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gal justice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1초

Differentiation of Legal Rules and Individualization of Court Decisions in Criminal, Administrative and Civil Cases: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Methods

  • Egor, Trofimov;Oleg, Metsker;Georgy, Kopanits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2호
    • /
    • pp.125-131
    • /
    • 2022
  •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criminal, administrative and civil cases resolved by the courts makes it difficult to develop universal automated tools for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justice. However, big data generated in the scope of justice gives hope that this problem will be resolved as soon as possible. The big data applying makes it possible to identify typical options for resolving cases, form detailed rules for the individualization of a court decision, and correlate these rules with an abstract provisions of law. This approach allows us to somewhat overcome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abstract and the concrete in law, to automate the analysis of justice and to model e-justice for scientific and practical purposes. The article presents the results of using dimension reduction, SHAP value, and p-value to identify, analyze and evaluate the individualization of justice and the differentiation of legal regulation. Processing and analysis of arrays of court decisions by computational methods make it possible to identify the typical views of courts on questions of fact and questions of law. This knowledge, obtained automatically, is promising for the scientific study of justice issues, the improvement of the prescriptions of the law and the probabilistic prediction of a court decision with a known set of facts.

잉글랜드와 웨일즈의 공공질서 관리 관련 법적 틀 및 법집행 형태 (Legal framework and practices of public order management in England and Wales)

  • 정제용
    • 시큐리티연구
    • /
    • 제54호
    • /
    • pp.203-222
    • /
    • 2018
  • 공공질서 관리는 형사 사법 제도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법적 틀과 정책에 기반하여 영국 잉글랜드와 웨일즈의 형사 사법 기관들의 공공질서 관리 관련 법집행 형태를 평가하고자 한다. 질적 인터뷰를 통해, 다음의 4가지 주제를 발견하였다. (1) 집회시위권에 대한 강조, (2) 공공질서 관리에 대한 경찰 법집행 형태, (3) 경찰/검찰의 협업, 그리고 (4) 비디오 증거의 가치.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법적, 정책 및 법집행 관련 함의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함의는 경찰과 검찰의 협력뿐만 아니라 경찰의 전략적, 운영적, 전술적 개입에 관한 다양한 측면을 포함하고 있다. 잉글랜드와 웨일즈의 형사 사법 제도의 맥락은 한국과 다르지만, 일부 법집행 형태와 우수한 점은 한국적 맥락에서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형사 사법 정부 기관간에 법률, 정책 및 법집행이 전체론적으로 조정되고 접근될 수 있다면 더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스웨덴 법무보호복지제도 연구 (A Study on the Criminal Justice Rehabilitation System of Sweden)

  • 권준성;공정식;현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506-514
    • /
    • 2022
  • 형벌을 중심으로 처벌을 통해 재범을 억제하고자 하는 방식은 다수국가들의 형사정책 연구를 통해 그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지역사회구성원과 피해자, 가해자의 화해와 조정을 통해 범죄자가 사회의 일원으로 복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회복적 사법이 범죄 및 재범방지의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고 있다. 스웨덴은 대표적인 복지국가이자 회복적 사법에 기반한 범죄자 교정을 통해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고 있다. 또한, 법무보호복지제도와 관련해 안정된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운영프로그램의 평가와 인증 과정에서 증거기반의 원칙을 활용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운영으로 낮은 재범률과 사회보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스웨덴을 비롯한 복지 및 교정 선진국에서 시행되는 법무보호복지제도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웨덴의 범죄정책과 법무보호복지제도에 관한 고찰을 통해 국내 법무보호복지제도가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고 국내 제도의 미진한 영역 및 보완점을 파악하여 국내 법무보호복지제도의 개선 및 사업 확대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텔레비전드라마에 나타난 사회 정의와 공동선에 관한 연구 -박혜련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Justice and Common Good in Television Dramas - With a Focus on Works by Park Hye-ryeon)

  • 박상완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2호
    • /
    • pp.73-116
    • /
    • 2019
  • 최근 텔레비전드라마에서는 판타지를 경유하여 정의로운 사회를 상상하는 방식이 대두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경향을 선도하고 있는 박혜련 작가의 <너의 목소리가 들려>, <피노키오>, <당신이 잠든 사이에>에 나타난 사회 정의의 양상을 단계적으로 고찰한 글이다. <너의 목소리가 들려>는 사법정의가 무너진 사회를 배경으로 하여 사회 정의가 왜 필요한지를 말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무너진 사법정의는 민주주의 사회의 시스템이 근본에서부터 무너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로 인해 수많은 소시민들의 고통이 양산되고 사회 정의는 이런 문제적 현실의 대안으로써 요청되기 시작한다. 또한 타인의 생각을 읽는 초능력은 진실과 믿음의 가치를 상기시키고, 진심이 지닌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을 사회 정의의 측면에서 제시하게 된다. 다음 작품인 <피노키오>는 언론정의가 왜곡된 사회를 배경으로 하여 사회 정의에 대한 사유의 전환을 시도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부패한 언론정의는 진실을 호도하고 권력에 기생하면서 억울한 피해자들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황에서 거짓말을 하면 딸꾹질을 하는 피노키오 증후군은 오히려 진실이 왜곡될 수 있음을 역설적으로 보여주고, 궁극적으로는 진실이 지닌 절대성을 해체시킨다. 마지막 작품인 <당신이 잠든 사이에>는 전작들의 세계관을 이어받아 공동선이라는 사회 정의를 대안으로 제시하는 작품이다. 사법정의가 무너지고 언론정의가 왜곡되면서 완전한 부정사회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래를 보는 능력은 가능성의 세계를 상상하는 능력이라 할 수 있고, 타인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이뤄지는 이타적인 선택은 긍정적인 미래를 실현시키게 된다. 주체들의 시공을 초월한 연대를 가능케 하는 이러한 공동선으로서의 사회 정의는 부정사회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된다. 최근 한국사회의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이러한 공동선과 그러한 삶의 방식은 말 그대로 판타지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현존하는 사회의 문제를 극복하고 보다 나은 미래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과 재구축의 과정이 사회 정의를 의미한다고 할 때, 타자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하는 공동선은 오히려 문제적인 현실을 근본에서부터 개선하는 대안이 될 수 있다. 결국 박혜련 작가의 세 작품은 아직은 오지 않은 정의사회의 실현 가능성을 공동선의 측면에서 타진하는 작품들이라고 할 수 있다.

형사사법정보시스템(KICS)의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 (Study on the Korea Information System of Criminal Justice Services)

  • 신성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41-147
    • /
    • 2015
  • 형사사법정보시스템(KICS)는 형사사법절차의 전자화를 촉진하여 신속 공정하고 투명한 형사사법절차를 실현하고자 하는 목표 하에 시행되고 있다. 그리하여 형사사법 분야의 대국민 서비스를 개선하여 국민의 권익신장을 위해 형사사법포털을 구축하여 운영되고 있다. 2008년 법원이 사법부의 독립적 기능 침해 및 개인정보보호를 우려하여 반대하면서 사법부와 타 기관간의 독자적 시스템 운영과 연계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형사사법정보시스템은 첫째, 단일 형사사법기관에서 서류 작성하여 형사사법기관 간 문서교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원가를 절감시킴으로써 사무생산성을 향상, 둘째, 전자문서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의사결정 과정이 단순화 신속화하고, 문서 접수에서부터 편철 및 보존에 이르는 문서처리절차가 비약적으로 축소되어 업무개선을 통한 조직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 셋째, 전자문서를 이용하게 되면 정보의 축적이 용이하고, 다양한 정보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어 국민에 대한 정보제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열린 정부의 실현을 촉진할 수 있으며, 형사사법체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전자통합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형사사법체계 전반의 업무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장점과 평가를 받고 있다.

Intellectual Property Disputes in the Era of the Metaverse: Complexities of Cross-Border Justice and Arbitration Consideration

  • Kye Hwan Ryu;Choong Mok Kwak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33권3호
    • /
    • pp.147-175
    • /
    • 2023
  • The emergence of the metaverse, a complex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has led to significant changes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IP) landscape. This paper examines the challenges and legal intricacies of IP within the virtual realm, focusing on the unprecedented nature of these disputes and on the inadequacies of traditional jurisdiction methods. Drawing from international frameworks, including the International Law Association's Guidelines and WIPO's guides, the study critically explores arbitration as an alternate approach to metaverse IP disputes, analyzing its complexities and applicability. The paper further delves into challenges arising from diverse protection laws that pertain to the global nature of the metaverse, including the nuances of various digital assets like NFTs. By assessing jurisdictional difficulties, the paper addresses the adoption of decentralized justice platforms, and examines the role of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methods, this paper presents a comprehensive view of the evolving virtual legal field. It suggests that while innovative methods are emerging, traditional arbitration will likely remain the preferred choice for complex disputes, offering a balance of speed, cost-effectiveness, and legal robustness within the virtual world.

Electronic Proceedings in Modern Legal Conditions

  • Veselovska, Nataliia;Slipeniuk, Vasyl;Yasynok, Dmytro;Zhukevych, Ihor;Gorbenko, Ari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8호
    • /
    • pp.224-228
    • /
    • 2021
  • The article is devoted to the problems and prospects of integration of informational technologies in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as a necessary component of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al society in Ukraine. In general, informational technologies make it possible to create new forms of organization and interaction of bodies of public authorities with society, to introduce innovative solutions for legal regulation and organization of public relations. More and more services for citizens are moving to electronic format. Judicial reform is aimed at ensuring more comfortable and convenient interaction with the courts. The need for the usage of informational technology in the proceedings is preconditioned by the global informatization of modern society, the development of new forms of interaction in the civil sphere with the usage of electronic means of communication: the global Internet, mobile, and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and more. "Electronic justice" involves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e implementation of procedural law.

형사사법정보의 빅데이터 활용방안 연구: 구조화 범주화 관점으로 (A Study on the Use of Criminal Justice Information Big Data in terms of the Structuralization and Categorization)

  • 김미령;노윤주;김성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3-277
    • /
    • 2019
  •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데이터의 중요성은 심화되고 있으나, 개인정보보호 등의 문제로 데이터의 활용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다. 형사사법정보는 범죄 예측 및 예방, 범죄수사 과학화, 양형합리화 등 다양한 활용가치가 예상됨에도 현재 개인정보보호와 형사사법정보 관련 법률적 해석 문제로 활용이 상당히 제한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형사사법정보의 구조화·범주화를 통해 '범죄데이터'로 전환하여 빅데이터로서 활용하도록 제안하였으며, '범죄데이터' 활용시 법률적 문제, 활용가치, 데이터 생성 및 활용시 고려사항을 전문가를 통해 검증하고 향후 전략적 발전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범죄데이터'는 개인정보보호문제는 해결된 것으로 보여지나, 형사사법정보 관련법에 명시할 필요는 있으며, 빅데이터 활용을 위해 분석 가능하도록 표준화된 형태로 정리되는 것이 시급함이 밝혀졌다. 향후 진행방향으로는 데이터 요소 도출, 용어사전 시소러스 구축, 데이터 등급화를 위한 개인민감정보 정의 및 등급지정, 비정형데이터의 정형화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 등을 제시하였다.

A Methodology of Automated Analysis and Qualitative Assessment of Legislation and Court Decisions

  • Trofimov, Egor;Metsker, Oleg;Kopanitsa, Georgy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229-235
    • /
    • 2022
  • This study aims to substantiate an interdisciplinary methodology for automated analysis and qualitative assessment of legislation and court decisions. The development of this kind of methodology will make it possible to fill a number of methodological gaps in various research areas, including law effectiveness assessment and legal monitoring. We have defined a methodology based on the interdisciplinary principles and tools. In general, it should be noted that even at the level of qualitative assessment made with the use of the methodology described above,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egal objectives, indicators and computer methods of their identification can reduce the role of expert knowledge and subjective factor in the process of assessment, planning, forecasting and control over the state of legislation and law enforcement. Automation of intellectual processes becomes inevitable in a digital society, but, releasing experts from routine work, simultaneously reorients it to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methods and control over their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