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thickness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3초

범프로 지지되는 다엽 포일을 갖는 가스 포일 베어링의 성능 해석 (Performance Predictions of Gas Foil Bearing with Leaf Foils Supported on Bumps)

  • 김태호;문형욱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4권3호
    • /
    • pp.75-83
    • /
    • 2018
  • Microturbomachinery (< 250 kW) using gas foil bearings can function without oil lubricants, simplify rotor-bearing systems, and demonstrate excellent rotordynamic stability at high speeds. State-of-the-art technologies generally use bump foil bearings or leaf foil bearings due to the specific advantages of each of the two types. Although these two types of bearings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there are very few studies on leaf-bump foil bearings, which are a combination of the two aforementioned bearings. In this work, we illustrate a simple mathematical model of the leaf-bump foil bearing with leaf foils supported on bumps, and predict its static and dynamic performances. The analysis uses the simple elastic model for bumps that was previously developed and verified using experimental data, adds a leaf foil model, and solves the Reynolds equation for isothermal, isoviscous, and ideal gas fluid flow. The model predicts that the drag torques of the leaf-bump foil bearings are not affected significantly by static load and bearing clearance. Due to the preload effect of the leaf foils, rotor spinning, even under null static load, generates significant hydrodynamic pressure with its peak near the trailing edge of each leaf foil. A parametric study reveals that, while the journal eccentricity and minimum film thickness decrease, the drag torque, direct stiffness, and direct damping increase with increasing bump stiffness. The journal attitude angle and cross-coupled stiffness remain nearly constant with increasing bump stiffness. Interestingly, they are significantly smaller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values obtained for bump foil bearings, thus, implying favorable rotor stability performance.

임간재배지에서 상대광도에 따른 병풍쌈의 생장 및 엽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and Leaf Characteristics of Parasenecio firmus by Different Relative Light Intensity in Forest Farming)

  • 송기선;전권석;윤준혁;김창환;박용배;김종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5-300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duce more Parasenecio firmus in forest farming.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it was surveyed the growth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P. firmus. Relatively light intensity was controlled by 100%, 60%, 30% and 5% of full sunlight. Height was the highest under 5% of full sunlight. Shoot diameter was the highest in full sunlight. Fresh weight (leaf, stem, root and total) and dry weight (leaf, root and total) were the highest under 30% of full sunlight. S (leaf+stem)/R (root) ratio was the lowest under 30% of full sunlight and the highest under 5% of full sunlight. In leaf characteristics, leaf area, SLA and LAR were getting higher in the lower light level and the highest under 5% of full sunlight ($176.1cm^2$, $420.5cm^2{\cdot}g^{-1}$ and $123.5cm^2{\cdot}g^{-1}$). Especially, leaf area was surveyed higher under 30% of full sunlight in the next. Leaf thickness was getting lower in the lower light level and the lowest under 5% of full sunlight (overall 0.14~0.24 mm).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whole experiment, P. firmus grows well under 30% and 5% of full sunlight in forest farming.

수집 쑥속 자원의 생육특성 모형 (Growth Characteristic Models of Collected Artemisia Resources)

  • 유주한;조흥원;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67-373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쑥속 자원에 대한 생육인자간 상관성 구명과 생육인자 모형 개발을 위해 수행하였다. 생육인자의 특성에서 초장 초폭, 엽병장, 엽록소량은 더위지기, 엽장은 넓은잎외잎쑥, 엽폭은 쑥, 줄기직경은 뺑쑥, 엾두께는 더위지기, 쑥, 산쑥, 넓은 잎외잎쑥, 그늘쑥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생육인자 간 상관분석 결과 사철쑥은 엽폭과 줄기직경, 산쑥은 초장과 초폭, 넓은잎외잎쑥은 초장과 엽폭, 나머지 종들은 엽장과 엽폭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생육인자 모형 분석 결과 사철쑥은 약 $79.4\%$, 쑥은 약 $91.7\%$, 산쑥은 약 $70.3\%$, 더위지기는 약 $49.0\%$, 넓은잎외잎쑥은 약 $72.5\%$, 그늘쑥은 약 $75.0\%$, 뺑쑥은 약 $60.4\%$, 덤불쑥은 약 $54.4\%$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an Ethanol Extract of The Leaf and Stem of Aralia cordata

  • Jang, Ji Yeon;Seong, Yeon He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0권4호
    • /
    • pp.301-305
    • /
    • 2014
  • The aim of our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an ethanol extract of the leaf and stem of Aralia cordata. Writhing responses induced by acetic acid, tail immersion test, and formalin-induced paw pain response for nociception and formalin-induced paw edema for inflammation were evaluated in mice. A. cordata (50 - 200 mg/kg, p.o.) and ibuprofen (100 mg/kg, p.o.), a positive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inhibited the acetic acid-induced writhing response, but they did not protect the thermal nociception in tail immersion test. However, morphine (5 mg/kg, s.c.) used as positive opioid control alleviated both the acetic acid-induced writhing response and thermal nociception in tail immersion test. In the formalin test, A. cordata (50 - 200mg/kg) and ibuprofen (200mg/kg) inhibited the second phase response (peripheral inflammatory response), but not the first phase response (central response), whereas morphine inhibited both phase pain responses. Both A. cordata (100 mg/kg) and ibuprofen (200 mg/kg) significantly alleviated the formalin-induced increase of paw thickness, the index of inflammation. These results show for the first time that the leaf and stem of A. cordata has a significant anti-nociceptive effect that seems to be peripheral, but not central. A. cordata also displays an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an acute inflammation model. The present study supports a possible use of the leaf and stem of A. cordata to treat pain and inflammation.

뽕잎 분말 첨가 크림수프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ream Soup Prepared with Mulberry Leaf Powder)

  • 박소희;이종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01-60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뽕잎 분말의 이용성을 식품에 증대시키기 위하여 뽕잎 분말 첨가 수준을 달리한 크림 수프를 제조하여 이에 따른 이화학적, 물성적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크림수프의 pH, L값, 점도는 뽕잎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a값은 대조군이 -1.91로 가장 높았고 b값은 4:6인 배합비율 시료가 38.59로 가장 높았다. 뽕잎분말 첨가 크림수프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뽕잎분말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진함 정도, 풋내, 쓴맛, 텁텁함은 강해지는 경향을 보였고, 고소한 맛, 느끼한 맛, 밀가루 맛, 부드러움은 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크림 수프의 기호도 검사 결과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 에서 1:9인 배합비율 시료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관능검사와 기호도 항목간의 상관관계에서 전반적인 기호도는 고소한 향, 고소한 맛, 부드러움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풋내, 텁텁함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관능검사와 기계적 검사의 상관관계는 L값은 외관 기호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진함 정도와 텁텁함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b값은 텁텁함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기계적 점도는 부드러움과 정의 상관관계를, 텁텁함과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화학적 검사와 기계적 검사간의 상관관계에서는 pH 측정치가 기계적인 검사 항목과 높은 상관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뽕잎 분말과 밀가루의 배합비율을 1:9로 한 시료는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모든 항목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차이가 없거나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뽕잎 크림수프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콩 재배종과 야생종 유전자원의 엽 형질 변이 (Variation of Leaf Characters in Cultivating and Wild Soybean [Glycine max (L.) Merr.] Germplasm)

  • 정승근;김홍식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6-24
    • /
    • 2009
  • 콩 재래종과 야생종 자원의 엽 형질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콩의 엽형 조사를 계량화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콩의 초형개량과 재배법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두류유전자원관리실에서 분양받은 콩 재배종 94개와 야생종 91개의 엽형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배종과 야생종의 엽장은 각각 12.3$\pm$1.25 cm(8.7~15.3 cm)과 평균 6.6$\pm$1.35 cm(3.7~11.3 cm), 엽폭은 각각 6.8$\pm$1.241 cm(3.3~9.58 cm), 엽면적은 각각 55.6$\pm$15.75 $cm^2$ (23.6~106.8 $cm^2$)와 14.3$\pm$7.83 $cm^2$ (4.1~48.9$cm^2$), LSI는 각각 1.9$\pm$0.38(1.3~3.3)와 2.4$\pm$0.53(1.4~4.2)이었다. 2. 재배종과 야생종 모두 LSI $\leq$2.0은 원형엽, 2.1~3.0은 난형엽, 그리고 3.1$\leq$ 이상은 피침형엽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LSI에 따라서 원형엽, 난형엽 및 피침형엽을 가진 비율이 재배종은 각각 78.7%, 17.0% 및 4.3%, 그리고 야생종은 30.8%, 58.2% 및 9.9%였다. 3. 엽장에 따라서는 2 cm 간격으로 단엽, 중간엽 및 장엽을 분류하되 재배종은 각각 $\leq$11.0 cm, 11.1~13.0 cm, 그리고 13.1 cm$\leq$ 로 구분하고, 야생종은 $\leq$5.0 cm, 5.1~7.0 및 7.0~9.0로 구분하고 9.1 cm$\leq$ 이상인 엽은 초장엽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렇게 분류하였을 때 재배종은 단엽이 약 1/3, 중엽이 약1/2 그리고 장엽이 약 1/6이었으며, 야생종은 중엽과 장엽이 약 40%로 비슷하였고, 단엽이 15.4%, 그리고 초장엽이 4.4%였다. 4. 재배종과 야생종의 잎 두께는 각각 0.25$\pm$0.054 mm (0.13~0.45 mm)과 0.14$\pm$0.032 mm(0.06~0.26 mm)였고, LAR은 각각 40.1$\pm$8.22(27.1~70.50)와 53.7$\pm$12.02(33.8~81.5)였으며, 엽각은 각각 $37.6{\pm}5.89^{\circ}$(24.1~56.0$^{\circ}$)와 54.6$\pm$$10.77^{\circ}$(30.8~76.0$^{\circ}$)였고, 엽병장은 각각 23.9$\pm$5.89 cm (11.2~36.9 cm)와 5.9$\pm$2.33 cm(2.2~17.7 cm)였다. 5. 재배종과 야생종 모두 엽장은 엽폭과 고도로 유의한 상관이 있고, 엽폭은 LSI와 고도로 유의한 부의상관이 있었으며, 재배종은 엽면적이 엽장이나 엽폭과 정의 상관이 있고 LSI와는 부의 상관이 있었지만, 야생종은 LSI와 엽장, 엽폭 및 엽면적은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6. 재배종과 야생종 모두 엽형군 간에 엽폭이나 엽 두께의 차이가 있어 LSI가 낮은 엽형이 엽폭이 길고 엽두께가 두꺼웠으며, 재배종은 엽형군에 따라서 엽면적의 차이가 있었고, 야생종은 엽형군에 따라서 엽병장의 차이가 있었다. 엽두께는 재배종과 야생종 모두 원형엽군과 난형엽군 사이 및 난형엽군과 피침형엽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재배종은 엽형군 간에 엽병장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야생종은 원형엽군이 난형엽군이나 피침형엽군에 비하여 엽병이 길었다.

Torsional analysis of a single-bent leaf flexure

  • Nguyen, Nghia Huu;Lim, Byoung-Duk;Lee, Dong-Yeon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54권1호
    • /
    • pp.189-198
    • /
    • 2015
  • We present a torsion analysis of single-bent leaf flexure that is partially restrained, subject to a torsional load. The theoretical equations for the torsional angle are derived using Castigliano's theorem. These equations consider the partially restrained warping, and are verified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FEA). A sensitivity analysis over the length, width, and thickness is performed and verified via FEA. The results show that the errors between the theory result and the FEA result are lower than 6%. This indicates that the proposed theoretical torsional analysis with partially restrained warping is sufficiently accurate.

다목적 소형 승합차 복합재 판 스프링의 적층 최적화 기법 (Optimal Methodology of a Composite Leaf Spring with a Multipurpose Small Commercial Vans)

  • 안상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5호
    • /
    • pp.243-25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복합재 판 스프링의 설계 최적화를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한 적층 최적화 과정을 제시하였다. 다목적 소형 승합 자동차 판 스프링을 유한요소모델로 구성하여 초기 설계를 검증한 이후, 유전자 알고리즘을 통해 복합재료의 적층수와 적층각도를 최적화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최적화 과정을 통해 판 스프링의 하중 감소과정, 반복수에 따라 강 구조의 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더불어 유전자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화된 적층 시퀀스를 구조에 적용하여 구조의 건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유한요소 모델로 구성하여 안전여유를 계산하였다. GA를 적용할 때, 복합재료 판 스프링의 적층 두께와 적층 각을 획득하였으며, 이는 적절한 강도와 강성으로 최소 무게를 달성하는데 기여한다. 동일한 설계 매개 변수 및 최적화 조건에서 강철된 판 스프링을 복합재 판 스프링으로 교체하면 65.6%의 중량이 감소한다.

Breeding of 'Jinmani' Cultivar of Gomchwi with Disease Resistance, High Quality and Yield

  • Jong Taek Suh;Ki Deog Kim;Jong Nam Lee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18
    • /
    • 2021
  • Gomchwi using stuffed leaves is many cultivated for 'Gondalbi(Ligularia stenocephala)' among Gomchwi species. 'Gondalbi' species like to be cultivation on farm because of low the incense and the bitter taste, and high yield. But 'Gondalbi' caused to curtail yield that susceptibility of powdery mildew disease and shriveling and death of plant on summer season. To solve this problems, we crossed a Gomchwi and 'Handeari-gomchwi' to have resistance of powdery mildew disease and high yield. A new Gomchwi cultivar 'Jinmani' was bred by crossing between Gomchwi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and Handaeri-gomchwi (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Nakai). The selection and investigation of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were conducted from 2007 to 2020 in field and greenhouse of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C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he color of petiole ear was purple. trichome of petiole and leaf back non-existed, and luster of leaf back existed. Density of leaf vein was 4 degree among 1-5 degree in a newly developed cultivar 'Jinmani'.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and petiole length were 55.7, 21.8, 22.2, and 33.9 cm, respectively in the 2nd year of growth characteristics. Plant size was similar with that of 'Gommany'. Bolting and flowering time were Aug. 5 and Sept. 5, respectively, and Bolting and flowering time of 'Gommany' showed similar to Aug. 8 and Sept. 1, respectively. 'Jinmani' showed higher number of leaves (202 ea.) per plant compared to 'Gommany' (159 ea.). Furthermore, yield was 67.9% higher in 'Jinmani' (2,569 g/plant) than in 'Gommany' (1,530 g/plant). 'Jinmani' showed lower leaf thickness (0.66mm) than 'Gommany' (0.69 mm), and consequently showed more hardness in leaf characteristics (25.1 kg/2) compared to 'Gommany' (24.3kg/cm2). 'Jinmani' showed similar strong resistance compared to 'Gommany' in the susceptibility of powdery mildew disease.

  • PDF

지배실생(용천뽕/개량뽕)의 생장점에 Colchicine 처리로 창성한 내동성계 4배체뽕 (Cold-hardiness Tetraploid Induced by Colchicine Treatment in Mulberry Seedings(Morus alba L. Yongchonppong/Kaeryanppong))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7
    • /
    • 1994
  • 용천뽕에 개량뽕을 교배하여 채종한 종자가 발아하는 생장점에 0.2% colchicine용액을 적하처리하여 4배성인 4원뽕 11호, 12호, 13호 및 14호를 창성하였으며 그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이른봄의 발아개엽기는 개량뽕과 비슷한 중뽕이다. 2. 잎은 대형 또는 중형의 심장형이며 표면은 강강감이 있으며, 잎두께, 잎면적중, 수분율이 2배체에 비하여 증가 되었다. 3. 2배체인 교배모품종에 비하여 평균가지길이는 짧고 마디사이길이와 측지수는 두 모품종의 중간정도이었다. 4. 가지끝마름율은 1.6~2.5%로서 강한 내동성(cold hardiness)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내동성이 강한 3배체 육성소재로 유망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