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vegetables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35초

국내유통 채소류 및 과일류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분석 (Determining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domestic vegetables and fruits)

  • 하수정;오남수;김수연;이효민
    • 분석과학
    • /
    • 제19권5호
    • /
    • pp.415-421
    • /
    • 2006
  • 채소류 및 과일류 중 PAHs 분석방법을 확립하고 오염실태 파악을 위하여 서울, 춘천, 대전, 광주, 부산의 5대 도시 시장에서 채소류 13종, 과일류 5종 총 210건을 채취하였다. 균질화된 시료를 dichloromethane으로 초음파추출하고 탈수한 후 Sep-Pak Florisil Cartridge로 정제하여 HPLC/FLD로 동시 정량 분석하였다. 시료에 표준물질을 spike하여 전처리 후 기기분석한 결과, 각각의 PAH에 대한 회수율은 약 95~102%였으며, 검출한계는 PAH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0.002~0.5 ng/g 수준이었다. 채소류 및 과일류 중 8가지 총 PAHs의 평균 함량은 0.19 ng/g이었으며 개별 평균 PAH 함량은 benzo(a)anthracene 불검출, chrysene 0.014 ng/g, benzo(b)fluoranthene 0.031 ng/g, benzo(k)fluoranthene 0.016 ng/g, benzo(a)pyrene 0.019 ng/g, dibenzo(a,h)anthracene 0.091 ng/g, benzo(g,h,i)perylene 0.016 ng/g, indeno(1,2,3-c,d)pyrene 불검출 수준이었다.

모관양액공급시스템을 이용한 네트멜론 및 엽채소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Net melon and Leaf vegetables to used the Capillary Supplying System)

  • 장전익;김성배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33
    • /
    • 2003
  • 최근 건강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감에 따라 농산물의 안정성 요구도가 증가되고 있으며 환경농업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고, 서구식 식문화의 급속한 도입으로 패스트푸드 식품과 육류 소비량의 증가로 신선채소의 소비가 증가되고 있는데 이에 따른 생산비 절감과 안정생산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양액 공급에 따른 전력 등 에너지가 필요치 않고 일종의 폐쇄식 수경재배 방법으로써 작물이 주위 환경에 따라 양수분 흡수량이 다르므로 모세관 현상으로 배지내의 수분이 작물의 흡수한 만큼 공급되어 이용되고 배액이 없으므로 공해의 염려가 없고 고품질 채소의 저비용 생산이 가능한 새로운 모관양액공급시스템을 이용하여 양액공급시스템의 효율성을 검정하고 네트멜론과 몇 가지 엽채소의 생육특성을 구명코자 수행하였다. (중략)

  • PDF

들깻잎에서 동정한 Phytol의 항암 및 면역활성증강 효과 (Antitumor Activity of Phytol Identified from Perilla Leaf and its Augmentative Effect on Cellular Immune Response)

  • 김광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4호
    • /
    • pp.379-389
    • /
    • 1993
  •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extracts from yellow-green vegetables reveal antitumor activiti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hytol in order to elucidate the immunological mechanism of antitumor activity of this substanc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as follows: 1) Phytol showed cytotoxic effect on sarcoma 180 cells in vitro. 2) When phytol was injected into the peritoneal cavity of mice transplanted with sarcoma 180 cells, the average survival time (24.0 days) tended to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nontreated control (19.2 days). 3) When sarcoma 180 cells were injected subcutaneously into the right groin of mice, and then phytol was injected into the peritoneal cavity, the tumor inhibition ratio was 33%. 4) The natural killer(NK) cell activity was significantly augmented by phytol in vitro and in vivo. Similar augmentations of NK cell activity were obtained with culture supernatants of phytol exposed spleen cells and peripheral blood mononuiclear cells. 5) Phytol on the macrophage from peritoneal cavity showed a higher effectiveness in vivo than in vitro.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hytol shows the inhibitory effect for growth of sarcoma 180 cells in vitro, also it can augment macrophage and NK cell activities in vivo.

  • PDF

식물 공장용 자동 상추 수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Lettuce Harvesting System for Plant Factory)

  • 조성인;류관희;신동준;장성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3권6호
    • /
    • pp.629-634
    • /
    • 1998
  • Factory-style plant production system aims to produce the standardized horticultural products with high quality and cleanness. In Korea, researches for year-round leaf vegetables production system are in progress and the most of them are focused on environment control. Automating technologies for harvesting, transporting and grading need to be developed. A lettuce harvesting system applicable to the plant factory was studied. It was composed of an articulated robot with a cutter and a gripper, lettuce feeding conveyor and air blower. Success rate of the developed system was 94.7 %. The system carried out harvesting a lettuce smoothly and the harvesting time was about 6 seconds per lettuce. The results showed a feasibility of robotic lettuce harvesting.

  • PDF

Seedling Rot of Kamchatka Goatsbeard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1(IB)

  • Wan-Gyu Kim;Gyo-Bin Lee;Hong-Sik Shim;Weon-Dae Cho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57-360
    • /
    • 2022
  • In July 2021, we surveyed diseases affecting wild vegetables grown in Hongcheon, Gangwon Province, Korea. During this survey, we observed severe seedling rot symptoms in Kamchatka goatsbeard (Aruncus dioicus) grown in a vinyl greenhouse. The incidence of the disease in the plant seedlings was 1-10%. Diseased seedlings from this population were collected, and fungi were isolated from leaf and petiole lesions. Rhizoctonia sp. was consistently isolated from the lesions. We examined the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nastomosis groups of nine Rhizoctonia sp. isolates obtained from the les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isolates corresponded to Rhizoctonia solani AG-1(IB). Three isolates of R. solani AG-1( IB)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ir pathogenicity towards Kamchatka goatsbeard seedlings through artificial inoculation. The tested isolates caused rot symptoms on the inoculated plant seedlings. The symptoms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plant seedlings from the vinyl greenhouse. We found that R. solani AG-1(IB) caused seedling rot of Kamchatka goatsbeard.

임간재배 시 병풍쌈 유묘의 차광처리별 생장 및 생리 반응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Cacalia firma Seedlings by Shading Conditions in Forest Farming)

  • 윤준혁;전권석;송기선;박용배;문용선;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1호
    • /
    • pp.65-71
    • /
    • 2014
  • 병풍쌈(Cacalia firma)은 병풍취라고도 하며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되어있다. 웰빙 삶을 위한 생활식습관의 변화에 따라 기능성 식품과 유기농 채소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병풍쌈 임간재배를 위한 적정 광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1년생 병풍쌈에 대해 차광망을 이용하여 4가지 광조건 25%, 55%, 75%와 95% 차광처리(전광의 50%, 30%, 20%, 10% 상대광도)와 대조구(전광)에서 생육 후 초기 생장과 생리적 반응을 조사 분석하였다. 75% 차광처리구는 대조구와 비슷한 초장, 뿌리생육과 함수율을 보였으나, 잎의 길이, 폭과 면적이 증가하여 엽 건중량과 총 건중량이 증가하였다. 특히 95% 차광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근원경과 뿌리길이는 감소하였으며 총 건중량도 감소하였으나, 초장이 약 40% 증가 하였으며 엽 생육과 함수량 또한 증가하였다. 엽면적비(specific leaf area; SLA)와 엽면적률(leaf area ratio; LAR)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며 대조구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나 잎의 두께가 얇고 수광면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병풍쌈은 낮은 광조건에서도 원활한 탄소동화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병풍쌈의 임간재배를 통한 적정 광요구는 차광처리 75~95%(상대광도 10~20%)로 조사되었으며, 산채류로써의 상품성을 고려할 때 임간지역에서 75% 이상 차광재배 함으로써 식감과 생산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결과는 병풍쌈의 임간재배 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Bio-com)시용(施用)이 상치와 쑥갓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Leaf Lettuce and Garland Crysanthemum)

  • 김정제;조병옥;이상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9-177
    • /
    • 1987
  • 균체유기질비료(菌體有機質肥料)(Bio-com.)의 시용(施用)이 상치와 쑥갓의 생육수량(生育收量)과 토양(土壤)의 화학성(化學性)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고자 중동통의 미사질토양(微砂質土壤)을 공시(供試)하여 Pot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상치와 쑥갓 공(共)히 Bio-com.시용(施用)으로 엽수(葉數), 초장(草長), 엽면적(葉面積)과 근장(根長)의 생육(生育)이 양호(良好)하였다. 2. Bio-com. 시용구(施用區) 모두가 3요소(要素)+퇴비구(堆肥區)에 비하여 123~1,170%의 증수(增收)를 보였고 Bio-com. 2,250kg/10a시용구(施用區)에서 가장 증수(增收)하였다. 3. Bio-com. 시용구(施用區)는 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에 비하여 비효(肥效)의 발현속도(發現速度)가 빠른 경향이었다. 4. Bio-com. 시용구(施用區)의 식물체중(植物體中)에는 $K_2O$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N, $P_2O_5$ 및 MgO의 함량(含量)은 현저히 많이 흡수(吸收)됐다. 5. Bio-com. 시용(施用)한 쑥갓 식물체중(植物體中)에는 N, $P_2O_5$와 MgO의 함량(含量)이 높았다. 6. Bio-com. 시용(施用)으로 토양중(土壤中) $P_2O_5$의 함량(含量)이 가장 높았으며 pH, Ca와 Mg의 함량(含量)도 높았다.

  • PDF

채소류의 전통조리법에 의한 이화학적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egetables by Korean Traditional Cooking Methods)

  • 안명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7-188
    • /
    • 1999
  • 15종의 채소류를 생채, 데침, 찜, 끓임, 볶음 조림할 때 Vit.A, Niacin, AsA 및 P, Fe, Mg, Ca, Na, K의 잔존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생채에서 Vit.A는 도라지, 상추, 오이의 잔존량이 높은 반면 무는 50%로 가장 낮았고 Niacin과 AsA는 전반적으로 잔존율이 높았으며 무, 상추, 돌나물, 오이, 들깻잎에서는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에서는 P은 도라지, 양배추, 상추에서, Fe은 도라지, 양배추, 돌나물에서, Mg과 Ca은 도라지, 상추, 돌나물에서 K은 양배추와 상추에서 잔존율이 높았다. 2. 데침시에 Vit.A는 콩나물, 숙주에서, Niacin는 콩나물, 숙주, 들깻잎에서 잔존율이 높았으나 AsA는 다른 비타민에 비하여 잔존율이 크게 떨어졌다. 무기질은 P은 참취, 콩나물, 숙주에서, Fe은 참취, 숙주, 시금치에서, Mg은 들깻잎에서, Ca은 시금치, 들깻잎에서, Na은 시금치에서, K은 무, 들깻잎에서 잔존율이 높은 편이었다. 3. 찜에서 Vit.A는 양배추에서, Niacin은 가지, 양배추, 들깻잎, 오이에서, AsA는 무, 양배추, 오이에서 잔존율이 높았으며 잔존율이 아주 낮은 것은 Vit.A에서의 무와 들깻잎, AsA는 들깻잎이었다. 무기질 중 P은 양배추, 오이, 들깻잎에서, Ca은 양배추, 오이, 무에서, Na은 무, 오이, 양배추에서, K은 들깻잎, 양배추에서 잔존율이 높았다. 한편, 무기질의 잔존율이 아주 낮은 것은 Fe은 호박, 가지에서, Mg은 호박에서, Ca과 Na은 들깻잎에서, K은 가지이었다. 4. 끓임시에 Vit.A는 콩나물, 숙주에서 Niacin은 콩나물, 참취, 숙주에서 잔존율이 높은 반면 AsA는 대체로 50%이하의 낮은 잔존율을 보였다. 극히 저조한 잔존율을 보인 것은 Vit.A의 무, 호박, 참취, 시금치, AsA의 시금치, 호박, 참취, 숙주이었다. 무기질에서 P은 숙주, 호박, 참취에서, Fe은 시금치, 무, 숙주에서, Mg은 참취, 무에서 Ca은 호박, 시금치에서 잔존율이 높았고 Na와 K은 이들에 비해 잔존율이 낮은 편이었다. 그중, 극히 낮은 잔존율을 보인 것은 Fe에서 콩나물, 호박, Mg에서 시금치, 콩나물, 숙주, Na에서 콩나물, K에서 콩나물, 시금치이었다. 5. 볶음시에 Vit.A는 도라지, 당근, 시금치에서 Niacin은 도라지에서 AsA는 가지에서 잔존율이 높은 편이나, 무, 참취에서는 Niacin이 무, 참취, 도라지에서는 AsA의 잔존율이 아주 낮았다. P은 호박, 참취, 도라지, 당근에서 Fe은 참취, 도라지에서 Mg은 참취, 도라지, 당근, 호박에서 Ca과 Na은 도라지, 당근, 오이에서 K은 호박, 참취, 도라지, 당근에서 잔존율이 아주 낮았으며 가지는 모든 무기질의 잔존율이 아주 낮았으며 그 외 호박에서는 Fe이, 돌나물에서는 K이 극히 낮은 잔존율을 보였다. 조림시에는 Vit.A는 우엉에서, Niacin은 무, 우엉 모두 잔존율이 높은 반면 AsA는 둘다 낮은 편이었다. 무기질은 무에서 Fe, Ca, Na, K과 우엉에서는 Na, P, K의 잔존량이 높은 반면 우엉에서 Fe의 잔존율이 극히 낮았다. 6. 각종 조리시 비타민과 무기질의 잔존상태가 전체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인 채소의 순서는 사용된 횟수에 차이가 있으나 도라지>들깻잎, 양배추>무, 오이>참취, 상추>숙주>시금치, 우엉, 돌나물>당근, 호박>콩나물>가지로 나타났으며, 조리법 중에서 잔존율이 좋은 것은 비타민의 경우는 생채이었고 무기질은 생채, 볶음, 조림이었다. 또한 Vit.A는 생채, 볶음, 조림에서 Niacin은 생채, 조림, 찜에서 AsA는 생채에서 잔존율이 좋았으며 P은 볶음, 생채에서, Fe은 생채, 데침, 끓임, 조림, 볶음에서 Mg은 생채, 조림, 볶음에서 Ca은 생채, 찜, 끓임, 조림, 볶음에서 Na은 조림, 볶음에서 K은 생채, 조림, 볶음에서 잔존율이 좋은 편이었다.

  • PDF

시판젓갈류와 채소류중의 질산염 및 아질산염함량 (Nitrate and Nitrite Content of Some Fermented Sea Foods and Vegetables)

  • 이응호;김세권;전중균;정숙현;차용준;김수현;김경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7-153
    • /
    • 1982
  • 우리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젓갈류 및 채소류의 질산염 및 아질산염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젓갈류에 있어서 절신염의 함량은 $0.74\sim13.81\;ppm$으로서 종류에 따라 차이가 많았다. 아질산염 함량은 자리돔젓, 새우젓, 꼴뚜기젓, 멸치젓 및 명란젓에서는 소량 검출되었고 갈치젓과 창란젓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채소류에 있어서 엽채류의 질신염 함량은 근채류, 과채류에 비해 그 함량이 많았고 특히 상치는$1,320\sim1,412\;ppm$, 배추는 1,572.5 ppm으로서 가장 높았고 부추, 파 및 들깨잎등은 $5\sim219\;ppm$으로서 함량이 낮았다. 과채류의 질산염함량은 가지가 $109.1\sim373.1\;ppm$으로서 다소 높았으나 마늘, 고추 및 토마토에서는 각각 35.1 ppm, 4.09 ppm 및 $4.2\sim7.1\;ppm$으로서 채소류중 그 함량이 낮았다. 아질산염함량은 양배추3.8ppm, 상치 $2.5\sim2.9\;ppm$으로서 비교적 높았으나 배추, 고추, 들깨잎, 마늘 및 우엉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채소류의 부위별 질산염함량은 배추가 속부분이 210ppm, 겉부분이 682ppm으로서 녹색이 진한 겉부분에 그 함량이 많았으며 미나리는 줄기부분이, 파는 잎부분이 질산염함량이 많았는데 채소류의 증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질산염함량은 4일간 저장중 큰 변화는 없었으며, 저온저장과 정온저장한 것을 비교해 보면 상치, 호박 및 시금치등은 저온에서 저장한 것이 높았으며가지, 파등은 상온저장한 것이 함량이 높았다. 본 연구는 부산수산대학 부설 수산식품연구소 1981등도 사업의 일부임.

  • PDF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Chinese Cabbages [B. campestris (syn. rapa) L.] and Cabbages (B. oleracea L.) in Korea

  • Sun, Yan-Lin;Zheng, Shi-Lin;Park, Kyong-Cheul;Choi, Ki-Young;Kang, Ho-Min;Hong, Soon-Kwa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2호
    • /
    • pp.294-304
    • /
    • 2016
  • Members of the genus Brassica, which are known as oil crops or cruciferous vegetables, are widely cultivated in Canada, Australia, Asian and Europe. Because Brassica species have high yields, are well adapted to their environments, and are self-incompatible, the germplasm is abundant.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abundant genetic diversity even within Brassica subspecies. In Korea, fresh cabbage leaves are eaten with roast meat, and to meet the current popular demand, new varieties are being increasingly bred. To determine the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s among the cabbage vegetables in Korea, we evaluated the genetic variation of 18 accessions based on 5S and 18S ribosomal RNA (rRNA) gene sequences. We detected many variable nucleotide sites, especially in the 5S rRNA gene sequences. Because the length of the 18S rRNA gene might influence the dissimilarity rate statistics, we used both the 5S and 18S sequences to analyz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S7 (B. oleracea) showed the most distant phylogenetic relationship with the other Brassica species. Interestingly, B2 (B. oleracea), B15, and B18 (B. campestris) have three different types of leaf profiles, and were divided into one group, and the other Brassica species formed another group. Statistical analysis of interspecies and intraspecies genetic distances revealed that B. campestris L. showed higher genetic diversity than B. oleracea L. This work provides additional data that facilitates the evaluation of the genetic variation and relationships among Brassica species. The results could be used in functional plant breeding programs to improve Brassica cro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