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mellar

검색결과 397건 처리시간 0.026초

무지개송어의 해수순치과정에 일어나는 삼투조절세포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al Change of Osmoregulatory Cells during Seawater Adaptation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윤종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1-117
    • /
    • 2000
  • 양어장에서 염분농도가 각각 $5^{\circ}/_{\circ\circ}$, $10^{\circ}/_{\circ\circ}$, $15^{\circ}/_{\circ\circ}$$1.5m^3$인 사육조에서 순치 적응된 평균 체중이 130g인 smolt 단계의 치어와 870g인 성어의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 총 150마리를 공시어로 이용하여 아가미 및 신장의 미세구조의 변화를 알기 위해서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수에 순치 적응된 무지개송어에서 아가미엽의 비대와 아가미엽 상피세포의 분리 그리고 신사구체의 수축, 신장의 응혈 등의 조직학적 변화가 나타났다. 해수에 순치 적응된 개체의 삼투압은 당수에 서식하는 개체의 삼투압보다 높게 나타나서 평균 300 m Osmol 이상으로 나타났다. 삼투압의 증가는 염분과 무기질의 배출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혹은 체내의 삼투압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삼투압이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아가미엽의 염세포가 증가하는 발생정도는 염분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높게 나타났고, 아가미엽 표면은 염분농도가 높아질수록 요철상태가 심한 구조로 나타났으며, 길게 변형된 미토콘드리아가 관찰되었다. 무지개송어는 조직병리학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해수에 순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넙치의 미동정 진균 기생증 (A Mycosis of Unidentified Fungi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위식;백근식;김두운;서중경;오명주;강소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06-30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2014년 넙치 치어를 사용하여 실험하는 과정에서 폐사가 발생하였다. 병어는 외관상 특이한 증상을 보이지 않았으나 아가미에서 많은 양의 균사가 관찰되었다. 기생충과 세균은 병어로부터 분리되지 않았다. 진균에 감염된 넙치와 건강한 넙치를 혼합 사육한 결과, 건강한 넙치는 7일이내에 100% 폐사되었고 폐사어는 아가미에 진균이 심하게 감염되어 있었다. 병리조직학적 검사 결과, 아가미의 새엽, 새판 및 새파 주위에 균사체와 다수의 균사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넙치의 폐사는 진균 감염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Comparative histomorphologic study of regenerated bone for dental implant placement in the atrophied posterior maxilla

  • Kim, Se-Jung;Kim, Soung-Min;Kim, Ji-Hyuck;Park, You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1호
    • /
    • pp.28-3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generative capacity of reconstruction in the atrophied posterior maxilla by comparing bone graft procedures and alveolar distraction osteogenesis (ADO) techniques. We performed the autogenous iliac bone graft (AGB group, 5 specimens in 3 patients), and the combination (Mixed group, 3 specimens in 3 patients) of the autogenous and deproteinized bovine bone ($Bio-Oss^{(R)}$, Geistlich Co., Switzerland) as the ratio of 2:1 in the sinus floor elevation procedures. ADO procedures using $TRACK^{(R)}$ (KLS Martin Co., Germany) were also performed to augment vertical alveolar height in atrophied posterior maxilla (ADO group, 5 specimens in 4 patients). Newly generated bone tissues were obtained with the 2.0mm diameter trephine bur (3i Co., USA) during implant fixture installation after 5-7 months. Routine histolomorphological observation, immunodot blot assay for quantitative evaluation,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antibodies to MMP-1, -9, -10, TIMP-1, -2, and BMP-2, -4 were all carried out. Lamellar bone formation was well shown in all specimens and new bone formations of ADO group increased than those of other procedures. I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he strong expression of BMP-2 was shown in all specimens, and immunodot blot assay showed that bone formation is accompanied by the good inducti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angiogenesis and appeared more increased amount of osteogenic and angiogenic factors in ADO group. ADO is the most effective technique for new bone formation compared to sinus floor elevation with autogenous or mixed bone graft in the atrophied posterior maxilla. In the quantitative immunodot blot assay, the regenerated bone after ADO showed more increased products of VEGF, BMP-2, PCNA and MMP-1 than those after the other procedures, and these findings were able to be confirm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s.

폐포 단백증 3예 (Three Cases of Pulmonary Alveolar Proteinosis)

  • 김연재;한춘덕;차승익;김창호;이영석;박재용;정태훈;박태인;손윤경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4호
    • /
    • pp.416-423
    • /
    • 1993
  •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호흡기내과에서 운동시 호흡곤란을 호소하며 입원하여 개흉폐생검, 경기관지 폐생검 및 기관폐포세척을 하여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소견상 특징적인 lamellar body가 보이는 폐포단백증으로 진단된 3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였다.

  • PDF

블록공중합체 자기조립제어를 통한 무결함 나노구조제작 (Directed Assembly of Block Copolymers for Defect-Free Nanofabrication)

  • 신동옥;정성준;김봉훈;이형민;박승학;;;김상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1호
    • /
    • pp.1-6
    • /
    • 2008
  • 블록공중합체(block copolymer)는 각 고분자 블록의 상대적인 조성비와 분자량에 따라 구, 실린더, 라멜라 등의 다양한 자기조립 나노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블록공중합체의 자기조립 나노구조를 이용하여 나노복합재료, 포토닉 크리스탈, 나노선, 자기저장매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 등에 적용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블록공중합체 나노구조는 수많은 결함구조들을 포함하고 있어 실제 소자 적용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블록공중합체 나노구조의 실제적인 응용을 위해서는 박막상태의 시료 내에서 나노구조의 배향과 배열을 원하는 형태로 조절할 수 있는 공정의 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즉, 블록공중합체의 자기조립을 나노기술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대면적으로 완벽히 제어된 블록공중합체 나노구조를 구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은중독에 의한 붕어(Carassius carassiusr L.) 장기의 미세구조 변화 (Ultrastructural Studies on Mercury Poisoning in the Liver, Kidney and Gills of Carassius carassius L.)

  • 등영건;유관희;최춘근;최임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87-102
    • /
    • 1978
  • 수은이 붕어(Carassius carassius L.)의 간, 신장 아가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붕어를 1 ppm, 2.5 ppm 농도의 $HgCl_2$에 노출시킨 후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그들의 미세구조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은에 처리된 간세포에서는 lysosome이 증가하였으며 결정상의 구조물들을 포함한 원형의 lysosome과 히ㅛ\ulcorner두과립이나 mitochondria를 탐식한 lysosome의 2가지 형태가 관찰되었고 mitochondria는 팽대되어 내부 기질의 전자밀도가 감소되었으며 핵에서는 인의 분리현상이 관찰되었다. 2. 신장의 변화로서는 신사구체 기저막의 비후와 기부선회소관에서는 공포들의 증가와 cytoplasmic body들이 출현하였으며 공포형성은 mitochondria와 연관되어 일어났다. 또한 2.5 ppm에서는 핵의 위축이 관찰되었다. 3. Gill lamella의 상피세포에서는 대, 소형의 lysosome이 증가했으며 lamella의 막에 fuzzy한 구조가 관찰되었다. 4. 본 실험에서 관찰된 결과로써 수은에 의해 초래된 세포의 미세구조의 변화는 세포의 해독과정을 활성화시키며 energy대사과정을 손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공단량체의 종류 및 조성이 지글러-나타 중합된 이중 분자량 분포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onomer Type and Content on the Properties of Ziegler-Natta Bimodal High-Density Polyethylene)

  • Meng, Weijuan;Li, Hongbo;Li, Jianwei;Chen, Biaohua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673-679
    • /
    • 2011
  •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을 중합함으로써 다양한 공단량체의 종류와 조성을 갖는 이중 분자량 분포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합성되었다. 이들의 구조와 물성을 GPC, NMR, DSC, 인장 측정기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가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보다 비슷한 조성을 가질 경우 높은 인장강도와 파단연신율을 가짐을 확인 하였다. 분자량은 고분자의 공단량체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짧은 곁사슬은 결정화도에 영향을 주어 결과적으로 이중 분자량 분포를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모폴로지와 기계적 물성에 영향을 미쳤다. SSA로 처리 후 다수의 발열 곡선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주로 에틸렌 배열길이와 라멜라 두께의 불균일성에 기인한다. 분포지수의 차이로부터 공단량체의 조성이 높은 폴리에틸렌의 SCB 분포가 균일도를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성견에서 임프란트 매식시 골형성단백 사용에 따른 골재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FFECTS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 BONE REGENERATION OF IMPLANTS IN DOGS)

  • 조진희;방몽숙;이종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93-607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bone morphogenetic protein, bone matrix gelatin and collagen matrix on the amount and shape of generating new bone adjacent to the implant. Implants were inserted in the mandible of adult dogs at 2 months after teeth extraction. Artificial bony defects, 3mm in width and 4mm in depth were made at the mesial and distal side of implant.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Group 1 : Defects filled with collagen matrix and bone morphogenetic protein, Group 2 : Defects filled with bone matrix gelatin. Control group : Defects filled with only collagen matrix. After implantation,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1,3,5 and 10 weeks for light microscopic examination. For the fluorescent microscopic examination. each tertracycline Hcl and calcein were injected at 1, 3, 5, 8 and 10 weeks after implanta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molecular weight of bovine BMP was about 18,100 by hydroxyapatite chromatography. 2. Osseointegration was observed in experimental groups 1 & 2, and BMG and BMP had an excellent bone forming capability as a filling materials to the repair of the bone defects. 3. The degree of healing of bone defect area, the experimental group 1 showed more prominent bone formation than contro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fibrous connective tissue between the implant and the bone. 4. In the fluorescent microscopic findings, bone remodelling was observed regenerative lamellar bone at defect area in experimental group 1, and partial remodelling in experimental group 2, In the control group, fibrous connective tissue was observed between the implant and bone surface and sign of remodelling was not apperaed. Above results suggest that BMP has rapid osteoinductive property and can be used clinically as a bone substitute on bone defects around implants.

  • PDF

Candide species와 Cryptococcus neoformans의 전자현미경적 미세구조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Ultrastructural Study on four Candida species and Cryptococcus neoformans)

  • 윤철종;김성권;김수성;지제근
    • Applied Microscopy
    • /
    • 제23권2호
    • /
    • pp.97-106
    • /
    • 1993
  • This study was done to elucidate the electron microscopic characteristics of certain pathogenic fungi. Four Candida species, (C. albicans, C. tropicalis, C. parapsilosis and C. glabrate) and Cryptococcus neoformans were cultured for 3 days at $30^{\circ}C$ in the Sabouraud dextrose medium. After incubation, they were stored at $4^{\circ}C$ for 24hours. Fine structures were analyzed by morphometry, and Tukey's HSD test was used for statistics. 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C. albicans and C. neoformans were similar in size but different in shape, showing sphero-shape or ovalo-shape in C. neoformans. Surface of C. neoformans was coarse and spiny, but Candida species examined were uniformly smooth. In size, C. glabrata was the smallest among them. Budding scar as seen on the surface of Candida species by the number ranging from 1 to 7. Cryptococcus neoformans showed one or two budding scar. 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cytoplasm of most yeast cells showed plentiful glycogen particles, mitochondria, peroxisomes and vacuoles. However, cell walls were different among four Candida species and Cryptococcus neoformans. The cell wall of Candida species consisted of fibrous layer, that was electron dense layer and transparent layer, in contrast to Cryptococcus neoformans consisted of electron dense layer with lamellar structure. This layer was two times thicker than that of Candida species. The outer layer of cell wall was of radiating pattern.

  • PDF

TiAl-Nb 합금의 고온상변태와 일방향응고에 관한 연구 (Study on High Temperature Phase Transformation and 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TiAl-Nb Alloy)

  • 박종문;장호승;김성웅;김승언;손지하;오명훈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227-233
    • /
    • 2016
  • Phase transformation phenomenon at high temperature was investigated by using designed TiAl-Nb alloys with addition of the ${\beta}$ stabilizer. Examination of dendritic morphologies in arc-melted button ingot could reveal the crystallography of the primary solidification phase.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 of ${\beta}$ stabilizer(Nb) shifted the high temperature region of the binary Ti-Al phase diagram to the high Al composition side so that ${\beta}$ phase forms as a primary crystal even at higher Al composition compared with the binary Ti-Al system. The ${\beta}$ was found to be the primary solidification phase for alloys with Al content less than about 52 at.%. The composition of ${\beta}$ solidification in Ti-Al-Nb ternary system could be determined from the partial liquidus projection which was constructed by observing the microstructure of arc-melted buttons. The Ti-46Al-(6, 8)Nb composition was selected for ${\beta}$ solidification and the directional solidification was performed by a floating zone-type DS apparatus at the growth rate 30 mm/hr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