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d iodid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3초

INS-1 췌장 베타 세포에서 ferulic acid의 당독성 개선 효과 (Ferulic Acid Protects INS-1 Pancreatic β Cells Against High Glucose-Induced Apoptosi)

  • 박재은;한지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17
    • /
    • 2024
  • 제 2형 당뇨병에서 나타나는 인슐린 분비 감소는 베타세포의 자가사멸에 의한 베타세포질량의 급격한 감소로 인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베타세포의 자가사멸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고혈당에 의한 당독성 및 활성산소종들의 증강에 의한 산화스트레스 등이다. Ferulic acid는 항산화, 항염, 항암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며, 본 연구에서는 고혈당으로 유도된 세포 당독성 개선 효과와 그 기전을 INS-1 췌장 베타세포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Ferulic acid는 고농도 포도당 처리된 INS-1 췌장 베타 세포에서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지질과산화물, 세포 내 ROS 및 NO 수준을 감소시켰다. 세포사멸 관련 인자의 유전자 발현결과 pro-세포자가사멸 인자인 bax, cytochrome c, caspase-3 및 caspase-9의 단백질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 anti-세포자가사멸 인자인 bcl-2 발현을 증가시켰다. Ferulic acid는 annexin V/I propidium iodide 분석을 통하여 고농도 포도당으로 유도된 세포 사멸을 감소시키고, INS-1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ferulic acid는 고농도 포도당으로 손상된 INS-1 췌장 베타세포의 보호효과를 나타낸다.

Soaking method & Particle In Binder method를 적용한 Photoconductor materials의 제작방식에 따른 X-ray Detector film 제작 및 전기적 특성평가

  • 이영규;윤민석;김민우;김윤석;정숙희;전승표;박근우;남상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2-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Photoconductor materials 기반의 평판형 X-ray Detector film 제작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광도전성 물질로 사용되어 오던 비정질 셀레늄(Amorphous seleinum; a-Se) 기반의 디지털 방사선 검출기 보다 높은 신호 및 동작 특성을 가지는 Mercury Iodide(HgI2)와 열적, 전기적 특성이 안정적이며, 소자의 동작특성이 우수한 Lead Oxide(PbO) 기반의 X-ray Detector film의 개발에 있어서 각각 HgI2 및 PbO 두 물질 층을 적정비율에 맞추어 제작함으로써 최적의 X-ray Detector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는 빠른 영상획득을 통해 기존의 방식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의료기기 디지털화를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진공증착법의 두꺼운 대면적 필름의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Particle In Binder method(PIB) 방법을 이용하여 $3"{\times}3"$사이즈의 두께 $200{\mu}m$의 다결정의 Photoconductor 필름을 제조하여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제작된 필름의 전기적 특성을 dark current, X-선 sensitivity와 SNR(Signal to -Noise Rate) 등을 측정하여 정량적으로 평가 하였다. 기준 실험으로 진행한 DG 2.1 바인더를 사용한 single-HgI2 층에서 보다 높은 sensitivity 값을 보였지만 높은 dark current로 인해 SNR이 떨어지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두 Photoconductor material의 Soaking method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single-HgI2에 해당하는 높은 sensitivity 및 저감된 dark current로 인해 높은 SNR 값을 획득하였다. 하지만 습도와 같은 주변 환경에 의한 재현성 문제로 인한 신호값의 불안정성에 대한 문제점도 남아 있으므로, 차후 최적화된 material 제작 공정을 위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 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

Mechanism of Apoptosis Induced by Diazoxide, a $K^{+}$ Channel Opener, in HepG2 Human Hepatoma Cells

  • Lee, Yong-S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305-313
    • /
    • 2004
  • The effect of diazoxide, a $K^{+}$channel opener, on apoptotic cell death was investigated in HepG2 human hepatoblastoma cells. Diazoxide induced apopto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is was evaluated by flow cytometric assays of annexin-V binding and hypodiploid nuclei stained with propidium iodide. Diazoxide did not alter intracellular $K^{+}$concentration, and various inhibitors of $K^{+}$channels had no influence on the diazoxide-induced apoptosis; this implies that $K^{+}$channels activated by diazoxide may be absent in the HepG2 cells. However, diazoxide induced a rapid and sustained increase in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and this was completely inhibited by the extracellular $Ca^{2+}$ chelation with EGTA, but not by blockers of intracellular $Ca^{2+}$ release (dantrolene and TMB-8).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diazoxide-induced increase of intracellular $Ca^{2+}$ might be due to the activation of a Ca2+ influx pathway. Diazoxide-induced $Ca^{2+}$ influx was not significantly inhibited by either voltage-operative $Ca^{2+}$ channel blockers (nifedipinen or verapamil), or by inhibitors of $Na^{+}$, $Ca^{2+}$-exchanger (bepridil and benzamil), but it was inhibited by flufenamic acid (FA), a $Ca^{2+}$-permeable nonselective cation channel blocker. A quantitative analysis of apoptosis by flow cytometry revealed that a treatment with either FA or BAPTA, an intracellular $Ca^{2+}$ chelator, significantly inhibited the diazoxide-induced apoptosi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bserved diazoxide-induced apoptosis in the HepG2 cells may result from a $Ca^{2+}$ influx through the activation of $Ca^{2+}$-permeable non-selective cation channels. These results are very significant, and they lead us to further suggest that diazoxide may be valuable for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of human hepatomas.

다이메틸암모늄 유도 CsPbI3 페로브스카이트 상의 상전이 거동에 대한 열과 수분의 영향 (Effect of Heat and Moisture on the Phase Transition in Dimethylammonium-Facilitated CsPbI3 Perovskite)

  • 강소현;이승민;노준홍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344-351
    • /
    • 2023
  • Cesium lead iodide (CsPbI3) with a bandgap of ~1.7 eV is an attractive material for use as a wide-gap perovskite in tandem perovskite solar cells due to its single halide component, which is capable of inhibiting halide segregation. However, phase transition into a photo inactive δ-CsPbI3 at room temperature significantly hinders performance and stability. Thus, maintaining the photo-active phase is a key challenge because it determines the reliability of the tandem device. The dimethylammonium (DMA)-facilitated CsPbI3, widely used to fabricate CsPbI3, exhibits different phase transition behaviors than pure CsPbI3. Here, w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phase behavior of DMA-facilitated CsPbI3 when exposed to external factors, such as heat and moisture. In DMA-facilitated CsPbI3 films, the phase transition involving degradation was observed to begin at a temperature of 150 ℃ and a relative humidity of 65 %, which is presumed to be related to the sublimation of DMA. Forming a closed system to inhibit the sublimation of DMA significantly improved the phase transition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nagement of DMA is a crucial factor in maintaining the photo-active phase and implies that when employing DMA designs are necessary to ensure phase stability in DMA-facilitated CsPbI3 devices.

SCAPS-1D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n-i-p 구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열적 열화 원인 분석 (Numerical Analysis on Thermal-Induced Degradation of n-i-p Structure Perovskite Solar Cells Using SCAPS-1D)

  • 김성탁;배수현;정영훈;한동운;김동환;모찬빈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6-22
    • /
    • 2022
  • The long-term stability of PSCs against visual and UV light, moisture, electrical bias and high temperature is an important issue for commercialization. In particular, since the operation temperature of solar cell can rise above 85℃, a study on thermal stability is required. In this study, the cause of thermal-induced degradation of PSCs was investigated using the SCAPS-1D simulation tool. First, PSCs of TiO2/CH3NH3PbI3/Spiro-OMeTAD/Au structure were exposed to a constant temperature of 85℃ to observe changes in conversion efficiency and quantum efficiency. Because the EQE reduction above 500 nm was remarkable, we simulated PSCs performance as a function of lifetime, doping density of perovskite and spiro-OMeTAD. Consequently, the main cause of thermal-induced degradation is considered to be the change in the perovskite doping concentration and lifetime due to ion migration of perovskite.

Effect of droplet vitrification on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developmental competence in two-cell mouse embryos

  • Kim, Bo-Hyun;Kim, Ji-Su;Ryu, Jae-Sung;Lee, So-Hyun;Lee, Ju-Taek;Kang, Jae-Yul;Chang, Kyu-Tae;Choo, Young-Ku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5권4호
    • /
    • pp.287-294
    • /
    • 2011
  • The accelerated cooling rate associated with vitrification reduces injuries attributed to cryopreservation and improves the post-freezing developmental competence of vitrified embryos. In this study, embryos were vitrified and warmed and morphologically evaluated for their development to blastocysts. Survival rates between the fresh ($96.7%{\pm}3.8%$) and vitrified embryos ($90.7%{\pm}5.1%$)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P>0.05).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of fresh control cells measured by 5,5',6,6'-tetrachloro-1,1',3,3'-tetraethylbenzimidazolyl carbocyanide iodide staining was similar to that of cryoprotected and vitrified embryos. Mitochondrial staining with rhodamine 123 did not differ among the fresh, cryoprotected, and vitrified embryos. Moreover, the distribution of $H_2O_2$, assessed by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staining, did not differ among the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velopmental rat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fresh ($87.8%{\pm}11.3%$), cryoprotected ($83.2%{\pm}7.6%$), and vitrified 2-cell embryos ($75.8%{\pm}14.2%$). The mean number of the inner cell mass (ICM), trophectoderm (TE), and apoptotic cells was counted and statistically compared, and although the number of ICM and TE was decreased in the cryoprotected and vitrified embryo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P>0.05).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randomly selected blastocysts from each group were stained using either 4',6-diamidino-2-phenylindole and bisbenzimide or the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mediated dUTP nick-end labeling technique. The incidence of apoptosis appeared to be almost identical in all the groups. Droplet vitrification could subsequently lead to high survival and developmental rates of cryopreserved mouse embryos.

전자선 치료의 선량 측정 QA를 위한 PbI2 선량계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bI2 Dosimetry for QA in the Electron Beam Therapy)

  • 양승우;한무재;정재훈;최윤선;조흥래;박성광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517-522
    • /
    • 2020
  • 전자선은 선량분포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많아 동일 설정이라도 사용 장비마다 그 특성을 파악하여 방사선 치료에 이용해야 하며, 체내 구조물에 영향이 민감하여 종양에 균일한 선량분포를 조사하기가 까다롭다. 본 연구에서는 광도전체인 PbI2를 사용하여 선량계를 제작하였고, 선형가속기에서 6, 9, 12 MeV 전자선에 대한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재현성 평가결과, RSD는 6, 9, 12 MeV 에너지에서 각각 1.1215%, 1.0160%, 0.5137%로 나타나 출력 신호가 안정적인 것을 나타내었다. 선형성 평가결과, 직선형 추세선의 신뢰도 지표 R2값은 6, 9, 12 MeV에서 각각 0.9999, 0.9999, 0.9994로 나타나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PbI2에 출력 신호가 비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PbI2 선량계는 전자선 측정 적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광도전체 물질을 통한 전자선 선량계의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낙동강 수계 및 수돗물에서의 Perchlorate($ClO_4^-$) 분석 (The Analysis of Perchlorate in Nakdong River and Tap Water)

  • 김화빈;오정은;이승윤;조재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776-781
    • /
    • 2006
  • 제초제, 로켓 추진제 등에 주로 사용되는 과염소산(perchlorate, $ClO_4^-$)은 갑상선의 요오드 섭취를 방해하여 갑상선 암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임산부가 섭취 시 태아의 뇌 발달을 저해하는 등 인체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perchlorate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2006년 US. EPA에서 먹는물에서의 perchlorate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perchlorate에 관한 독성 및 환경 내 오염 정도 등에 관해 구체적으로 조사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국내 수 환경에서의 Perchlorate 오염 정도 파악을 위해 영남권 지역 주민들의 주 상수원수로 사용되고 있는 낙동강 수계와 낙동강 권역에 위치한 도시들의 수돗물을 대상으로 perchlorate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낙동강 수계 중에서는 $ND{\sim}278.4$ ${\mu}g/L$의 범위로 perchlorate가 검출되었으며 구미공단천(2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류로 내려올수록 perchlorate 농도가 감소하였다. 수돗물의 경우 대상 도시에 따라 다소 편차를 나타냈으며 농도 범위는 $ND{\sim}34.1$ ${\mu}g/L$이었다. 조사 대상 지역 중 대구 달서 감삼동에서 가장 높게 검출되었고 부산에서는 비슷한 농도($9{\sim}11$ ${\mu}g/L$)로 대부분의 구에서 검출되었다. 본 조사결과는 낙동강 수계에 perchlorate 오염원이 있으며 낙동강을 상수원수로 사용하는 지역은 수돗물에서 perchlorate 관리대책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FLUKA 전산 모사를 통한 감마선원 조건에서의 요오드화납(II)과 Gd2O2S:Tb가 결합된 센서의 적용가능성 연구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Lead(II) Iodide and Gd2O2S:Tb Overlapping Sensors in Gamma Source Conditions using FLUKA Simulation)

  • 양승우;박윤희;박지군;허예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381-386
    • /
    • 2022
  • 비파괴검사(NDT; Non-Destruction Test)는 제품의 기능을 손상시키거나 물리적으로 파괴시키지 않고 내부의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사선투과검사는 고에너지의 방사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방사선작업종사자들의 방사선피폭을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PbI2에 Gd2O2S:Tb를 결합하여 기존 PbI2보다 방사선 검출성능을 더욱 향상시켜 방사선투과검사에서 선원누출 등의 사고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방사선 센서를 제시하였다. 평가는 FLUKA 전산 모사를 통하여 감마선원에서 Gd2O2S:Tb 결합 전후의 변환 효율을 분석하였다. Gd2O2S:Tb가 결합된 PbI2는 방사선 검출성능이 1.22배에서 3.22배까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제시된 센서는 방사선투과검사 선원 감지용 방사선 센서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9학년 과학교과서 물질변화에서의 규칙성 단원 실험 분석과 Small-Scale Chemistry를 적용한 실험 개발 (Analysis of Experiments for the Rules of Material Change Unit in 9th Grade Science Textbooks and the Development of Experiments Applying Small-Scale Chemistry)

  • 유란영;김동진;황현숙;박세열;이상권;박국태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529-540
    • /
    • 2011
  • 이 연구는 9학년 과학교과서 물질변화에서의 규칙성 단원에 제시되어 있는 실험의 분석과 small-scale chemistry (SSC)를 적용한 실험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9학년 9종 과학교과서의 물질변화에서의 규칙성 단원에 제시되어 있는 앙금생성, 물의 전기분해, 과산화수소수의 분해 실험들을 분석하고, 13명의 과학교사들에게 과학교과서의 실험들을 수행하게 하여 문제점과 개선해야할 사항들을 추출하였다. 개선해야할 사항들을 바탕으로 SSC를 적용하여 개발한 실험들을 19명의 예비교사들에게 과학교과서의 실험과 함께 수행하게 한 후 SSC를 적용한 실험의 장점과 단점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요오드화납 앙금생성 실험과 Hoffman식 물의 전기분해 실험, 그리고 이산화망간을 촉매로 사용하는 과산화수소수의 분해 실험이 9학년 과학교과서에 가장 많이 제시되어 있었다. 과학교과서의 실험들에서 개선해야할 사항들로는 시약의 소모량, 실험시간, 실험장치 규모 등이었다. SSC를 적용하여 개발한 실험들의 장점은 적은 양의 시약 사용으로 폐액 처리의 용이성과 실험의 안전성을 높여주며, 실험시간의 단축과 재현성이 있는 실험결과들을 얻을 수 있는 것 등이었다. 반면에 단점은 적은 양의 시약 사용으로 실험관찰에서 다소간의 어려움과 성취감의 감소, 작은 규모의 실험 기구 사용의 미숙함 등이었다. 그러나 SSC를 적용하여 개발한 실험들을 9학년 과학실험으로 활용한다면, 적은 양의 시약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재현성이 있는 실험을 이론수업과 병행하여 실시할 수 있어, 학생들이 물질변화에서의 규칙성에 대한 과학적인 개념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