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f phyllotaxy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산 돌나물속 Telephium 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Sedum Section Telephium in Korea)

  • 정영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3권1호
    • /
    • pp.1-24
    • /
    • 1990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larify the taxonomic problems that have been raised up to now in the study o section Telephium, genus, Sedum: the delimitation of taxa belong to Telephium group, their relationship, and nomenclatural confusion and the rank of Telephium group. Specimens were collected at 19 sites in Korea. The habitat, distribution,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of habit, leaf shape, phyllotaxy, inflorescence, color of floral organs, floral formula, carpel, capsule, and micro-characters of pollen, seed coat, stigma and anther with SEM were examined.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delimitation of taxa that belong to section Telephium in Korea and their relationship Nomenclatural errors were corrected. In S. rotundifolium Lee, species epithet“rotundifolium”is later homonym of s. rothundifolium Lamarck, so corrected to S. duckbongii Chung and Kim by article 64 of ICBN. Phyllotaxy was elucidated to meaningless, character in sect. Telephium. S. taquetii was a separate species from S. viridescens and not of its synonym. S. alboroseum Baker in Korea was S. erythrostictum sensu Master not of S. erythrostictum Miquel. By this study , taxa of sect. Telephium in Korea were arranged to 7 species. Considering interspecific relationship of sect. Telephium, S. duckbongii and S. alboroseum are considered to be more advanced forms and S. viridescens, S. taquetii, and S. viviparum to be more primitive forms among 7 species.

  • PDF

쥐손이풀속(쥐손이풀과)의 외부영양형질에 의한 계통분류학적 연구 (A phylogenetic study of Geranium (Geraniaceae) on the vegetative characters)

  • 박선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0호
    • /
    • pp.1001-1009
    • /
    • 2002
  • 쥐손이풀속(subgenus Geranium) 35분류군에 대하여 외부형태학적 형질인 생육지, 뿌리, 줄기의 습성과 분지 형태, 엽서, 엽형, 엽연의 모양, 잎열편과 소열편의 형태, 열편의 갯수, 잎의 두께와 엽질 및 탁엽의 형태 통의 영양형질을 조사하고, 이들의 분류형질로서의 타당성 및 진화경향성을 논의하였다. 잎이 3열편으로 갈라지는 특징에 의해 Wilfordii군이, 생육지가 고산지역인 Farreri군이 나누어지며, 일년생인 특징에 의해 Maculatum군이 구분되어진다. 잎의 배열상태가 호생인 G, tripartitum, G. eriostemon, 및 G. erianthum이 나머지 분류군보다. 원시적이고, 열편이 깊게 갈라진 Sibiricum군과 Pseudosibiricurn군이 보다 분화한 분류춘이라고 생각된다. 본 분류군에서는 잎의 엽형과 소열편의 분 지정도 및 엽연의 모양과 열편의 갯수 등은 개체군 사이에서도 변이의 폭이 일정해 종을 구분하는 좋은 식별형질이라고 사료된다.

붉나무(Rlus javanica)에서 오배자 형성과 발육에 관한 연구 (Study on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chlechtendalis chinensis Gall in Rhus javanica)

  • 이상명;이동운;박지두;김종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3-87
    • /
    • 1997
  • 붉나무에서 오배자면충의 오배자 형성 기작과 오배자면충의 발육 및 붉나무 잎 부위별 오배자 형성수를 조사한 결과, 오배자면충의 간모 출현에 의한 충영(오배자)형성 시기는 6월 중순이었으며 간모는 미성숙된 입엽의 뒷면에 정착기생한 뒤 반대방향으로 융기하여 충영을 형성하였다. 오배자는 9월 중순부터 급격히 발육하였으며 면충의 밀도가 많음에 따라 오배자의 무게도 무거웠다. 붉나무에서 오배자면충의 충영 형성 부위는 정엽에서 가까울수록 많았으며 복엽상에서는 익엽이 95.8%를 차지하였다.

  • PDF

The Identification of Aucklandiae Radix, Inulae Radix, Vladimiriae Radix and Aristolochiae Radix, Using Macroscopic, Microscopic and Physicochemical Methods

  • Yoon, Jee-Hyun;Park, Ha-Yeong;Kim, Tae-Ju;Lee, Seung-Ho;Kim, Jung-Hoon;Lee, Guem-San;Kim, Hong-Jun;Ju, Young-Sung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83-97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for establishing the discriminative criteria for Aucklandiae Radix, Inulae Radix, Vladimiriae Radix and Aristolochiae Radix, which can be confused as 'Mokhyang', because of similar appearances and synonyms. Method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ried herbal medicines were compared by macroscopic observation. To examine microscopic features of 'Mokhyang', paraffin embedding and the staining by using Ju's method were conducted. Physicochemic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HPLC analysis and antioxidant assay. Results: The types of stem, phyllotaxy and leaf shape were chosen as macroscopic criteria and the size, oil spots, color and root top as well as phloem and central cylinder were compared using microscopic features. The HPLC results showed different amounts of costunolide and dehydrocostuslactone among Aucklandiae Radix, Inulae Radix and Vladimiriae Radix. However, Aristolochiae Radix only contained aristolochic acid. The antioxidant assays also showed that Vladimiriae Radix exhibited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followed by Aucklandiae Radix, Inulae Radix and Aristolochiae Radix.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macroscopic, microscopic and physicochemical methods would be useful tools for the discrimination of 4 kinds of 'Mokhyang'.

목통(木通).천목통(川木通).관목통(關木通)의 감별기준(鑑別基準) (Criteria for Identifying Akebiae, Clematidis, Aristolochiae Caulis)

  • 이금산;박경범;김영식;이승호;오현민;백지성;조수인;김홍준;주영승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6
    • /
    • 2011
  • Objectives : Due to morphological similarity, many substitutes and counterfeits have been used as Moktong for thousands of year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discriminative criteria for identifying medicinal herbs used as Moktong. Methods : Akebia quinata, A. trifoliata, Clematis armandii, and Aristolochia manshuriensis were collected in various regions. Samples were authenticated and examined by observation and microscopy with paraffin embedding and triple staining using the modified Ju staining method. Results : Three different types of features to establish discriminative criteria for four kinds of Moktong were identified. Botanical features include differences in phyllotaxy, leaf shape, and caulescent. External morphological features were arrangement and size of fine holes(xylem), and overall shape of the section. Internal morphological features include the number of medullary rays, shape of the pitch, type of tissues rounding pitch, appearance of annual rings, shape and amount of crystals(calcium-oxalate), and the appearance of cork cambium. Further details(e.g. identification keys) are in the article. Conclusions : These criteria could provide an effective method for identifying numerous kinds of Moktong distributed in markets throughout northeast Asian nations.

토마토 절간(節間)을 이용한 마디삽목 시(時) 삽수의 절위(節位)와 삽수의 소엽(小葉)부착 유무가 묘(苗) 소질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Nursery Plants Influenced by Leaflet and Raising Method for Soft-Nodal cuffing in Cherry Tomato)

  • 양승구;손동모;최경주;김상철;김월수;정순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483-487
    • /
    • 2001
  • 토마토 묘(苗)를 한마디씩 4-6마디로 절단하여 절간을 이용한 마디 삽목 시 삽수의 절위와 소엽의 부착유무가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방울토마토 뻬뻬와 꼬꼬 품종을 플러그 묘를 소엽 1엽을 부착하여 삽목한 처리구가 소엽을 모두 제거한 처리보다 초장과 엽수가 많았고, 지상부중 및 지하부중이 약 3-15배 정도 증가되었다. 토마토 마디삽목묘의 발근율은 하배축이 86%였으나 평균 96%의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토마토 플러그 묘(苗) 1주(株)로부터 4-6개의 삽수가 얻어졌고 삽목 후 20-24일에 정식 가능한 묘가 생산되었으며, 계속적인 증식이 가능하였다. 토마토 삽목묘의 뿌리는 실생묘에 비하여 직근이 적고 뿌리의 수가 많았다. 그리고 실생묘는 뿌리가 하배축의 끝에서 발근되었으나 마디삽목묘는 상토와 접촉된 모든 부위에서 발생되었다. 육묘방법에 따른 소엽의 변화는 실생묘는 자엽으로부터 마디가 생장점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약 1엽, 2엽, 3.5엽 5.5엽으로 엽수가 증가되고, 측지삽목묘는 11.3, 11.9, 13.2, 13.3엽으로 첫째 마디부터 엽수가 현저하게 많았다. 한편 마디삽목묘의 엽수는 약 3.5, 3.6, 4.4엽 및 5.8엽으로 증가되어 측지삽목묘보다는 현저하게 적었으나, 실생묘보다는 많았다. 같은 마디삽목묘의 소엽수(小葉數)도 삽수마디가 하배축에서 생장점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소엽수(小葉數)가 크게 증가되었다.

  • PDF

붉나무의 수령, 서식지 및 기생위치에 따른 오배자 형성 (Gall formation on different age, habitat, and parasite position in Rhus javanica L.)

  • 조형찬;한광수;안은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04-311
    • /
    • 2000
  • 붉나무의 수령 및 환경요인에 의한 오배자 생성 영향, 오배자의 생성과정과 오배자면충의 밀도변화, 붉나무 잎의 위치에 따른 오배자 형성부위, 그리고 오배자면충을 인공적으로 접종하여 오배자의 생성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붉나무의 수령에 따른 오배자의 생성은 3개 지역 공히 평균 11-15년 경과된 나무에서 가장 많은 오배자 형성율과 개체수를 나타낸 반면, 1-5년 경과된 나무에서 가장 적은 오배자 형성율과 개체수를 보였다. 붉나무 서식방향에 따른 오배자 형성 개체는 동쪽, 남쪽, 북쪽, 서쪽 순으로 많은 수를 나타내었다. 붉나무의 식생과 오배자의 생성관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도로변에 서식하고 있는 붉나무에서는 오배자 형성을 볼 수 없었던 반면, 계곡에 이끼가 서식한 습한 곳에서는 많은 오배자가 형성되었다. 오배자의 생성과정을 보면 5월 초순경 붉나무잎 뒷면 엽출날개에 기생하면서 8월 초순까지는 적은 혹을 형성하다가 8월 중순에 충영이 급격히 크게 형성되면서 월동을 위해 탈출직전인 9월 하순에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오배자면충 밀도는 오배자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현상을 보였다. 붉나무 잎의 위치에 따른 오배자 형성부위는 정소엽을 기준으로 제 2 엽축날개에서 가장 많은 충영이 형성되었으며, 잎의 앞면과 복엽에는 거의 형성되지 않은 반면 엽축날개에 94%가 형성되었다. 자연 환경속에서 오배자를 형성할 수 없는 붉나무의 군락지에서 인공적으로 오배자면충을 접종하였을 경우 오배자를 생산할 수 있었으며, 오배자의 발육과정 중 일부는 발육하지 못하고 소멸되는 것도 있었다.

  • PDF

간척지(干拓地) 우점잡초(優占雜草) 새섬매자기(Scirpus planiculmis F. Schmidt)의 생육습성(生育習性) (Growth Habits of Scirpus planiculmis F. Schmidt in Poldered Paddy Field)

  • 이강수;한규흥;박석홍;최선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1-116
    • /
    • 1991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간척지(干拓地)의 우점잡초(優占雜草)인 새섬매자기의 방제(防除)를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새섬매자거의 번식(繁殖)에 관한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 검토(檢討)하였다. l. 새섬매자기의 구경(球莖)은 토양심도(土壤深度) 0-5cm에 16%, 5-8cm에 66% 그리고 8-10cm에 18% 각각 분포(分布)되였으며 평균분포심도(平均分布深度)는 6.51cm였다. 2. 구경(球莖)당 근경(根莖) 및 신아(新芽)의 수(數)는 각각 1개(個)에서 4개(個)까지로 근경(根莖)은 평균(平均) 2.34개(個), 신아(新芽)는 평균(平均)2.85개(個)였으며 전체(全體) 눈 (근경(根莖)과 신아(新芽))의 수(數)는 3-7개로 평균(平均) 5.2개(個)였다 3. 엽서(葉序)는 1/3이였으며 총(總) 12엽중(葉中) 4엽(葉)까지는 포엽(苞葉)이었다. 4. 파종구경(播種球莖)으로부터 출아주(出芽株)가 100주(株)로 증식(增植)되기까지의 일수(日數)는 3월(月) 25일(日) 출아(出芽)를 시작한 구경(球莖)에서 58일(日), 5월(月)7일(日) 출아구경(出芽球莖)에서 52일(日), 그리고 6월(月) 6일(日) 출아구경(出芽球莖)에서 43일(日)이 각각 소요(所要)되었다. 5. 파종구경(播種球莖)으로부터 번식(繁殖)에 따른 출아(出芽)(신구경발달(新球莖發達) 차수(次數)가 증가(增加)할수록 다음 출아(出芽)까지의 일수(日數)는 단축(短縮)되었고 근경장(根莖長), 초장(草長) 및 줄기의 지름은 점차(漸次) 증가(增加)되었다. 6. 초장(草長)은 직파재배(直播栽培)에서 재배초기(栽培初期)부터 벼보다 빠르게 신장(伸長)되었으며 이앙재배(移秧栽培)에서는 이앙후(移秧後) 약 30일(日)부터 벼의 것을 능가하였다. 7. 새섬매자기의 번식속도(繁殖速度)는 이앙재배(移秧栽培)보다 직파재배(直播栽培)에서 빨랐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