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val mortality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2초

가잠의 인공사료육에 있어서 사료조성차이와 환경조건이 누에의 성장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Difference of Dietary Composi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ilkworm, Bomby mori L., fed on Artifial Diet)

  • 이진근;손해룡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8-23
    • /
    • 1985
  • 인공사료육 누에에 있어서 사료조성 차이와 사육환경이 누에의 성장발육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1. 사료의 대두분말 함량이 많을수록 경과가 짧았으나 대두분말 함량이 50%를 넘으면 오히려 경과가 길어졌다. 2. 감잠비율은 대두분말 함량비가 50%까지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그 이상에서는 높았다. 3. 사료조성 차이가 견질에 미치는 영향은 단견중에 있어서는 단백질 함량이 많을수록 무겁고 견층중은 차이가 없었으며 견층비율은 대조구에 비해 각 처리구 모두 낮았다. 4. 사육환경 중 온도는 고온이 광선은 암조건이 경과를 단축시켰다. 5. 감잠비율은 치잠기 고온에서 낮았고 광선은 암조건에서 낮았다. 6. 사육환경이 견질에 미치는 영향은 단견중, 견층중, 견층비율 모두 온도는 고온이, 광선은 암조건이 양호하였다.

  • PDF

조피볼락의 종묘생산에 미치는 Rotifer와 Artemia의 영양강화 효과 (Effects of Enrichment of Rotifers and Artemia on Larvae Mass Productin of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조성환;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37-447
    • /
    • 1998
  • 조피볼락 종묘생산시 발생하는 대량폐사를 막기 위하여 자어의 다양한 먹이생물을 공급하여 성장을 비교하였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먹이생물을 영양강화시켜 공급하여 그에 따른 조피볼락 자어의 생존율과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성게 유생은 쉽게 구할 수 있으나 조피볼락 자어의 생존율을 저하시켰고 유생의 지방산 분석 결과를 볼 때 그다지 적합한 먹이로 생각되지 않는다. Rotifer나 Artemia nauplii를 단독으로 조피볼락의 자어를 먹이로 공급하는 것보다 혼합공급하는 것이 더 효과저거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rotifer나 Artemia nauplii를 ${\omega}$-yeast, Spirulina platensis나 Super Selco로 영양강화시킨후에 먹이로 공급할 경우 자어의 생존율이나 성장률에서 많은 개선을 보였다. Rotifer를 Super Selco로 영양강화를 시켰을 경우 $\omega$-yeast로 영양강화를 시킨 경우보다 높은 생존율과 성장률의 결과를 보였다. 산출 후 10일 경에 대량폐사가 발생하였으며 초기에는 rotifer가 자어의 먹이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10일 경 이후부터는 Artemia nauplii가 우수한 먹이로 판단된다. 그러나 rotifer와 Artemia nauplii 혼합 공급하였을 경우 rotifer나 Artemia nauplii를 단독 공급하는 경우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벼줄기굴파리에 대한 수도(水稻)의 품종저항성(品種抵抗性) (Studies on Rice Varietal Resistance to Rice Stem Maggot, Chlorops oryzae Matsumura)

  • 이영복;황창연;이문홍;최궤문;안장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7-32
    • /
    • 1986
  • 벼줄기굴파리에 대한 저항성(抵抗性) 검정방법(檢定方法)을 확립하고 주요 품종의 저항성정도들 알기 위하여 포장과 폿트에서 피해(被害)와 사충율(死蟲率)을 조사한 결과, 1. 포장에서 다수계품종(多收系品種)이 일반계품종(一般系品種)보다 피해가 심하였고, 1, 2화기 피해간에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 ($r=0.845^{**}$)가 있었다. 2. 산란선호성(産卵選好性)은 품종간에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3. 유충의 경내(莖內) 침입율(侵入率)은 수도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낮아졌다. 4. 품종 저항성(抵抗性) 기작(機作)은 주로 항충성(抗蟲性)(antibiosis)에 기인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5. 품종별 피해엽수(被害葉數)와 사충율(死蟲率)간에는 고도(高度)의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81년:$r=-0.884^{**}$, '82년:$r=-0.919^{**}$)가 있었다. 6. 품종저항성(品種抵抗性) 검정(檢定)은 파종 $30{\sim}40$일 된 묘에 갓부화한 유충을 접종하고, 접종 20일후에 사충율(死蟲率)을 조사하는 것이 합리적이었다. 7.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은 낙동벼, 진주벼, 추청벼 등이고, 감수성품종(感受性品種)은 금강벼, 밀양 23호, 백양벼, 밀양 30호 등이다.

  • PDF

한국산 도롱뇽의 포식압 유, 무에 따른 성장률의 변화 (The Different Growth Rate by Predation Risk in Larval Salamander, Hynobius leechii)

  • 황지희;정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66-672
    • /
    • 2011
  • 본 연구는 포식압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성장률에 대하여 한국산 도롱뇽 유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인왕산에서 채집해온 도롱뇽의 알(난괴)을 포식압 유, 무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포식자 cue로는 버들치의 체취를 이용하였고, 포식압이 존재하는 그룹은 하루 세 번 포식자의 cue에 노출되도록 하였다. 포식자 cue 처리는 알 채집일 다음 날부터 부화 후 1주일까지 하였고, 이후 각 유생의 snout-vent length를 버니어 캘리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부화 후 1주일부터 2주일 사이의 기간 동안 각 그룹의 유생에게 충분한 양의 실지렁이를 먹이로 제공하였고, 남은 먹이는 제거하였다. 부화 후 2주일이 되는 날 각 유생의 snout-vent length를 다시 한 번 측정 한 후, 각 개체의 성장률을 계산하여 데이터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포식자 cue처리를 한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낮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사망률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모양깔깔새우 (Metapenaeopsis dalei) 유생의 염분, 수온 및 먹이조건에 따른 성장 및 생존율 (The Effect of Salinity, Temperature and Diet on Larval Growth and Survival of Metapenaeopsis dalei (Rathbun) (Decapoda: Penaeidae))

  • 최정화;홍성윤;이종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78-383
    • /
    • 2001
  • 실험에 사용한 성숙한 난소를 가진 산모양깔깔새우 (Metapenaeopsis dalei)는 1999년 8월 11일 충남 외연도 근해에서 새우조망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산란한 유생을 4개의 염분구간과 3개의 수온구간 및 5개의 다른 먹이 조건에서 사육하여 이들의 생존율과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염분조건에서는 채집지의 염분과 유사한 30과 35에서 생존율이 높았고, 수온 조건에서는 산란 수온$24^{\circ}C$에서 생존율이 가장 높았다. 먹이 조건 실험에서는 식물성먹이에서 생존율과 성장이 동물성을 투여한 실험구보다 높았다.

  • PDF

두류 품종별 잎특성과 담배거세미나방의 생태 연구: I. 유충발육과 식엽량 (Leaf Characteristics of Leguminous Plants and the Biology of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ricius: I. The Larbal Development and Leaf Feeding Amount)

  • 배순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17-224
    • /
    • 1999
  • 두류 품종별 잎특성에 따른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발육과 식엽량을 조사하였다.유충 기간은 검정콩 l호에서 11.5일로 가장 짧았으며, 대광땅콩에서 15.7일로 가장 길어어 두류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유충의 영기별 발육기간은 l령에서 3 .2~5.0일로 가장 길였으며, 4령에서 1.0- I.5일로 가장 짧았다. 유충의 식엽량은 영기가 증가함수록 현저하게 증가하여 마지막 6 령기 동안의 식엽량이 유충기간 총 식엽량의 약 55~74%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유충의 성별 식엽량은 수컷보다 암컷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하지만 유충의 사망율과 성비는 두류 품종별 식엽량과는 관련이 없었다.

  • PDF

담배나방과 파밤나방의 유충사망률과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s의 활성에 미치는 니코틴과 다이아지논의 영향 (Comparative effects of nicotine and diazinon on larval mortality and activity of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s in Helicoverpa assulta and Spodoptera exigua)

  • 이정호;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25-235
    • /
    • 1993
  • 담배나방(Heliocoverpa assulta)와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유충에 대한 유기인계 살충제인 다이아지논과 담배의 산물인 니코틴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다이아지논이 처리된 담배나방유충의 사망률은 파밤나방유충의 경우보다 훨씬 높았으며 니코틴 처리구에서는 이와 반대양상을 나타내었다. 담배나방유충 중장의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s (MFO) 활성은 다이아지논 처리구에 비해서 니코틴 처리구에서 더욱 높게 나타났다. 담배나방유충을 기주식물인 담배잎으로 사육하였을 때 다른 화합물과는 달리 대부분의 니코틴은 변화 없이 배설되었다.

  • PDF

Effect of Pesticide Residue in Soil on Silkworm, Bombyx Mori L- Survey Analysis

  • Jyothi, N.B.;Prashant, N. Bavachikar;Maribashetty, V.G.;Radhakrishna, P.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8권2호
    • /
    • pp.31-37
    • /
    • 2019
  • Silkworm larval mortality specifically during spinning stage leading to non-spinning with specific morphological symptoms was frequently complained by sericulturists in Karnataka, India during 2015. Survey was conducted and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from the identified farmers who faced the problem of non-spinning in both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areas of Karnataka.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blem is specific to the silkworm crop of those farmers' who shifted from other crops of agriculture/ horticulture/olericulture/ floriculture to Sericulture. Silkworm rearing performance of the batches fed with these leaves confirmed that the pesticide sprayed to the crops previous to mulberry, remain in the soil and when mulberry plantation is taken up in these gardens, the pesticide is absorbed by the roots of mulberry plants and transported to the leaves. Silkworms that feed on these mulberry leaves, grow and ripen normally but during spinning stage, larvae die with external symptoms like regurgitation, body shrinkage, rectal protrusion later become hook shaped leading to non-spinning or partial metamorphosis into pupa and death or spin flimsy cocoons. Larval mortality ranged from a minimum of twenty five percent to a maximum of hundred percent. The problem was noticed from the first harvest of leaves and lasted for a maximum period of 36 months. Cocoon crop loss depends on the concentration, duration and type of pesticides used previously for other crops.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의 유충사육 시 적정밀도 규명 (Investigation of the Proper Density for Rearing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 최성업;최인학;손진성;정태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1-194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and data for the management of insect breeding farms by identifying the appropriate density when rearing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The breeding box of the insects was filled with 2 L of fermented sawdust on a 50 × 35 × 15 cm sheet of plastic, and the density of the treatments was 200, 300 and 400 P. brevitarsi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larval stages. Each treatment was repeated five times, and the sawdust medium was replaced three times (10 interval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a total of 30 days from March 1, 2020. Overall, 200 P.brevitarsi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larval stages reared in the breeding box had a higher average survival rate and lower average mortality rate, thereby contributing to efficient production. In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a way to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through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insect breeding farms.

A Report on the Mass Mortality of the Farmed Japanes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on the Korean Coasts of the East Sea

  • Jo, Q-Tae;Kim, Su-Kyoung;Lee, Chu;Rahman, Mohammad M.;Lee, Chae-Sung;Oh, Bong-Se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3-96
    • /
    • 2009
  • Unexpected mass mortality has been one of the drawbacks in front of the stable production of Japanes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on the Gangwon coasts of the East Sea. The preliminary data from our routine observation revealed that the mortality appeared to be related to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in the farming site and the degree of the mortality was dependent on scallop strain. The present study performed to verify the preliminary findings exhibited that the mortality was closely related to daily temperature variation rather than monthly variation. Daily temperature variation was particularly damageable to the scallop during the temperature elevation period. Scallops from hatchery seeds (Chinese strain) were more tolerant against the temperature variation over those from wild seeds. The hatchery scallop gain of the temperature tolerance was probably due to their larval experience to higher temperature in the hatchery as well as their maternal genetic acclimation to upper temperature extreme of the Chinese environment which was recently foun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