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ke soyang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7초

소양호에서 유기탄소와 $COD_{Mn}$과의 상관관계 (Relationships Between Organic Carbon and $COD_{Mn}$ in a Deep Reservoir, Lake Soyang, Korea)

  • 최광순;김범철;김형봉;사승환
    • 생태와환경
    • /
    • 제33권4호통권92호
    • /
    • pp.328-335
    • /
    • 2000
  • 현재 우리나라에서 수중의 유기물양의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COD_{Mn}$법이 지표로서 적합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소양호의 댐앞지점과 유입수를 대상으로 유기물양과 $COD_{Mn}$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소양호를 표충, 중층, 심층으로 나누어 $COD_{Mn}$ 법에 의한 각 충의 유기물산화정도를 비교하였다. 소양호의 유기물농도와 $COD_{Mn}$ 비는 계절에 따라 매우 상이하였고, 수층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다. 유입수에서도 홍수기를 전후로 하여 유기물농도와 $COD_{Mn}$ 비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COD_{Mn}$ 법에 의한 소양호의 유기물의 산화는 평균 40% 정도로 낮은 값을 보였다. 특히 심층의 유기물은 $COD_{Mn}$ 법에 의해 산화되는 양이 30%이하로 매우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COD_{Mn}$ 법이 호수와 하천의 유기물양을 제대로 대변하고 있지 못할 뿐 아니라 계절에 따라 유기물의 조성이 변할 때 $COD_{Mn}$ 법에 의한 유기물산화력이 변한다는 단점을 보여준다.

  • PDF

소양호에서의 종속영양세균의 종구성 및 Alkaline phosphatase 분비 세균에 관한 연구 (Heterotrophic Bacterial Community and Alkaline Phosphatase Releasing Bacteria in Lake Soyang)

  • 이동훈;안태석;조규송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04-209
    • /
    • 1990
  • 1987년 9월부터 1988년 8월까지 소양호 4개 정점에서 총 세균수, 종속영양세균수의 분포와 각 종의 alkaline phosphatase의 분비 비율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총 세균은 $3.2{\times}10^{5}$ - $3.2{\times}10^{6}$ cells/${\mu}\ell$의 범위였으며, 종속 영양세균의 총 세균수는 0.07-2.63%이였다. 종속영양세균의 종 당양성은 여롬과 양어장 인근, Peridinium이 발생하는 곳에서 낮았다. Pseudomonas. Flavobacterium은 모든 정점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Alkaline phosphatase를 분비하는 비율과 활성도는 Flavobacterium에서 높게 나타나, 유기인산염 분해에 우점세균 중 가장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소양호, 남양호, 안동호 및 춘천호에 서식하는 잉어과 어류의 간흡충 Clonorchis sinensis 감염 조사 (Infestation Status of Clonorchis sinensis Metacercariae in Cyprinid Fish from four Artificial Lakes in South Korea)

  • 전상우;허준욱;송준영;지보영;이정호;권준영;권세련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6-100
    • /
    • 2018
  • 간흡충(Clonorchis sinensis)은 우리나라에서 인체 감염율이 가장 높은 기생충이며, 이는 담수어류를 중간숙주로 삼는다. 따라서 강 유역에 서식하는 담수어류를 대상으로 간흡충의 메타세르카리아(Clonorchis sinensis metacercariae, CsMc)가 감염되어 있는지를 조사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으나 호수에 서식하는 물고기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인공호수인 소양호, 남양호, 안동호, 춘천호에서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잉어과어류를 채집하여 CsMc의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생흡충류의 메타세르카리아는 남양호에서 채집한 치리 및 붕어와, 소양호에서 채집한 피라미와 끄리에서 관찰되었다. 간흡충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 남양호의 치리에서 관찰된 것이 CsMc 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주요 인공호수에 서식하는 잉어과어류에서 CsMc의 감염 실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남양호의 치리에서 CsMc 감염을 처음으로 보고하고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Statistical Atmospheric Correction of Lake Surface Temperature from Landsat Thermal Images

  • Han, Hyang-Sun;Lee, Hoon-Yol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418-421
    • /
    • 2005
  • In this study, we analyzed surface temperature of lakes in the Han River system, using Landsat-5 and -7 time-series images. Surface temperature was extracted using NASA equation and compared with in situ 10m-depth temperature in Lake Soyang and surface temperature on five other dam lakes downstream. The 24 images out of 29 showed standard deviation of temperature difference less than $2^{\circ}C$, to which a novel statistical atmospheric correction could be appli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950 at Lake Soyang and 0.979-0.997 at the other lakes after atmospheric correction.

  • PDF

Image Analysis of Bacterial Cell Size by Diurnal Changes in Lake Soyang, Korea

  • Choi, Seung-Ik;Ahn, Tae-Seok;Kato, Ken-Ji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4권4호
    • /
    • pp.300-304
    • /
    • 1996
  • To define the effects of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to bacteria, bacterial numbers, frequency of dividing cells (FDC) and size distribution were performed with image analysis in the surface layer of Lake Soyang. In August 1992, when Anabaena was blooming, the bacterial number increased at daytime. Bacterial numbers and FDC value had a negative correlation (r = 0.83, P < 0.01). Bacterial size spectrums were dynamically changed during the day and night, especially the small bacteria less than $0.5\;{\mu}m^3$. Meanwhile, in October, after the bloom, the bacterial number was only one third of that in August, even though the FDC was higher than that in August. The bacterial numbers of small size class dropped at 13:00. But the size spectrums were relatively constant during the night ti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acterial growth was tightly coupled with phytoplankton during Anabaena bloom. And after the bloom, the bacterial number was controlled grazing activity of zooplankton at daytime.

  • PDF

호수 생태계에서 세균 생산량 측정 방법의 비교 (Comparison of Methods for the Measurement of Bacterial Production in a Lake Ecosystem)

  • 김명운;강찬수;김상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18-323
    • /
    • 1990
  • The bacterial secondary production was measured at 6 sites of Lake Soyang in October, 1989 by $^{3}$H-thymidine incorporation rate. Verfication for the method of bacterial secondary production measurement showed that $^{3}$H-thymidine incorporated into DNA, RNA and protein by average percentage of 38.45, 42.27 and 20.07%, respectively. THe more increased incoporated $^{3}$H-thymidine, the more increasde DNA fraction, but protein fraction was generally low. Incorporation of rate of /usp 3/H-thymidine. $^{3}$H-leucine into protein correlated with protein fraction of incorporated $^{3}$H-thymidine. Conversion factors were calculated as follows; $1.83*10 ^{20}$ cells/moles of thymidine incorporated/hr and 1.69*10$^{22}$ cells/moles of leucine incorporated/hr.

  • PDF

소양호 수중 생태계에서의 세균 생체물질량의 분포 (Distribution of bacterial biomass in the water column of Soyang lake)

  • 김명운;강찬수;김상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0-138
    • /
    • 1989
  • 소양호에서 측정된 세균 체적, 세균 생물량 및 세균 생산량 등의 미생물학적인 요인의 변화에 미치는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의 영향을 통계학적 방법으로 분석을 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과 중회귀 분석 결과 수온은 대부분의 미생물학적 요인에 폭넓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총 세균수, 세균 체적, 세균 생물 량 및 saprophyte 수외 변화는 엽록소 a와 pheophytin a의 존재와 높은 상관관계를, $^{3}H$-thymidine incorporation rate에 의해 측정된 세균 생산량은 seston의 농도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양호 수중생태계에서의 세균 체적 및 세균 생물량의 미생물학적 요인은 미생물 군집에게 탄소와 에너지원으로 작용하는 유기물질의 제공원인 식물성 플랑크톤의 분포와 seston의 농도에 의해 조절되고 있음을 시사하여 준다.

  • PDF

춘천댐 및 소양강댐 운영에 따른 의암호 조류 저감 연구 (Study of the Mitigation of Algae in Lake Uiam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huncheon Dam and the Soyang Dam)

  • 이동열;백경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2호
    • /
    • pp.171-17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본류 상류에는 춘천댐, 하류에는 의암댐 그리고 지류엔 소양강댐이 위치한 의암호를 대상으로 댐 운영에 따른 조류 저감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3차원 수리 및 수질모의가 가능한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EFDC) 모형을 활용하였고, 실제 조류경보 수준의 녹조가 발생한 2018년 하절기를 대상으로 총 9가지 댐 운영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조류저감 특성을 분석하였다. 댐 운영 시나리오는 각 댐 별 수위에 따른 방류 가능량을 참고하여 상류 춘천댐과 소양강댐에서 펄스파 형태로 특정기간 일정하게 방류하고, 하류 의암댐은 수위를 낮춰 플러싱(flushing) 효과를 유발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의암호는 기저 수온이 서로 다른 북한강과 소양강의 영향 및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댐별 운영에 따라 영향권이 상이하였으며, 각 지점별 조류 저감량이 달랐다. 호 내 좌안 지점의 경우 소양강댐에서 3일간 50 m3/s로 펄스 방류할 경우 클로로필-a의 첨두치가 약 50 %이상 저감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반면 우안 지점의 경우 소양강댐 방류량이 조류 저감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녹조가 급격히 번무하는 비상 상황의 경우 의암호와 같이 상하류에 대형댐이 존재하는 수역에서는 적절한 댐 운영이 특정 지점의 녹조 저감에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이다.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담수산 패류 (참재첩)의 섭식효과 (Filter-Feeding Effect of a Freshwater Bivalve (Corbicula leana PRIME) on Phytoplankton)

  • 김호섭;신재기;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34권4호통권96호
    • /
    • pp.298-309
    • /
    • 2001
  • 영양상태가 다른 두 호수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대한 담수산 패류의 섭식 효과를 2000년 6월부터 9월까지 조사하였다. 실험은 10 l 플라스틱 용기에 패류를 투입하지 않는 것과 투입한 것으로 처리되었고 2반복으로 수행되었다. 수체 내 존재하는 총질소와 총인 그리고 엽록소 a 농도는 소양호에 비해 일감호에서 월등히 높았다(p<0.01). 일감호에서 우점한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거의 대부분 남조류 였던 반면 소양호에서는 편모조류가 우점하였다. 패류가 투입된 용기 내 총 식물플랑크톤의 감소율은 소양호와 일감호에서 각각 $1.70{\sim}7.39\;d^{-1}$그리고 $0.38{\sim}1.64\;d^{-1}$의 범위였다. 시간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변화를 바탕으로 한 패류의 유기물함량에 따른 여과율(FR; $ml\;mgAFDW^{1}\;h^{-1}$)은 일감호(0.24${\sim}$0.88)에서 보다 소양호(1.70${\sim}$3.06)에서 높았다. 조개 개체 당 여과율($l\;mussel^{-1}\;day^{-1}$)은 소양호에서 1.6${\sim}$7.8 l,일감호에서 1.7${\sim}$3.0 l로 나타났다(p<0.05).생물량에 대한 C-flux로 고려할 때, Corbicula leana는 소양호의 경우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0.8${\sim}$4.4배를, 일감호에서는 0.4${\sim}$l.6배를 섭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패류의 섭식 활동으로 인해 인의 농도가조개가 없는 용기에 비해 30${\sim}$50%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은 참재첩 (Corbicula leana)의 여과 섭식 잘동이 식물플랑크톤의 밀도와 군집구조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매우 부영양화된 호수에서도 참재첩은 높은 여과율을 나타냄으로써 국내 소규모의 부영양화된 호수에서 수질관리에 담수패류를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지구통계기법을 이용한 소양호퇴적물 분포연구 (Spatial distribution of sediments in the Soyang Lake based on geostatistical analyses)

  • 김기영;황윤구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6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5-290
    • /
    • 2006
  • 소양댐 축조 이후 소양호에 퇴적된 퇴적물의 양과 분포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227 km에 달하는 측선을 따라 10-20 kHz 음파탐사를 실시하였다. 측선간격은 종단면의 경우 대략 50 m, 횡단면의 경우 500 m 정도이다. 이득조절과 f-k 구조보정 과정을 거친 후, 퇴적물의 경계를 수치화하고, 38개 시추코아 자료와 대비하여 확인하였다. 댐축조 이후 퇴적물의 두께는 평균 0.25 m로 최대 8.25m에 달한다. 댐축조 이후 퇴적물의 총 부피는 이방성을 고려하여 지구통계기법으로 계산할 경우, 등방성을 가정하고 구한 경우보다 2배 이상 증가한 $5.9{\times}10^6\;m^3$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