 19(from 6 to 66)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10 to 8 and 8 patients were below 15 years old. In young age group(below age 15), the average volume of the tumor was $2904.8mm^3$ and mean maximal gamma knife dose was 34.9Gy. In old age group(older than 15), the average volume of the tumor was $2590.4mm^3$ and mean maximal gamma knife dose was 45.2Gy. The size of the tumor was average $2730.1mm^3$($88-12000mm^3$), mean average radiation dose was 40.7Gy and the mean prescription dose was 17.6 Gy(4-35Gy) delivered to a median prescription 50.7% isodose. Results : The follow up was from 1 year to 9 years(mean 59.1 months) after gamma knife radiosurgery. The tumor was controlled in 13(72.2%) patients. The tumor decreased in 9 patients and not changed in 4 patients. The tumor size increased in 4(22.2%) patients during follow up period. In two cases the tumor size increased because of its cystic portion was increased, but their solid portion of the tumor was not changed. In another two patients, the solid portion of the tumor was increased. So, one patient underwent reoperation and the other patient underwent operation and repeated gamma knife radiosurgery. The tumor recurred in one case(5.6%) that is a outside of irradiated site. The presenting symptoms were improved in 4 patients(improved visual acuity in 1, controlled increased intracranial presure sign in 3 patients). In one case, visual acuity decreased after gamma knife radiosurgery. The endocrine symptoms were not influenced by gamma knife radiosurgery. Conclusion : Craniopharyngioma can be treated successfully by gamma knife radiosurgery. Causes of the tumor regrowth are inadequate dose planning because of postoperatively poor margination of the tumor, close approximation of optic nerve and residual tumors outside the target lesion. Recurrence can develop 4 years after gamma knife radiosurgery. Volume is important, but the accurate targeting is more important to prevent tumor recurrence. If the tumor definition is not clear during planning gamma knife surgery, long-term image follow up is required.

  • PDF

경피폐세침흡인생검시 기흉의 발생빈도와 위험인자 (Incidence and Risk Factor of Pneumothorax After Percutaneous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of the Lung)

  • 최천웅;유지홍;진현정;박명재;강홍모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6호
    • /
    • pp.628-637
    • /
    • 2004
  • 연구배경 : 경피폐세침흡인생검술은 비교적 간편하고 안전한 검사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폐병변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로 알려져 있으나 때때로 기흉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저자들은 경피폐세침흡인생 검술 후 발생하는 합병증의 빈도 및 합병증 중 제일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기흉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에서 2002년 사이에 다양한 폐병변의 진단을 목적으로 경희의대부속병원 호흡기내과에서 경피폐세침흡인생검술을 시행 받은 403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방사선검사결과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 과 : 총 403명의 환자들 중(남자 245명, 여자 158명) 209명이 악성질환으로, 194명이 양성질환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연령은 $58.5{\pm}12.7$세였고, 검침의 평균 깊이는 $6.3{\pm}1.7cm$, 193명이 흡연자였다. 합병증으로는 기흉이 48명, 경미한 객혈이 4명으로 총 발생률은 12.9%였다. 48명의 환자 중 35명이 20% 미만의 기흉으로 산소공급만으로 치료를 받았고, 11명이 50% 이상의 심한 기흉으로 흉관삽입을 시행 받았으며 나머지 2명은 주사기 흡인으로 치료받았다. 기흉발생의 위험요인에 대한 다변량분석을 시행한 결과 병변의 크기와 위치, 검침의 위치, 병변의 진단 등은 관계가 없었으나 환자의 나이와 성별(p<0.05), 검침의 깊이(p<0.001)는 기흉의 발생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흡연유무(p<0.005)뿐만 아니라 흡연량(p<0.001) 또한 기흉발생과 의미 있는 관계를 나타냈으며 각각 4.0%에서 23.1%까지 다양한 발생률을 보인 검사자도 기흉발생의 의미 있는 독립적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한편 산소공급만으로 치료받은 35명의 검침의 평균깊이는 $6.7{\pm}1.6cm$인데 비해 나머지 13명의 심한 기흉환자는 $8.2{\pm}1.2cm$로 검침의 깊이가 깊을수록 심한 기흉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경피폐세침흡인생검은 합병증이 적은 비교적 안전한 검사이며 검사 후 발생하는 가장 흔한 합병증인 기흉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는 환자의 나이와 성별, 검침의 깊이, 검사자, 흡연유무 및 흡연량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