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unit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3초

일본 대덕사의 용원완정원의 조직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Ryu Gen in at Aai Toku Ji temple in Japan.)

  • 안계복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13
    • /
    • 1996
  • This study is about to prove one factor among many ones that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he Japanese Garden's pattren. It is believed by this study that distinguished Japanese Garden's pattren are made possible by an organized ability of the japaneses traditional landscape artists who had ability to develope a diversified forms of applications within the organized framework. To verify this assumption, the study has chosen Ryu Gen In, temple garden that is considered to determine the pattren of Japanese Garden best with a new concept ; Organizati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as follows : 1. Ryu Gen In, consists of a series of building and five-small gardens, is largely organized by the union of two geometric formations : concave and convex. Each garden as a sub-organization is further organixed with a series of tree-branch typed structure. 2. The five-small gardens are formed jinto a whole system by connecting each one with floor. This connection makes a timely organization. 3. Each small garden is further organized alloted roles, namely, depends upon whether they play a major or minor role. 4. It is believed that sands and moss play a cotrolling role to conbine the elements into one within each unit of small garden. 5. It is found that figured sands, moss, sands and moss, or shrubs are used as means of organization to connect the small group elements within each small gardens. 6. It is considered that buildings and mud-walls are used as means of separation between Ryu Gen In and an outer world, and betwen small gardens.

  • PDF

어촌어항과 해수욕장의 워터프론트 개발 계획에 관한 연구 - 강원 안목항을 중심으로 - (A Study of Development on Waterfront of Fishing Village National Harbor and Swimming Beach - Foused on Anmock Harbor in Gangwon Province -)

  • 조원석;김흥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37-44
    • /
    • 2008
  • Both environments and landscape can be checked in development of waterfront, Nevertheless this conditions does not control at the programming phase as much as necessary in absorption speed of development.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for the environmental space and sustainable landscape. In case of Anmock Harvor, our team carried out interview method by satisfaction level and attractiveness to take requirements of users.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at fishing village-national harbor and swimming beach based on the waterfront scale, consists of pedestrian mall, promenade circulation, various water friendly park and beautiful pier. This study proposes two strategies for better life by waterfront space: first, renewal guideline is necessary to masterplan: second, systematic comprehensive plan can be established regal procedures(District Unit Plan & Agreement of Landscape) by participation of regional resident. This survey of waterfront spatial data is expected to use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fishing village, harbor and swimming beach.

  • PDF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근거한 조경분야 교육과정 개발 방법론 - 갭분석을 중심으로 - (A Methodology to Develop a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Focused on Methodology for Gap Analysis -)

  • 변재상;안성로;신상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0-53
    • /
    • 2015
  • 산업현장의 변화와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하여 2001년에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이하 NCS)와 국가자격체제(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s, 이하 NQF)의 도입이 결정되었다. 건설분야 내 조경 역시 2008년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조경"이 시범 개발되어 2009년부터 3년간 시범운영되었다. 특히 2013년 출범한 박근혜 정부의 주요 국정과제 중 하나로 '학벌이 아닌 능력 중심의 사회 구현'이 채택되면서,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NCS 체제 구축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시점이다. 그러나 국가에서 개발한 NCS의 경우, 이상적인 직무수행능력을 명시하였기 때문에 각 대학의 학생수준의 차이, 기자재와 교수들의 확보문제, 현행교육과정의 시수 문제 등 실질적인 운영상의 문제점을 반영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현실적인 교육과정에 연착륙시키기 위해서는 현재의 교육과정과 NCS와의 차이 즉 갭(gap)을 명확히 분석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갭분석은 기존의 교육과정을 NCS 기반 교육과정으로 개편하기 위한 초기 단계의 방법론으로 NCS 능력단위별 능력단위요소와 수행준거를 기준으로 학과 내 기존 교육과정과의 괴리도 혹은 일치 정도를 1에서 5까지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여 기입한 후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처럼 현재의 대학 내 교육과정과 NCS와의 일치 및 괴리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향후 NCS 운영을 희망하는 대학에서는 NCS의 적용 가능성과 개발 운영 이후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기초 도구를 확보할 수 있다. 갭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편의 장점으로는 첫째,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과 연계하여 정성적인 학과별 NCS 도입률에 대한 정량적 지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 개편 시 부족한 혹은 포화상태인 부분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제공해 준다. 즉, 해당 NCS 세분류 도입 시 부족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를 추출할 수 있으며, 기존 과목별 능력단위요소별로 보완 사항도 추출할 수 있는 동시에, 이를 통한 상세 강의계획서 및 기초 교과목 개설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장점이 있다. 다만, 현재까지 개발된 갭분석의 이론을 보완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정비해야 하는 과제는 남아 있다. 교육부, 고용노동부는 산업현장의 요구를 교육훈련 및 자격에 체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관련 산업계 인사들이 모여 실무적인 차원에서 NCS 표준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보급하여야 하며, NCS 적용을 희망하는 대학에서는 일과 자격이 연계될 수 있는 교육과정을 NCS 기반으로 개편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에서는 관련 산업 전망 및 대학 내 교수자원과 지역 산업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적용하고자 하는 NCS 세분류를 명확히 선정하여야 할 것이다. 이후 NCS 기반 교육과정 개편을 위해 갭분석을 사용하여 개편의 방향과 기준을 보다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수립하여 교육과정명세서에 대한 명확한 논리적 근거를 확보하고 있어야 과정이수형 자격제도에 효율적으로 동참할 수 있을 것이다.

Vegetation of the Khogno Khan Natural Reserve, Mongolia

  • Gombosuren, Tsolmon;Kim, Jong-W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6호
    • /
    • pp.365-370
    • /
    • 2001
  • The vegetation of the Khogno Khan Natural Reserve of the central Mongolia was studied in terms of the Zu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Twenty plant communities were identified from the three different landscape types such as mountain areas(63%), plains(32%), and wetlands(5%). Actual vegetation map using five vegetation domains was accomplish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egional vegetation. Steppe vegetation of 88% vegetation cover to the whole area is representative, which is composed of a matrix of landscape. The birch-aspen forests and the elm bush forests are relics as a patch distribution. It is recognized that the whole territory of protected area be under the effects of severe grazing from the phytosociological viewpoint.

  • PDF

도시림의 생태학적 진단과 생태적 관리시스템 개발 : 부산시 황령산을 중심으로 (Ecological diagnosis and Development of Ecological Management System of Urban Forest : On Mt. Hwangryung in Pusan, Korea)

  • 조현제;이창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6호
    • /
    • pp.779-789
    • /
    • 1998
  • The forest vegetation established on Mt. Hwangryung located in Pusan, southern Korea was analyzed through phytosociological procedure. Vegetation of the study area was categorized into 14 communities, 16 groups, and 13 subgroups. Vegetation units obtained from such an analysis were shown in a detailed vegetation map (scale 1:5,000).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vegetation unit we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restoration ecology. From tho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ome introduced vegetation under excessive artificial interference was in unstable state and then ecological restoration was needed. On the other hand, ecological information and management systems to maintain the urban forest as ecologically healthy state were developed using GIS.

  • PDF

서울 아파트 가구의 주거만족도의 원천에 관한 연구 -중심지와 외곽지 고충과 저층단지의 비교를 중심으로- (Source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Apartment Households in Seoul : A Contextual Analysis)

  • 김용일;여홍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7-58
    • /
    • 1989
  • ^x Residential satisfaction by apartment housing type and by location was examined in Seoul Korea for a sample of 303 housewives disaggregated into four housing subgroups. These group differ in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 by housing type and location.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and in their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several community, neighborhood and housing unit attributes. A regression model of satisfaction for entire sample explain about 45% of the variation, but this conceals the compositional and the contextual differences between groups. Seperate regression for the four groups explain an average of 63% of the variation in residential satisfaction. Residents of high-rise and low-rise apartments both of center and periphery location differ significantly both from each other. Results show that certain dwelling, neighborhood and community context elicit dissatisfaction across the full sample. The objective contextual factor of housing type prove significant in most compositional subsamples, indicating that source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re not same in everywhere.

  • PDF

국가민속문화재의 실측도면을 통해 살펴본 고택 정원의 기록화 경향 분석 (Trend Analysis of Documenting the Gardens of Old Houses with the Measurement Drawings of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

  • 임채연;이재용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3호
    • /
    • pp.46-58
    • /
    • 2022
  • 본 연구는 국가민속문화재의 기록화 보고서에 수록된 고택 94곳의 실측도면 188장을 토대로 식물, 기반시설, 단위시설, 구조물 등 정원 구성요소의 작성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측도면의 작성대상으로 식물과 구조물은 지속적인 등장을 보였으나, 기반시설은 누락된 경우가 많았다. 또한,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규모가 작은 단위시설도 이동, 멸실, 증설 등 잦은 변화로 빈번히 기록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둘째, 실측도면의 표현 수준은 구성요소별로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먼저, 단위시설은 시기에 따른 작성 수준의 편차가 컸고, 특히 후기로 갈수록 작성 수준의 양극화가 나타났다. 이는 특정 시설에 국한된 도면의 작성 수준은 향상되었으나, 다양한 단위시설에 맞는 표현 기법의 세분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전반적인 수준이 상향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한편, 식물, 기반시설, 구조물은 모든 시기에서 도면의 작성 수준이 유사하게 나타나 구성요소의 표현이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세부적인 표현 기법에서 식물의 경우 역사적 가치가 있는 노거수나 보호수의 구분 없이 식생 현황이 작성되었고, 무엇보다 외부공간의 식생 경관을 파악할 수 있는 식생 구조에 대한 기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기반시설에서는 대지의 높이나 경사 등 지형 변화를 체계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일관된 표현 기법이 부재하였다. 또한, 단위시설과 구조물은 하위 유형의 세분류가 정의되지 않아 기록 대상과 기록 방법이 전무한 상황이었다. 본 연구는 그간 고택에서 건축물에 집중되어 온 기록화의 범주를 정원으로 확대하고, 건축물과 외부공간이 일체된 공간으로 고택의 보존관리를 위한 정원 기록화의 필요성을 환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Evaluation of CO2 Storage and Uptake by Forest Landscapes in the Middle Region of Korea

  • Jo, Hyun-Kil;Ahn, Tae-W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9-149
    • /
    • 2013
  • Anthropogenic increases in 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primarily through radiative forcing from carbon dioxide, continue to challenge earth's climate. This study quantified $CO_2$ storage and uptake by dominant forest types and age classes in the middle region of Korea. In addition, the role of forest landscapes in reducing atmospheric $CO_2$ against $CO_2$ emissions based on energy consumption was evaluated. Mean $CO_2$ storage and uptake per unit area by woody plants for three forest types and four age classes were estimated applying regression equations derived to quantify $CO_2$ storage and uptake per tree; and computations per soil unit area were also performed. Total $CO_2$ storage and uptake by forest landscapes were estimated by extrapolating $CO_2$ storage and uptake per unit area. Results indicated mean $CO_2$ storage per unit area by woody plants and soils was higher in older age classes for the same forest types, and higher in broadleaved than coniferous forests for the same age classes, with the exception of age class II (11-20 years). $CO_2$ storage by broadleaved forests of age class V (41-50 years) averaged 662.0 t/ha (US$331.0 hundred/ha), highest for all forest types and age classes evaluated. Overall, an increased mean $CO_2$ uptake per unit area by woody plants was evident for older age classes for the same forest types. However, decreased $CO_2$ uptake by broadleaved forests at age class V was observed, compared to classes III and IV with an average of 27.9 t/ha/yr (US$14.0 hundred/ha/yr). Total $CO_2$ storage by woody plants and soils in the study area was equivalent to 3.4 times the annual $CO_2$ emissions, and woody plants annually offset the $CO_2$ emissions by 17.7%. The important roles of plants and soils were associated with 39.1% of total forest area in South Korea, and $CO_2$ emissions comprised 62.2% of the total population. Therefore, development of forest lands may change $CO_2$ sinks into sources. Forest landscape management strategies were explored to maintain or improve forest roles in reducing atmospheric $CO_2$ levels.

화단형 침투시설의 단위설계침투량 산정 및 효과분석 (Estimation of Appropriate Infiltration Rate and the Effects of the Flowerbed Type Infiltration System)

  • 한영해;이태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40-14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우수 유출량을 일정수준 이하로 제어할 수 있는 화단형 침투시설을 개발하여 이의 적정 설계침투량을 산정하고 적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침투시설의 설계침투량을 산정하고 성능을 분석하는 것은 지구단위계획과 같은 공간계획에 구체적으로 빗물침투시설을 계획할 경우에 적용 후 효과를 예측하는데 있어 반드시 검토되어야 할 사항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실험동 옆 주차장을 대상으로 본 시설의 단위설계침투량에 변화를 주어 물수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 유출량 감소효과를 분석하였다. 침투시설의 설계침투량을 $0.1{\sim}3m^3/m^2.day$로 각각 변화를 주어 유출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1.0m^3/m^2.day$에서 유출량 80%를 침투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때의 단위설계침투량이 0.0416($m^3/m^2.hr$)이었다. 또한 개발한 시스템을 현장침투실험한 결과, 단위설계침투량이 약 $0.045m^3/m^2.hr$으로 나타났다. 이 값은 시뮬레이션한 단위설계침투량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제적인 규모와 환경적 효과를 최대한 고려한 침투량 산정이 가능하였으며, 또한 도시에서의 녹색인프라로서 빗물침투시설을 공간계획에 적용할 때 고려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우리나라 조경식재공사의 근원직경 측정기준에 대한 조경식재 실무자들의 의식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Landscape Planting Practitioner about the Measurement Criteria of the Root Diameter of Landscape Trees in the Landscape Planting Construction, in Korea)

  • 한용희;민종일;김도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7-40
    • /
    • 2021
  •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 생산·유통·식재되고 있는 조경수목의 근원직경 측정에 따른 실무자들의 분쟁실태와 합리적인 근원직경 측정위치 설정에 대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조경 실무자들 연령에 따른 '근원직경 측정기준 적정성'에 대한 의식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한 결과, 유의수준 p<0.05에서 차이가 있었다. 조경실무자들의 연령에 따라 조경수목의 근원직경 측정에 대하여 적정성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은 나이가 적을수록 현장경험 차이 등 세대간 의식 차이로 생각되었다. 조경수목의 '근원직경 측정의 모호성'에서는 통계학적으로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 결과, 유의수준 p<0.05에서 차이가 있는 것은 직위별이었다. '조경수목 측정기준 개선'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수준 p<0.05에서 차이가 있는 것은 직장유형별이었다. 조경수목 측정기준개선에 대하여 직장유형별로 차이가 있는 것은 발주처와 시공사간 수직적 관계로 분쟁이 많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조경수목 굴취 시 '표토층 제거방지'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수준 p<0.00에서 차이가 있는 것은 연령별이었고, 유의수준 p<0.01에서 차이가 있는 것은 직종별이었으며, 유의수준 p<0.05에서 차이가 있는 것은 근무지역별이었다. 조경수목 굴취 시 '표토 제거와 이식 후 활착'에 대한 의식은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조경수목 '근원직경 측정기준 모호에 따른 분쟁 발생'은 직장별, 직종별, 직위별, 근무경력별 전체 평균이 3.85점으로 높았고, 공공기관보다는 조경업체가 더 높았으며, 직위가 높고 경력이 많을수록 분쟁 정도가 높았다. 조경수목 '근원직경 측정의 적정 높이에 대한 의식'은 지하부(33.0%)보다는 지상부(66.5%)의 직경측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식을 위한 조경수목 굴취 시 표토 제거는 지하 평균깊이 -2cm~-4cm가 84.0% 정도로 많았으며, 표토 제거 목적은 '규격과 단가를 높이기 위하여'가 전체의 59.7%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