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gitimacy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19초

Emotional Leadership, Leader Legitimacy, and Work Engagement in Retail Distribution Industry

  • HA, Seonmi;YOUN, SaJean;MOON, Jaese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7호
    • /
    • pp.27-36
    • /
    • 2020
  • Purpose: The study examines how emotional leadership affects employee attitude towards work engagement. Leader legitimacy perception is chosen as the mediating variable to understand the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on employee work engage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research model is based on theory and empirical research findings in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leader legitimac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ager's emotional leadership and employee work engagemen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88 employees of domestic retail distributor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urvey data confirmed the construct, and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a) Emo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 on leader legitimacy; b) Leader legitimacy is positively related to work engagement; c) Leader legitimacy mediate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However, there is no direct effect on work engagement (of employees) from emotional leadership standpoint. Conclusion: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Fostering Public Cooperation with the Police : Testing the Impact of Police Legitimacy

  • Kim, Hyo Jin;Jung, Woo Yeol;Lee, Soo Ch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38-4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police legitimacy on public cooperation with the police. This study consists of obligation to obey, moral alignment, and legality of police actions as factors of police legitimacy. This research employs a survey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police legitimacy and public cooperation with the police. The number of subject of the study is 354 citizens residi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some cities of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study employs a multi-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hree factors of police legitimacy on public cooperation with the police. The effects of the three key factors of police legitimacy- obligation to obey, moral alignment, and legality of police actions-on public cooperation with the police are significant; specifically, legality of police actions is shown to be more effective for nurturing public cooperation than the rest of these factors. The findings also have some implications for how Korean police can foster better relationships with citizens in the communities.

소비자 성향과 패션브랜드 스토리에 나타난 역사길이와 정통성 계승이 브랜드 역사성 인지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in Brand Attitude and Brand Historicity Perception on History Length and Brand Legitimacy Succession in Fashion Brand Stories and Consumer Orientation)

  • 양진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6
    • /
    • 2013
  •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history length and brand legitimacy succession on Brand Historicity (BH) in Fashion Brand Stories and Brand Attitude (BA) with Consumer Orientation (CO). The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where participants were surveyed after reading a manipulated brand story composed of 2 kinds of brand historicity, brand establishment year (150 years, 70 years, and 20 years) and legitimacy succession (legitimacy succession and legitimacy handover).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sub-dimensions of Brand Historicity appeared to be brand uniqueness, traditionality, symbolism, and managerial traits. Second, brand legitimacy succession types influenced the perceptions of BH with CO. Third, brand legitimacy succession types influenced the perceptions of BA1 (rational brand attitude) and BH1 (brand uniqueness), BH2 (brand traditionality) with CO, which were BA's sub-dimension. Forth, the consumer orientations that influenced BH and BA appeared to be nostalgia orientation, conspicuous consumption orientation, and fashion orientation; however, uniqueness pursuit orientations influenced only BH.

고객의 텀블러활용 경험과 사회적 정당성의 관계: 고객감정의 매개역할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Tumbler Experience and Social Legitimacy: The Mediation Effect of Customer Emotion)

  • 윤한성;조상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15-124
    • /
    • 2021
  • 본 연구는 고객의 텀블러활용 경험과 사회적 정당성의 관계에 대한 고객감정의 매개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텀블러를 활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설검증은 구조방정식모형분석법을 활용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고객경험과 사회적 정당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Hoyle and Smith이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경험은 고객감정과 사회적 정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객감정은 사회적 정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객의 텀블러 활용경험, 고객감정, 사회적 정당성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제안하고, 사회적 정당성에 대하여 고객경험과 고객감정이 선행요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으로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The Relationship Among Nepotism, Leader Legitimacy, and Work Engagement: Focus on Distribution Industry

  • KIM, Mikyoung;MOON, Jaese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9권7호
    • /
    • pp.41-50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nepotism on work engagement.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leader legitim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potism and work engagement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236 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22 and AMOS 22. For the assessment of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s, indexes such as TLI, CFI, RMSEA were used. For hypotheses testing, we used SEM method and bootstrapping.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nepotism and the employee's work engagement was not significant. Second, it was revealed that nepotism negatively affects the leader's legitimacy. Third, it was found that a leader's legitim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ees' work engagement. Fourth, leader legitimacy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epotism and employees' work engagement.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effect of nepotism can be changed depending on contingent factors.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accumulation of nepotism theory by demonstrating the process in which nepotism, which has been insufficient so far, affects outcome variables.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기업 명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와 적합성이 위기 시 기업 정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삼성중공업 기름유출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orporate Reputation, Perceived Motivation and Perceived Fi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the Recognition of Corporate Legitimacy in Crisis - Based on the Oil Spill Incidence of Samsung Heavy Industries)

  • 박수정;차희원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5권
    • /
    • pp.496-532
    • /
    • 2009
  • 본 연구는 기업의 존폐가 갈리는 위기상황에서 기업이 필요한 것은 기업의 정당성이라 가정하고, 평상 시 기업의 명성 관리와 사회적 책임 활동 수행이 위기 시 기업의 정당성 확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삼성중공업의 기름유출 사건과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삼성중공업이 발표한 지원대책을 분석사례로 선정하여 성인 32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기업 명성이 기업의 정당성에 미치는 영향,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와 적합성이 기업 정당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기업 명성과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인식 간 상호작용이 기업 정당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했다. 연구 결과, 삼성중공업의 기업 명성은 위기 시 기업의 제도적 정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행동적 정당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정당성에 사회적 책임 활동의 적합성은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기업 명성과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명성과 사회적 책임 활동의 적합성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기업 명성,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 사회적 책임 활동의 책임성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기업의 실용적 차원 정당성에 대한 3요인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평소 명성 관리와 사회적 책임의 이행으로 공중의 요구를 충족시킨 기업의 경우 위기 상황에서도 기업 자체의 존재와 기업의 행동을 지지하고 인정하는 기업 정당성을 더 쉽게 부여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즉, 기업이 위기 상황에서 기업 존재가치와 기업행위의 정당성을 확보하여 효과적으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평소 꾸준한 명성 및 관계 관리와 적극적인 사회적 책임 이행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간섭권한과 패션감각이 남자친구의 패션스타일 통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gitimacy and Fashionability on Females' Control over their Boyfriends' Fashion Style)

  • 성영신;강정석
    • 감성과학
    • /
    • 제18권4호
    • /
    • pp.109-118
    • /
    • 2015
  • 사람들은 자신이 애정을 가지고 있는 중요 타인(예. 자녀, 배우자, 연인)을 또 다른 자기(extended self)라고 생각하고 자신의 자기 개념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이들의 패션 스타일을 통제하려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개념적으로 통제하려는 사람이 지각한 간섭권한 정도와 패션감각 수준이 중요 타인의 패션 스타일 통제 행동에 독립적 또는 상호작용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연애 중인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시나리오를 이용한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20대 여성 실험 참가자가 지각한 남자친구에 대한 간섭권한 정도와 패션감각 수준은 남자친구의 패션 스타일 통제 행동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간섭권한 정도와 패션감각 수준의 지각은 남자친구의 패션 스타일 통제 행동에 상호작용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각한 간섭권한이 높은 경우는 패션감각 수준의 차이에 따른 남자친구의 패션 스타일 통제 행동의 차이가 없는 반면 지각한 간섭권한이 낮은 경우는 패션감각 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남자친구의 패션 스타일 통제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SG 경영의 정당성 확보와 기부금 지출 수준의 관계 : 가족임원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Management Legitimacy and Corporate Giving: the Moderating Role of Family Executives)

  • 이경환;서정일;남윤성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63-77
    • /
    • 2022
  • 본 연구는 최근 중요한 이슈로 등장한 ESG 경영을 통한 기업의 정당성 확보 여부가 해당 기업의 기부금 지출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있다. 제도론 측면에서 보면 ESG 경영은 전 세계적으로 이미 제도화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ESG 경영을 적절하게 수용하고 순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된 기업들의 경우 기업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인 사회적 정당성(social legitimacy)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부금 지출 수준을 높일 것이라 주장한다. 또한 본 연구는 조직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TMT의 구성에 있어서 가족임원의 역할에 주목하여, 조직과 자신을 동일시하고 후손에게 기업을 물려주고자 하는 동기로 인하여 조직의 장기적 생존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족임원의 수가 많아질수록, ESG 경영 활동의 정당성이 미확보된 기업이 기부금 지출 수준을 높이는 효과가 보다 강화할 것이라 주장한다. 실증연구결과 두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벤처기업의 사회적정당성과 성과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Legitimacy and Performance in Venture Businesses)

  • 박찬우;최창범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5호
    • /
    • pp.61-74
    • /
    • 2021
  • 본 연구는 벤처기업에 대하여 인식된 사회적정당성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특히, 사회적정당성을 벤처기업의 특성에 맞추어 과거경력, 조직역량, 시장관련, 정부관련 정당성으로 구분하여 벤처기업의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국내 벤처기업 300개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정당성이 벤처기업의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즉, 벤처기업 임직원의 창업경력 등 과거 과거경력과 우수 인재 보유 등 높은 조직역량, 차별화된 상품제공에 따른 시장 및 소비자들로부터의 신뢰, 외부 투자자들과 정부로부터의 자원 획득이 이해관계자들인 투자자들로부터 정당성을 부여받아 벤처기업의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사회적정당성을 부여받아 벤처기업을 운영한다면 기업의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기존 사회학적 연구를 경영학적 연구로 확대하여 벤처기업의 실질적인 성과에 대한 영향 관계를 측정함으로써 생존을 위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는 시사점이 있다.

Mediating Effect of Cooperation with the Police on Compliance with the Law in Model of Procedural Justice and Police Legitimacy

  • Seo, Bojun;Lee, Sooch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1호
    • /
    • pp.15-22
    • /
    • 2018
  •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operation with the police on compliance with the law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police legitimacy and criminal deterrence. This research employs a survey questionnaire to evaluate procedural justice, police legitimacy, cooperation with the police, and compliance with the law. The number of subject of the study is 312 citizens residing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some cities of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study employs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using AMOS 24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cooperation with the police on compliance with the law. As the result of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cooperation with the police on compliance with the law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level 0.01.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is that in the community-based policing, cooperation with the police and compliance with the law are very important determinants in controlling and deterring crimes and the police need to reinforce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residents to reduce crimes through strengthening the willingness of compliance with the 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