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ke-type dam lak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9초

한강 수계 주요 인공댐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of Major Dam Reservoirs in Han River System)

  • 윤석제;박혜경;신경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17-325
    • /
    • 2010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hydrological and physical-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in major five dam reservoirs in the Han River water system. Annual average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Lake Paldang, Lake Cheongpyeong and Lake Doam was higher than that of Lake Chungju and Lake Hoengseong. The opposite seasonal variation patterns of phytoplankton growth were observed in dam reservoirs; the highest biomass in spring of dry season in Lake Paldang, Lake Cheongpyeong which are the river-type reservoirs and Lake Doam where turbidity was high throughout the year, and in summer and autumn of rainy season in Lake Chungju and Lake Hoengseong which are the lake-type reservoirs, indicating that the seasonal pattern for growth of phytoplankton in on-river reservoirs is mainly determined by hydrologic characteristics. The dominant species of phytoplankton in Lake Paldang, Lake Cheongpyeong and Lake Doam, where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was relatively high, were Bacillariophyceae such as Stephanodiscus hantzschii,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in Lake Paldang and Lake Cyeongpyeong and Nitzschia spp. in Lake Doam throughout all season. The dominant species of phytoplankton in Lake Chungju and Lake Hoengseong which showed the oligo-mesotrophic state, were Bacillariophyceae such as Stephanodiscus hantzschii, Cyclotella pseudostelligera in spring and winter, but Cyanophyceae such as Microcystis spp. in summer.

Landsat 시계열 영상을 이용한 한강 수계 호수 수온과 계절적 성충 현상 분석 (Analysis of Lake Water Temperature and Seasonal Stratification in the Han River System from Time-Series of Landsat Images)

  • 한향선;이훈열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3-271
    • /
    • 2005
  • Landsat 시계열 영상과 실측수온자료를 이용하여 한강 수계 댐호들의 표면수온과 계절적 성층현상을 분석하였다. 1994년에서 2004년까지 29회에 걸쳐 얻어진 Landsat-5, 7 열적외선 영상으로부터 NASA 경험식을 이용하여 호수의 표면수온을 추출하였고, 이를 하천형 댐호인 파로호, 춘천호, 의암호, 청평호, 팔당호의 표층수온, 그리고 호소형 댐호인 소양호의 상층수온(수심 10m) 자료와 비교하였다. 십 수 년간 매월 1회 측정된 수온자료를 위성관측 날짜에 보간하여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하천형 댐호들에서는 수온오차(위성관측수온-실측보간수온)의 표준 편차가 $2^{\circ}C$ 이하인 영상이 94개로서, 새로운 통계적 대기보정을 적용할 수 있었다. 실측보간수온과 위성관측수온의 상관계수는 소양호가 0.915 (대기보정 후 0.950), 다른 호수는 0.951-0.980 (대기보정 후 0.979-0.997)로서,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수심이 얕고 인위적인 물의 유입과 유출이 연중 계속되는 하천형 댐호의 표층에는 혼합층이 상시 존재하고 수온의 일변화 및 월변화가 비교적 연속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소양호에서는 4-7월에 위성관측수온이 실측보간수온보다 $3-5^{\circ}C$ 더 높게 나타나는 이상 수온오차가 관찰되었다. 한강 수계의 최상류에 위치하며 수심이 깊고 자연적인 유입량만이 존재하는 소양호에서 이 시기는 상층수의 물리적 혼합현상이 없이 매우 안정적이고, 일조량 증가에 따라 호수 상층부에 수온약층이 발달하기 때문에, 수심 10m에서 측정된 실측수온보다 위성으로 관측된 표면수온이 연중 비교적 건조한 이 시기에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댐 저수지 내 습지 유형 및 기능평가 연구 - 보령호를 중심으로 - (Type Classification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a Dam Lake - In the Case of the Boryung Lake -)

  • 양병호;조운식;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80-91
    • /
    • 2005
  • This research aims to classify wetland types and evaluate functions of a dam lake. The case study area is Boryung lake in Boryung City. In this study was carried out based upon field surveys, drawing maps and publication, and modified-RAM which can evaluate the general functions and conservation values of wetlands. Eight functions of 2-12 variables each are analyzed for assessing the wetland functions. The analysis shows that several types of wetlands were identified, such as Palustrine/ Perennial/ Hydrophytes, Palustrine/ Perennial/ Openwater, Palustrine/ Seasonal/ Herbal, Palustrine/ Seasonal/ Shrub and Scrub, Palustrine/ Seasonal/ Hydrophye, and Riparian/ Seasonal/ Shrub in the Boryung lake. The average level of functions of the wetlands is very "HIGH", and it is recommended that prompt conservation measures should be taken.

키르기스스탄 코코메렌강 유역의 대규모 산사태 유형과 지형 발달 (Types and Geomorphic Development of Large Landslides in the Kokomeren River Basin, Kyrgyzstan)

  • 오정식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4
    • /
    • 2019
  • Large landslide is a type of mass movement that causes drastic landform changesin a short period, and it causes huge human and property damage over a large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large landslides around the Kokomeren River basin, Kyrgyzstan and to discuss the geomorphic development after the large landslides. The topographic analysis about a total of 20 landslides documented collapsed volumes of 0.01 to 1.10 km3, height drops of 180 to 1,770 m, and runout distances of 1,200 to 5,400 m. Rock avalanche and rockslide are identified as major types of large-scale landslides in the study area. Rock avalanches can be divided into P-type, J-type, and S-type based on the features of slope failure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rock debris. Landslide synchronistic landforms such as trimlines, transverse ridges, longitudinal ridges, levees, and hummocks are well developed in the rock avalanche. The pieces of evidence of landslide dam, landslide-dammed lake, and remnant outburst flood deposits are observed i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where the rockslides occurred. The Ak-Kiol landslide dam is the best example of a geomorphic development due to lake spillover and the large landslides were likely to be triggered by huge paleo-seismic events.

의암호 수체 흐름과 혼합 패턴에 관한 모델 연구 (A Hydrodynamic Modeling Study to Analyze the Water Plume and Mixing Pattern of the Lake Euiam)

  • 박성원;이혜원;이용석;박석순
    • 생태와환경
    • /
    • 제46권4호
    • /
    • pp.488-49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상류 댐 및 유입 지류의 물리적,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의암호 수체의 혼합 거동을 해석하고 수질 분포에 미치는 인자로 수체간 혼합 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3차원 시변화 모델, GEMSS 모델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실측 자료를 바탕으로 적용 모델의 재현성을 검토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된 GLLVHT 모델은 상이한 강우 및 유량 조건에서 의암호 내 열수지 및 수체 혼합 특성을 잘 재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모델 보정 결과를 바탕으로 의암호의 수온, 전기전도도 그리고 체류시간의 시 공간적 분포와 유입지류의 흐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의암호는 상이한 목적을 가진 소양강댐과 춘천댐의 방류량과 유입 지류의 큰 변동폭에 수리 및 수질이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의암호는 봄과 여름철에는 수온이 높은 춘천댐의 방류량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크게 받아, 전체적으로 높은 수온 분포를 나타낸다. 반면 가을과 겨울철에는 소양강댐의 방류 유량이 많고 수온이 높고, 춘천댐의 유량이 매우 적어 상대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낮은 소양강댐 방류수의 수온이 의암호의 온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기전도도는 춘천하수처리장과 공지천의 높은 유입으로 하류 의암댐 부근까지 높은 전기전도도의 분포를 나타낸다. 의암호의 체류시간은 춘천댐과 소양강댐의 방류수가 유입되는 상류 수역은 체류시간이 비교적 짧게 나타나며 의암댐 부근의 하류에서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도 부근의 낮은 수심으로 인해 소양강댐 방류량이 많은 시기에는 역류현상이 발생하여 체류시간이 일시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하중도의 우안에서 공지천과 춘천하수처리장이 유입되는 수역, 중도의 우안에서는 연중 20일 이상의 체류시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정체수역에서는 지류들의 혼합률이 저하되고 유속이 낮은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식물성 플랑크톤의 과대성장 우려가 있어 수질관리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여름철 집중 강우시에는 유입 및 유출의 급격한 증가로 체류시간은 크게 감소하며, 춘천댐과 소양강댐의 방류수는 약 10일 이하의 짧은 체류시간으로 의암호로 유입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의암호 내 표층에서는 소양강댐의 방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중도의 우안의 상류부까지 소양강댐의 방류수가 역류하는 현상이 나타나며, 중도의 좌안과 붕어섬 상류부에서 소양강댐 방류수가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춘천댐의 방류량이 큰 경우에는 소양강댐의 방류수가 중도 좌안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며 우안을 따라서 그대로 방류되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붕어섬 상류부를 통하여 춘천댐의 방류수가 중도 좌안 및 소양강댐 방류 합류지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공지천의 방류수는 소양강댐의 방류수가 많은 시기에 동시에 증가하여 공지천과 의암호 합류부의 상류로 역류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남강댐 선버들 군락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on water quality in Namgang Dam reservoir)

  • 김기흥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12호
    • /
    • pp.1065-1076
    • /
    • 2022
  • 본 연구는 남강댐에서 대규모 선버들 군락의 확장과 고사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선버들 군락의 분포면적은 최초로 2003년에 0.12 km2였으나 2019년에는 3.58 km2로서 16 년 사이에 약 30 배로 급격하게 확장되었다. 그러나, 2013년에는 일부가 고탁도 장기 침수와 선버들 군락 내에서의 자기 솎음질(self-thining)에 의하여 분포면적이 0.17 km2 감소했다. 남강댐 저수지의 호소특성은 평균수심, 유역면적/호수 수면적 비, 체류시간, 회전율 및 성층화 등의 측면에서 호소형과 하천형이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호소수질에 대한 장기변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 대규모 선버들 군락지에서 COD, TP 및 엽록소 a 등이 남강댐 수역의 중앙부에 위치한 3 개 지점에 비하여 현저하게 크게 나타났다. 특히, 엽록소 a의 값이 남강댐 수질측정망 3 개 지점의 경향과 다르게 여름이 아닌 겨울에 최대값을 나타내는 것은 외부의 유입보다는 내부에서 발생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남강댐 저수지에서 수질 악화의 한 가지 원인은 선버들 군락에서 낙엽, 가지 및 고사목 등 부산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양의 영양염류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대기 중 수은의 습식 침적 평가: 소양호를 중심으로 (Estimation of Atmospheric Mercury Wet-deposition to Lake So-yang)

  • 안명찬;한영지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93-703
    • /
    • 2008
  • The important source of the mercury in water-column is the influx of atmosphere mercury, via dry and wet deposition. In this study, wet deposition of mercury was estimated to be $14.56{\mu}g/m^2$ during 15 months at the Lake Soyang, which is a little higher than those observed in the several rural US Mercury Deposition Network (MDN) sites with similar precipitation depth. The mercury concentration in precipitation did not show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tmospheric RGM (reactive gaseous mercury) concentration, while maintaining good correlation with atmospheric $PM_{2.5}$ at Soyang Dam.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ontribution of particulate Hg to the total Hg wet deposition should be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RGM. In this study, both precipitation depth and precipitation type affected the amount of wet deposition and the concurrent mercury levels in precipitation. There was generally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depth and Hg concentration in precipitation. Precipitation type was another factor that exerted controls on the Hg concentration in precipitation. As a result,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Hg was observed in snow, followed by in mixture (snow+rain) and in rain.

저수지의 수질 관리를 위한 산기판형 인공 순환 장치의 설계 방법 개발 (Design Method of Diffuse Bubble Plume Aerators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of Reservoirs)

  • 서동일;송무석;황현동;최재훈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7-444
    • /
    • 2004
  • To control algal bloom in reservoirs in Korea, artificial circulation systems have been applied. Diffuser block aeration systems have been increasingly used in Korean reservoirs especially for shallow ones. However, there has been no sound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system. Also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post-installation studie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As a result, it has been repeatedly reported that the success of the system is not certain. Proper consideration on thermal stratification regimes of reservoirs and flow dynamics induced by bubble plumes are essential elements in design processes of the aeration system. This paper discusses the current methods in the design of diffuser type aeration system and suggests a new design method based on fluid mechanical theory. Example calculations were discussed using observed data of the Yeoncho Dam and it seems that the results represent the current situation successfully.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운영특성 및 설계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erating Characteristics and Design Factors of Floating Photovoltaic Generating Facilities)

  • 김현한;김광호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6권10호
    • /
    • pp.1532-1539
    • /
    • 2017
  • The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is a new concept in the renewable energy technology. That is similar to land based photovoltaic technology except floating system. So the system needs buoyant objects, mooring, ect, besides modules and supports, and that is able to withstand in water level changes and wind strength. Therefore the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is much different from land photovoltaic system. K-water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has been operating two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that's capacity is 100 kW and 500 kW respectively since in summer 2011 for commercial generation, and have construction project for 2,000 kW in Boryeong multipurpose Dam and other areas. Furthermore K-water was developing a tracking-type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at Daecheong multipurpose Dam and developed and installed an ocean floating photovoltaic demonstration plant at Sihwa Lake in October 2013 for R&D.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at structure of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include buoyant structure, mooring system and auxiliary device. Especially the rope which is in part of mooring should be always maintain tension under any water level. Also we explain about structure design concept to wind load in an every loading condition and a kind of structure materials and PV structure types used in water environment. Especially ocean floating PV system is affected by tidal current and typhoon. So there are considering the elements in design. Finally we compare with floating and land photovoltaic on power amount. As a result of that we verified the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is more about 6.6~14.2 % efficiency than a general land photovoltaic system.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경상도편 「산천(山川)」 항목에 수록된 수경(水景) 요소의 특징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Waterscape Elements from the Chapter 「Sancheon」 of the Volumes Gyeongsang-province in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

  • 임의제;소현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5
    • /
    • 2016
  • 본 연구는 용어의 개념과 차이점을 명료하게 규정하기 어려운 전통 수경(水景) 요소의 쓰임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문헌분석을 위주로 진행되었다. 조선 전기 관찬(官撰) 지리지인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경상도편 "산천" 항목에서 수경과 관련된 지명을 발췌하여 다양한 수경 요소를 파악하고, 사전적 정의와 원문에 대한 해석 및 유사 사례 고찰을 통해서 수경 요소별 특징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1. "산천" 항목에 수록된 수경은 22개 요소였으며, 이를 입지와 물 흐름의 방식에 따라서 하천경관, 호소(湖沼)경관, 해안경관으로 분류하였다. 2. 자연적 물 흐름을 항시 유지하는 하천경관은 물줄기의 위계와 관련된 선적(線的) 형태의 '수(水)', '강(江)', '천(川)', '계(溪)'와 감입곡류하천 특성으로 인해서 형성되는 점적(點的) 형태의 '탄(灘)', '뢰(瀨)', '폭(瀑)', '저(渚)'로 구성된다. 3. 일정 구역에 모인 물 형태를 갖는 호소경관은 '강'의 중하류에 형성된 넓고 잔잔한 지점을 일컫는 '호(湖)', 하천 중상류 유로 상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연(淵)', '담(潭)', '추(湫)', 평지에 모인 물로서 '지(池)', '당(塘)', '택(澤)', 그리고 자연적으로 솟아나는 샘을 지칭하는 '천(泉)', '정(井)'으로 구성된다. 4. 해안경관에는 육지와 섬, 혹은 섬과 섬 사이 공간을 지칭하는 '량(梁)'과 '항(項)', 바다를 향해 돌출된 '곶(串)', 바닷가 모래사장 형태의 '정(汀)', 그리고 도서 지역의 지리적 중요성이 반영되어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인 '도(島)'가 포함된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전통 수경 요소의 다양성을 파악하였으며, 이들이 입지적, 경관적, 기능적으로 차별화된 특징을 반영한 개념이라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서 선조들의 자연경관에 대한 관심과 예리한 관찰력으로 형성된 자연에 대한 심미안이 인공을 최소화하고 자연이 주체가 된 우리 전통정원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바탕이 된 것으로 이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