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entinus edodes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1초

표고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조청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eong Containing Various Level of Letinus edodes Extracts)

  • 박정숙;나환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82-1090
    • /
    • 2005
  • 건강식품으로서의 각광을 받고 있는 표고버섯을 이용하여 적절한 가공방법을 모색하여 고부가가치를 갖는 식품으로 개발을 하고자 표고버섯 추출액을 첨가하여 조청을 제조하고 여러 가지 실험을 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고버섯 추출액을 당화액에 일정 비율로 첨가하여 졸이기를 한 조청의 일반성분은 조단백질, 회분과 조지방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탄수화물 함량은 감소하였다. 무기성분의 경우 무첨가구가 2,642.34 mg/kg, 추출액을 7:3의 비율로 첨가한 첨가구가 1,916.03 mg/kg, 5:5첨가구는 2,674.24mg/kg, 3:7 첨가구가 2,558.35mg/kg으로 버섯 추출액 첨가량에 따른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시료별 유리당 함량은 maltose > glucose > fructose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표고버섯 추출액의 첨가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리당 함량은 증가하였고, 아미노산 분석 결과 총 1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는데,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이었으며, 그 외 성분은 함량이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조청의 지방산 조성은 무첨가구의 경우 linoleic acid가 $23.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palmitic acid$(22.3\%)$, oleic acid$(19.0\%)$, myristic acid$(14.2\%)$와 caproic acid$(9.4\%)$ 순이었으며 버섯 추출액을 첨가한 시료의 경우 그 양상이 다양하게 분석되었으며, 포화지방산(SFA)과 불포화지방산(USFA)의 비율도 변화가 없었다. 조청의 pH를 측정한 결과 $5.5\~5.7$로 시료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환원당의 경우 무첨가구가 $40.38\%$, 당화액과 추출액의 혼합비가 7:3인 시료는 $39.94\%$, 5:5 첨가구는 $39.16\%,\;3:7$첨가구의 경우 $44.70\%$로 나타나 무첨가구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단지 3:7 첨가구만이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점도와 고형분 함량은 무 첨가구가 각각 $132{\times}10^3$ cps와 $74.32\%$, 당화액과 추출액의 혼합비가 7:3인 첨가구가 $27.6{\times}10^3$cps와 $64.96\%$, 5:5 첨가구가 $25.6{\times}10^3$cps와 $60.90\%$, 3:7 첨가구가 각각 $21.9{\times}10^3$cps와 $55.19\%$로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두 항목 모두 크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색도를 분석한 결과 L값, a값, b값 모두 표고버섯 분말 함량이 증가하면서 감소하였고, 모든 처리구에서 기존 무첨가구와 극히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별 관능검사 결과에서 색 (color), 먹을때의 느낌 (chewiness)과 단맛(sweetness)의 경우 무첨가구와 모든 처리구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향미 (flavor)와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에서 당화액과 추출액의 혼합비가 7:3인 시료구만이 무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표고버섯 추출액을 당화액에 첨가하여 조청을 제조할 경우 적정 첨가 수준으로 당화액과 추출액의 비가 3:7의 범위를 넘지 않아야 버섯의 장점을 살리면서 기존 조청의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산(韓國産) 고등균류(高等菌類)의 성분(成分) 및 배양(培養)에 관한 연구(硏究)(II) -표고버섯의 항암성분(抗癌成分) 및 배양(培養)- (Studies on the Constituents and Culture of the Higher Fungi of Korea(II) -The Antitumor Components and Culture of Lentinus edodes(Berk.) Singer-)

  • 정경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3-39
    • /
    • 1982
  • 한국산고등균류(韓國産高等菌類)의 일종(一種)인 표고버섯을 진탕액내배양하며 이로부터 항암성다당체(抗癌性多糖體)를 분리(分離)하고 얻어진 항암성다당체(抗癌性多糖體)의 물리화학적(物理化學的) 특성(特性) 및 면역학적(免疫學的) 특성(特性)을 밝히고 그의 발효공업적(醱酵工業的)민 생산법(生産法)을 연구(硏究)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본연구(本硏究)의 목적(目的)에 적합(適合)한 균주(菌株)를 선발(選拔)하고 선발(選拔)된 균주(菌株)의 배양조건(培養條件)에 대한 기초적인 실험을 시행한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0개의 계통(系統)의 자실체(子實體)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자실체(子實體)의 다당체(多糖體) 함유율(含有率)이 가장 높으며 또한 7개의 계통별(系統別) 균사체(菌絲體)를 진탕액내배양하여 MDW를 비교한 결과(結果) 두 번째로 우수한 균주(菌株)인 L. edodes-DMC7(본실험실(本實驗室)에서 부여한 고유 번호임)을 본(本) 연구(硏究)에 사용(使用)할 균주(菌株)로 선발(選拔)하였다. 2. L. edodes-DMC7의 균사생장최적(菌絲生長最適) pH는 $5.0{\sim}5.5$이었다. 3. L. edodes-DMC7의 균사생장(菌絲生長)에 필요한 탄소원(炭素源)으로는 glucose보다 starch가 효과적이어서 glucose만을 탄소원(炭素源)으로 한 배지(培地)에서 보다는 glucose를 모두 starch로 대치하거나 일부만을 starch로 대치한 배지(培地)에서의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이 $15{\sim}20%$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4. L. edoeds-DMC7의 균사생장(菌絲生長)에 펼요한 질소원(窒素源)으로는 yeast extract가 효과적이어서 yeast extract를 단독으로 혹은 Peptone과 1 : 1로 혼합하여 질소원(窒素源)으로 사용할 경우 Peptone 또는 malt extract만을 질소원(窒素源)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악 100%의 MDW증가를 볼 수 있었다. 5. L. edodes-DMC7의 균사생장(菌絲生長)에 적합(適合)한 배지(培地)의 최고농도(最高濃度)는 악 10%이며 이를 넘어서면 급격히 균사생장이 저해됨을 알 수 있었다. 6. L. edodes-DMC7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은 배양제(培養第)12日만에정점에 이르며 따라서 이때를 균사수확의 시기로 볼 수 있다. 7. GRAP의 첨가(添加)로 인한 L. edodes-DMC7의 균사생장자극효과는 MDW가 배지(培地)당 100ml 1,000mg을 넘지못할 경우에만 인정되었다.

  • PDF

침엽수 톱밥에서 표고 균사생장 촉진에 관한 연구 (Acceleration of Mycelial growth of Lentinus edodes in Coniferous Sawdust)

  • 박경목;김동찬;이종윤;양재경;유창현;정원일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2-228
    • /
    • 1994
  • 침엽수 톱밥을 이용한 표고버섯 재배용 인공골목에서 버섯 생산량과 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균사생장에 적합한 배지재료의 조건, 목재성분 비교분석, 톱밥배지의 전처리, 다양한 첨가물들의 효능검토 등을 통해 인공기질 조성구축의 기본자료를 도출했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수종별 톱밥배지 재료에 따른 균사생장 속도는 낙엽송>소나무 순이였으며 참나무와 이들 각각에 대한 목재성분을 비교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C/N ratio는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참나무가 다른 침엽수에 비해 lignin과 arabinose, mannose 함량이 적고 xylose 함량이 높았으며, 낙엽송은 다른 수종에 비해 galactose의 함량이 상당히 높았다. 2. 각 배지재료의 전처리에 따른 균사생장속도를 측정한 결과, 폭쇄처리와 생물학적 처리시에는 control보다 오히려 균사생장 속도가 느렸으나, 배지를 냉수로 한번 씻어낸 경우에 전반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각 처리를 시간별로 행한 결과 소나무는 온수로 1.5 hr, 낙엽송은 aceton으로 1.0 hr 추출시 균사생장이 가장 빨랐다. 3. 톱밥배지에 첨가하는 미강은 20% 이하가 적합했으나 균사생장에 미치는 효과가 일본에서 개발한 첨가제, BITEL의 약 8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 C/N 비는 유사하나 BITEL이 미강에 비해 xylose와 galactose 함량이 2배 이상 높았다. 4. 톱밥배지에서 표고균사의 생장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C원, N원 첨가효과를 조사한 결과, C원으로는 charcoal 3%, N원으로는 ammonium chloride와 potassium nitrate 0.02%가 좋았다. 5. 톱밥배지에 tannic acid의 첨가는 침엽수 뿐만 아니라 참나무에서도 균사생장에 별 다른 영향을 끼치지 못했으며, 1.5% 이상 첨가시에는 균사 생장이 오히려 지연되었다. 6. 침엽수 톱밥배지에 LSA(lignosulfonic acid)의 첨가효과를 조사한 결과, 소나무에서는 배지 건조중량의 1.5% 이하 첨가시 균사생장이 control보다 약 1.3배 정도 높았으나, 낙엽송 배지에서는 소량의 첨가에도 control보다 균사생장 속도가 느렸다.

  • PDF

The Change of Quality of Fresh Shiitake (Lentinus edodes) in Storage under Controlled Atmosphere Conditions

  • Pujantoro, Lilik;Tohru, Shiga;Kenmoku, Akitsugu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3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Process Engineering
    • /
    • pp.423-432
    • /
    • 1993
  • The changes of quality of Fresh Shiitake (Lentinus edodes) was studied in this research work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low $O_2$ content and high $CO_2$ content, well known as CA Treatment in storage, on the respiration rate and PPO Activity that was the main factor in Shiitake quality decay. CA Condition was conducted in 3 research periods that combined the $O_2$content(1%, 5% and 10%) and $CO_2$ content (5%, 10%, 15% and 20%) and air treatment as the control. The lower $O_2$content was the lower respiration rte that was showed in combination the lower respiration rate that was showed in combination of 20% $CO_2$ and 1% $O_2$ (the lowest), and the control air treatment was the highest . Very low $O_2$ content, conversly, did not show a satisfying result to the product.

  • PDF

한국산 식용버섯의 지방산 조성에 관한 비교 (Comparison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edible mushrooms)

  • 안장수;이규한
    • 환경위생공학
    • /
    • 제2권3호
    • /
    • pp.7-11
    • /
    • 1987
  • 한국산 식용버섯 7종(양송이, 송이, 표고, 느타리 , 싸리 . 능이 , 밤버섯)에 대한 지방산 조성을 GC로서 비교 분석하였다. 1) 모든 버섯의 주된 지방산은 linoleic acid $(71.33-35.53\%)$, oleic acid$(39.69-158\%)$, Palmitic acid $(22.51-7.31\%)$이었다. 2) linoleic acid의 함량은 양송이버섯, 느타리버섯 및 표고버섯에서 가장 높았으나 이들 버섯의 oleic acid의 함량은 바른 버섯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3) myristic acid는 일반적인 지질보다 약간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 PDF

영지와 표고의 융합체의 면역활성 증강작용 (Immunostimulating Activity by Protoplast Fusants between Ganoderma Iucidum and Lentinus edodes)

  • 문철;현진원;김하원;심미자;김병각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8권2호
    • /
    • pp.199-205
    • /
    • 2000
  • On the inter-order protoplast fusants of Lentinus edodes and Ganoderma lucidum was the antitumor activity test performed and the fusant P22 was selected.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cultured mycelia of P22 were purified by DEAE-cellulose chromatographya and the resulting purified fraction was designated as P22A. It was found to be a proteoglycan whose molecular weight was 47 kDa. When examined for immunopotentiation activity, P22A increased the number of colony forming unit in the bone marrow stem cells to 3-folds. It also potentiated the secretion of nitric oxide in activated macrophages to 2-folds. In humoral immune response, it increased the activities of the alkaline phosphatase in differentiated B cells to 1.6-folds and the number of plaque forming cells to 1.8-folds. In cellular immune response, it restored the depressed response of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in tumor bearing mice to normal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P22A have potential to restore the decreased immune activity of the tumor bearing mice to normal level.

  • PDF

표고버섯의 향미관련 성분에 대한 에틸렌옥시드와 감마에너지의 영향 (Effects of Ethylene Oxide and Gamma Energy on the Flavor-Related Components of Mushrooms (Lentinus edodes))

  • 권중호;변명우;정신교;조한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14
    • /
    • 1992
  • 건조 표고버섯의 고유한 향민관련 성분에 대한 Ethylene Oxide와 감마에너지 (5kGy) 처리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건표고의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확인된 1-octen-3-ol(72.8%), 3-octanone(11.5%), dimethyl disulfide(6.7%) 등의 함량은 살균, 살충목적의 EO 훈증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동일 목적의 감마 에너지에 의해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시료의 유리아미노산과 당(Mannitol, arabitol , trehalose) 성분은 비교적 안정하였지만, 훈증처리의 영향이 안정되었다. 그러나 전반적 향미에 대한 관능 시험에서는 대조군과 각 처리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표고버섯 첨가 찹쌀머핀의 최적화 및 품질특성 (Optimization of Sweet Rice Muffin Processing Prepared with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Powder)

  • 김보람;주나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2-21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ake sweet rice muffins with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powder. The process included substituting sweet rice flour for cake flour and adding oak mushroom powder. This study determined the optimal mixing conditions of oak mushroom muffins by adjusting the amounts of oak mushroom powder, whole eggs, and soybean oil. The mixing conditions for the oak mushroom muffins included 3 categories: oak mushroom powder (X1), whole eggs (X2), and soybean oil (X3) by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which was optimiz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Oak mushroom muffin formulation was optimized using rheology. Yellowness (p<0.001) and redness (p<0.05) displayed a linear model pattern, whereas lightness (p<0.05) was represented by a quadratic model. Among the sensory properties, variables that appeared to show significant values such as appearance (p<0.5), texture (p<0.5), and overall quality (p<0.5) were used to identify optimums. The result of mechanical properties showed significant values in gumminess (p<0.5) and chewiness (p<0.5). The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optimum formulation for oak mushroom powder sweet rice muffins was 8.75 g of oak mushroom powder, 235.95 g of whole eggs, and 19.93 g of soybean 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