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dino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6초

뽕나무 오갈병 마이코플라스마의 몇가지 초본식물에의 전염과 조직화학적 검정 (Transmission and Histochemical Detection of Mulberry Dwarf Mycoplasma in Several Herbaceous Plants)

  • 김영호;나용준;김영택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84-189
    • /
    • 1985
  • 뽕나무 오갈병 마이코플라스마가 매개곤충인 마름무늬매미충에 의하여 5가지 초본식물(일일초, 화이트클로우버, 라디노클로우버, 레드클로우버, 자운영)에 전염되었음이 병징발현과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방법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전염된 식물에서는 마름무늬매미충이 적어도 25일 이상 생존하였고, 산란이 확인되었다. 이 병의 잠복기간은 일일초에서 $25\~30$일, 클로우버류와 자운영에서는 $35\~40$일로 나타났다. 감염된 식물의 공통된 병징은 잎의 변색으로, 일일초는 엽맥투화 및 황화, 화이트 및 라디노클로우버는 갈색, 레드클로우버는 적색, 자운영의 잎은 광색으로 각각 나타났다. 한편 클로우버류와 자운영에서는 상기한 잎의 변색과 함께 식물체에 위축병상이 나타났다. Dienes 염색에 의한 광학현미경적 진단방법은, 모든 이병식물의 줄기 사부가 특이하게 염색디어 뽕나무 오갈병 마이코플라스마의 검출에 신빙성이 있고, 사용하기에 간편한 것으로 나타났다. Toluidine blue 염색에 의한 광학현미경적 방법과 전자현미경 관찰로, 이병식물조직내에서 마이코플라스마의 존재가 확인됨으로써 이 병의 전염이 입증되었다.

  • PDF

임간 초지 개발에 관한 연구 VII. 차광정도가 주요목초의 개체군생장향, 순동화율 및 광합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rassland Development in the Frest VII. Effect of shading degrees on the crop growth rate, net assimilation rate and photosynthtic active of main grasses)

  • 박문수;서성;한영춘;류종원;이종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22-127
    • /
    • 1987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ading degrees (0:full sunlight, 25, 50 and 75%) on the crop growth rate (CGR), net assimilation rate (NAR) and photosynthetic activity of grasses for obtaining th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pasture in the forest. For the test, different artificial shading houses were established and pasture species used in this study were orchardgrass, timothy, perennial ryegrass and ladino clover.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at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Suwon, in 1984-'85.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ighest CGR was obtained at 0% (full sunlight) and 25% of shading, followed by 50 and 75% of shading degrees, in that order. CGR of orchardgrass and perennial ryegrass were higher than those of timothy and ladino clover. 2. NA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shading degrees increased. The highest NAR was observed at perennial ryegrass plot. 3. The photosynthetic activity during summer season was the highest at 25% of shading, followed by 50, 0 and 75% of shading degrees. While, the photosynthetic activity during fall season was the highest at 25% of shading, followed by 50, 0 and 75% of shading degrees, in that order. Those of orchardgrass and perennial ryegrass were remarkably higher than that of timothy. 4.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obta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GR and NAR of main grasses, regardless of pasture species and investigated date.

  • PDF

임간 초지 개발에 관한 연구 VI. 차광정도에 따른 주요목초의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형질 변이와 그 상관관계 (Studies on the Grassland Development in the Forest VI. Effect of shading degrees on the correlations and the variations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in the shoot and root part of some grases)

  • 박문수;서성;한영춘;류종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9-86
    • /
    • 198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nd the variations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in the shoot and root part of grasses for the basic data of the development, the management and the utilization of pasture in the fores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0% (full sunlight), 25%, 50% and 75% of shading degrees after orchardgrass, timothy, perennial ryegrass, ladino clover and orchardgrass dominated mixture were planted on Aug. 25 in 1984.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Dry matter yield in 25% of shading was increased 3-1 7% compared with 0% (full sunlight), while 50 and 75% of shading were decreased 28-35% and 44-60%, respectively. Dry matter yield of timothy, perennial ryegrass and ladino clover were decreased 10, 8 and 33%, respectively, compared with orchardgrass,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orchard grass and mixture. 2. Root distribution by different shading degrees was the maximum at 25%, followed by 0, 50 and 75% of shading degrees. Root distribution among different species was the maximum at orchardgrass, followed by perennial ryegrass and timothy. Especially, root distribution of timothy was very little compared with different species. A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oot weight and dry matter yield (r=0.8 102**). 3.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root by different shading degrees was declined by more shading. 4. The length and the percentage of blade by different shading degrees was an increase tendency by more shading. The length and the percentage of blade among different species was followed by timothy, perennial ryegrass and orchardgrass, in that order.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ntage of blade and dry matter yield was significantly negative.

  • PDF

관수(灌水)에 의(依)한 시비양분(施肥養分)의 토양중(土壤中) 이동(移動)에 관(關)한 연구(硏究) -III. 토양수분(土壤水分) 조건(條件)에 따른 질소(窒素)의 이동(移動) (Movement of Applied Nutrients through Soils by Irrigation -III. Effect of Soil Water on the Movement of Nitrogen)

  • 류관식;류순호;송관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2-237
    • /
    • 1994
  • 발작물 재배시(栽培時) 토양(土壤)에 시용(施用)한 질소(窒素)(요소(尿素))가 토양수분조건(土壤水分條件)을 달리하였을 때, 작물재배시기별(作物栽培時期別)로 어떻게 이동(移動)하는가를 공명(空明)하기 위하여 사양토에서 Ladino clover를 재배(栽培)하면서 microplot(지름 20cm, 길이 85cm)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질소비료(窒素肥料)로 요소(尿素)를 토양에 시용(施用)했을 때 대부분의 요소(尿素)가 단시일내에 가수분해되어 시험시작(試驗始作) 1개월(個月) 후(後)에는 시용(施用)한 요소(尿素)의 95%가 $NH_4$-N로 되었으나 $NO_3$-N로 형태변환(形態變煥)되는 데는 비교적 오랜 시일이 걸렸다. 토양중 $NO_3$-N는 시험시작(試驗始作) 2개월(個月) 후(後)에 $NH_4$-N보다 많아졌고, 2.5개월(個月) 후(後)에는 $NH_4$-N보다 2배 이상 많아졌다. 토양중에 $NH_4$-N가 많았던 시험초기(試驗初期)에는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의 하향이동(下向移動) 속도(速度)가 느렸으나, $NH_3$-N가 $NH_4$-N보다 현저하게 많아진 2.5개월(個月) 이후에는 하향이동(下向移動)이 매우 빠르게 일어났다. 시험시작(試驗始作) 3.5개월(個月) 후(後)에는 대부분의 $NO_3$-N가 50~80cm 깊이의 토층(土層)에 분포하였다. 토양수분조건(土壤水分條件)이 좋을수록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의 하향이동(下向移動)이 활발하게 일어났으며 식물체(植物體)에 의한 흡수량(吸收量)도 많아 microplot내 토층에 남아있는 양이 적어졌다. 최종수확기(最終收穫期)에 나지구(裸地區)에서는 시용질소(施用窒素)의 92%인 3.66g의 질소가 microplot 외부(外部)로 하향이동(下向移動)되었다. 무관개구에서는 시용질소(施用窒素)의 57%가 식물체에 의해 흡수(吸收)되었고 37%가 토양중에 남아있었다. 관수점(灌水點) 0.2 bar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식물체에 의한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이 4.03g으로서 시비량(施肥量)보다 많았으며, microplot 외부(外部)로 하향이동(下向移動)도 많이 일어나 근류균에 의한 공중질소(空中窒素) 고정량(固定量)도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단파 또는 혼파초지에서 Italian ryegrass와 Kentucky bluegrass의 잡초억제 효과 (Effect of Italian Ryegrass(Lolium multiflorum) and Kentucky Bluegrass(Poa pratensis) Planted Singly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Forage Species on Suppressing Weeds)

  • 김문철;김종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1-250
    • /
    • 1999
  • 본 연구는 1995년 10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제주대학교 동물사육장 초지시험포장에서 초종혼파조합 차이에 따른 잡초억제 효과를 구명키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은 주구 2 처리(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켄터키 블루그라스)와 세구 4처리(보조초종 단파; T1, 툴페스큐 + 오차드그라스 + 라디노 클로바; T2,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 오차드그라스 + 라디노 클로바; T3, 오차드그라스 + 라디노 클로바; T4)를 3반복하여 분할구 배치법으로 처리되었다. 목초의 2년간 평균 건물수량은 주구 즉 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켄터키 블루그라스에서 각각 15,437kg/ha, 14,581kg/ha이었고, 세구 즉 T1, T2, T3 및 T4에서는 각각 14,815kg/ha, 15,407kg/ha, 14,629kg/ha, 15,187kg/ha였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를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2년차 1차수확시 주구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발견치 못했으나 세구간 즉 T1(보조초종 단파)구가 3,376kg/ha로서 가장 낮은 건물수량을 보였고 T3, T4가 각각 4,591kg/ha, 4,816kg/ha로서 T1의 건물수량보다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2년째 평균 건물수량 역시 세구간에 유의적 차이를 얻었으며 T4가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고 T1 및 T3구에서 낮은 생산성을 보였다. 초년도 봄에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보조초종으로 이용하는 것이 켄터키 블루그라스보다 잡초억제에 도움이 되었으나 여름 이후에는 그 효과가 없어져서 서로 비슷한 추세였다. 2년차 말에 보조초종 켄터키 블루그라스 이용으로 다소 잡초를 감소케 하는 경향이었지만 큰 차이는 없었다. 2년 전체적으로 볼 때 오차드 그라스를 조합한 구(T2, T3 및 T4)가 보조초종 단파구(T1) 보다 잡초율을 낮게 했다. 목초의 조단백질은 처리별 효과를 얻지 못했으며 10월 수확시 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구의 NDF와 ADF 함량이 켄터키 블루그라스 구의 것에서 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7월 수확시에 켄터키 블루그라스 구의 ADF 함량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구의 것 보다 고도히 유의적 차이로서 높았다(P<0.01). 결론적으로 초년도 봄에 보조초종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혼파하므로 잡초 억제에 도움이 되었으나 건물생산에 뚜렷한 효과를 주지 못하였다. 본 시험결과로서 오차드그라스 조합이 잡초 억제에 가장 유리한 초종이었으며 건물수량도 가장 높았다.

  • PDF

관수(灌水)에 의(依)한 시비양분(施肥養分)의 토양중(土壤中) 이동(移動)에 관(關)한 연구(硏究) -2. 토양수분(土壤水分) 조건(條件)과 Cl와 P의 이동(移動) (Movement Of Applied Nutrients Through Soils By Irrigation -2. Effect of soil water on the movement of Cl and P in the soil)

  • 류관식;유순호;송관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59-164
    • /
    • 1991
  • 토양수분(土壤水分) 조건을 달리하였을 때 토양(土壤)에 시용한 양분(養分)이 작물(作物)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어떻게 이동(移動)하는가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본양(本良) 사양토(砂壤土) (Typic Udifluvents)에서 Ladino clover를 공시작물(供試作物)로 하여 microplot(D 20cm, L 85cm)시험(試驗)을 수행하였다. 토양수분장력(土壤水分張力)을 0.2, 1.0, 5.0 bar, 및 무관수의 4수준으로 하였을때 염소(鹽素) 이온의 하향(下向)이동은 토양수분(土壤水分) 조건이 좋을수록 빠르게 진행되어 관수점(灌水点) 0.2bar 처리구에서는 5.5개월후에는 모든 처리구에서 microplot 내 토층(土層)에서 Cl이온은 검출되지 않았다. 공시토양(供試土壤)은 유효인산(有效燐酸)함량이 매우높고 사질(砂質)임에도 인산비료(燐酸肥料)로 용과린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인산(燐酸) 시용량이 많으며, 관수량이 많았으나 인산(燐酸)이 거의 이동(移動)되지 않아 시용 인산(燐酸)의 대부분이 시비지점(施肥地點)에 분포되어 있었다. 토양수분장력(土壤水分張力)이 낮게 유지된 구의 토양(土壤)일수록 유효태(有效態)로 침출되는 인산(燐酸)이 많고 식물체(植物體)에 의하여 흡수되는 양도 증가 하였다. 최종수확기(最終收穫期)에 무관계구에서는 시용(施用) 인산(燐酸)의 13%가 유효태(有效態)로 침출되고 14%가 작물(作物)에 흡수되었는데 비해 관수점(灌水点) 0.2bar 처리구에서는 24%가 침출되고 23%가 작물(作物)에 의해 흡수(吸收)되었다.

  • PDF

차광정도가 임간초지 혼파초지의 식생 및 목초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ing Degrees on Yields and Nutritive Values of Forage in Forest-Grassland)

  • 김원호;김현섭;박형수;정종성;최기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83-289
    • /
    • 2017
  • 본 연구는 임간초지에서 차광정도에 따른 목초의 식생변화 및 생산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시험구는 충남 천안 소재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량부 천연 임간초지 시험포에서 2014년 4월부터 2016년 8월까지 3개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차광정도를 달리하여 관행구(10%이하), 25% 이하, 35% 이하 및 50% 이하로 하였으며 공시작물로써 톨페스큐(Furumi), 오차드그라스(Kodiwin), 페레니얼라이그라스(Linn), 켄터키블루그라스(Kenblue), 화이트클로버(Ladino)를 이용하였다. 본 시험의 임간초지 식생구성은 오차드그라스가 가장 높았고 페레니얼라이그라스, 켄터키블루그라스, 톨페스큐 순으로 높았다. 혼파초지에서 차광정도가 높을수록 목초의 건물수량은 감소되었으며 차광정도가 높은 상태에서 예취횟수가 많아지면 목초생산성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차광 정도가 높을수록 목초의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ADF 및 NDF 함량, 가소화영양소 총량 그리고 소화율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상대적 사료가치도 차광정도에 따라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오차드그라스는 임간초지에서 매우 중요한 목초이며 특히 차광정도가 심할수록 오차드그라스의 효과는 높을 것이라 생각한다.

혼파유형이 목초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ture Type on the Herbage Yield and Quality)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8-42
    • /
    • 1993
  • 휴경지에서의 집약적인 단기간(3∼6년) 초지이용체계에 적합한 혼파유형을 제시하고자 orchardgrass (OG) 단파, orchardgrass(OG) + red clover(RC) 단순혼파 및 orchardgrass + tall fescue + Kentucky bluegrass + ladino clover에 의한 다초종 혼파(cormplex mixtures, C. Mix) 등의 처리를 두어 이들 혼파유형이 목초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3년간(1989∼'91) 시험하였다. 3년간의 ha당 평균 건물수량은 OG구(10,709kg)나 C. Mix구(11,371kg)에 비하여 OG+RC구(11,849kg)가 높았다(P<0.05). 조단백질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3년간 평균 가소화 유기물함량은 OG구보다 OG+RC구가 높았다(P<0.05). ha당 조단백질수량은 OG구(1,816kg)나 C. Mix구(2,053kg)에 비하여 OG+RCf(2.231kg)가 높았고(P<0.01), 가소화 유기물수량도 OG구(6,116kg)나 C. Mix구(6,817kg)에 비하여 OG+RC구(7,147kg)가 높았다(P<0.05). 한편 체중 kg당 건물섭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두당 유기물 섭취량은 OG구(377g)보다 OG+RC구(388g)와 C. Mix구(392g)에서 높았다(P<0.01). 이상의 결과를 검토할 때 OG+RC 단순혼파가 단기간의 집약적인 초지이용에 가장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 PDF

경사방향이 목초의 수량 및 양분함량에 미치는 영향 I. 주요목초에 대한 남북향 사면의 건물수량 비교 (Influences of Exposures on Dry Matter Yields and Nutrient Contents of Grasses I. Comparative studies of south and north exposure on dry matter yield of temperate grasses)

  • 이필상;박근제;신재순;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2-96
    • /
    • 1987
  • 남북향 사면에 대한 목장의 생산성을 구명코자 orchardgrass, tall fescue, timothy, redtop, ladino clover 등 5 초종을 남사면과 북사면에 각각 난괴법 4반복으로 보양배치하여 1983년 9월부터 1986년 10월까지 본 실험을 실시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기 동안의 3년 평균 지표온도는 남사면이 북사면보다 2.0^{\circ}C$ 높았으며, 토양 10cm 깊이의 지중온도는 남향지가 북향지보다 0.8^{\circ}C$ 높았으나 이절에 따라서는 서로 대차없었다. 2. 토양 목장의 초기생육 상태는 북사면이 남사면보다 준수하였다. 3. 화본과 목장의 건물생산량은 남향지보다 북향지가 많았으나 이에 반하여 ladino clover는 남사면이 월등히 많았다. 4. 화본과 목장중에서 orchardgrass와 tall fescue의 건물수량은 북사면이 남사면보다 다소 많았으나 대차없었으며, timothy와 red top은 북사면에서 현저히 많은 수량을 생산하였다.

  • PDF

메탄발효폐액(醱酵廢液)의 비료화(肥料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폐액시용(廢液施用)이 목초(牧草)의 화학성분(化學成分), 가소화건물(可消化乾物) 및 Net Energy에 미치는 영향(影響) (Utilization of Liquid Waste from Methane Fermentation as a Source of Organic Fertilizer -II. Effect of Liquid Waste on Chemical Components, Digestible Dry Matter and Net Energy of Pasture Mixtures)

  • 신제성;김정갑;임동규;한기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7-151
    • /
    • 1987
  • 메탄발효폐액(醱酵廢液)의 시용(施用)이 목초(牧草)의 화학성분(化學成分), 가소화건물수량(可消化乾物收量) 및 에너지가치(價値)에 미치는 효과구명(效果究明)을 위하여 Orchardgrass,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및 Ladino clover가 혼파(混播)된 초지(草地)에서 수행(遂行)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메탄발효폐액시용(醱酵廢液施用)으로 목초(牧草)의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조회분함량(粗灰分含量)은 증가(增加)되었으나 가용성무질소물(可溶性無窒素物)(N-free extracts)은 약간(若干)의 감소(減少)가 있었다. 조지방(粗脂肪) 및 조섬유함량(粗纖維含量)은 시비방법(施肥方法)에 따라 큰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2. 목초(牧草)의 NDF (Neutral Detergent Fiber) 및 ADF (Acid Detergent Fiber)는 폐액시용량(廢液施用量)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다. 폐액시용(廢液施用)으로 Cell-Wall Constituents 중(中) Cellulose가 감소(減少)된 반면(反面) Hemicellulose는 약간(若干)의 증가(增加)를 보였다. 3. 초지(草地)에 대한 폐액적량(廢液適量)은 42 MT/10a으로 이때의 가소화건물(可消化乾物)은 405.0 kg/10a을 생산(生産) 3요소표준시비(要素標準施肥) (233.8 kg)에 비해 현저(顯著)히 높았다. Starch value 및 Net energy lactaction 수량(收量)에서도 각각(各各) 291.3 KStE 보다 및 3450 MJ-NEL/10a를 생산(生産) 3요소표준시비(要素標準施肥) 보다 각각(各各) 70% 및 64%가 증가(增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