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spp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3초

바이오 플러스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Supplemental Bio-Plus on Performance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Broiler Chicks)

  • 류경선;김은성;정해원;김상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1-67
    • /
    • 2001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dietary supplemental fruit extract(Bio-plus) on performance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broiler chicks. Seven treatments were allocated into control, 0.05, 0.10, 0.20, 0.10, 0.20, 0.40, 0.80, 1.60% with four replications for five weeks, in both experiments. Diets contained 21.5% CP, 3, 100 kcal/kg ME for the rest two weeks. Weight gain, feed intake, feed conversion ratio(FCR) were weekly measured. Birds were sacrificed to examine the E. coli and Salmonella from cecum and ileum at the end of experiment. In experiment 1, Weight gain of Bio plus treatments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that of control, but was not consistency between them. Chicks fed Bio-plus showed significantly lower feed conversion ratio(FCR) than control(P〈0.05). In experiment 2, Weight gain of Bio plus treatm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P〈0.05) for starting period and linearly increased upto 0.80% for the rest of two weeks,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eed intake of chicks fed Bio-plus tended to be higher than control. Bio-plus treatments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CR from control. ND titer showed no significance, but tended to be higher in Bio-plus treatments than control. The number of ileum salmonell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io-plus treatment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in expt 2 (P〈0.05). Total yeast and Lactobacillus spp. of illeum tended to increase in expt 1 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xpt 2 than control(P〈0.05).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 indicated that dietary Bio-plus supplements increased weight gain, the number of ileum yeast and Lactobacillus spp. of broiler chicks.

  • PDF

재래식 메주중의 산생성균의 분포 (Occurrence of acid producing bacteria in Meju leaves)

  • 허성호;하덕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30-133
    • /
    • 1991
  • 재래식 메주의 23개 시료에 대해서 내부층과 외부층의 부위별로 산생성균수 및 총균수를 조사하고 이들 균주를 동정하였다. 산생성균은 내부층에 비하여 외부층에 많았고 각 부위에 있어서 호기성 산생성균보다 혐기성 산생성균이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호기성 산생성균 중 비호염성균 및 내염성균의 평균균수는 각각 $24{\times}10^6$$33{\times}10^5cell/g$였고 혐기성 산생성균 중 비호염성균 및 내염성균의 평균균수는 $10{\times}10^7$$58{\times}10^5cell/g$였다. 호기성 산생성균 2균주는 Micrococcus sp., 혐기성 산생성균 3균주는 Strepococcus sp., Pediococcs sp. 및 Lactobacillus sp., 호기성 일반세균 2균주는 Bacillus sp.으로 각각 동정되었다.

  • PDF

Antifung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Isolated from Natural Honey against Pathogenic Candida Species

  • Bulgasem, Bulgasem Y.;Lani, Mohd Nizam;Hassan, Zaiton;Yusoff, Wan Mohtar Wan;Fnaish, Sumaya G.
    • Mycobiology
    • /
    • 제44권4호
    • /
    • pp.302-309
    • /
    • 2016
  • The role of lactic acid bacteria (LAB) in honey as antifungal activity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and their mechanism of inhibitory of fungi is not fully understood. In this study, LAB were isolated from honey samples from Malaysia, Libya, Saudi Arabia, and Yemen. Twenty-five isolates were confirmed LAB by catalase test and Gram staining, and were screened for antifungal activity. Four LAB show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Candida spp. using the dual agar overlay method. And they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HS isolated from Al-Seder honey, Lactobacillus curvatus HH isolated from Al-Hanon honey, Pediococcus acidilactici HC isolated from Tualang honey and Pediococcus pentosaceus HM isolated from Al-Maray honey by the 16S rDNA sequence. The growth of Candida glabrata ATCC 2001 was strongly inhibited (>15.0 mm) and (10~15 mm) by the isolates of L. curvatus HH and P. pentosaceus HM, respectively. The antifungal activity of the crude supernatant (cell free supernatant, CFS) was evaluated using well diffusion method. The CFS showed high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andida spp. especially The CFS of L. curvatus HH was significantly (p < 0.05) inhibited growth of C. glabrata ATCC 2001, C. parapsilosis ATCC 2201, and C. tropicalis ATCC 750 with inhibitory zone 22.0, 15.6, and 14.7 mm, respectively. While CFS of P. pentosaceus HM was significantly (p < 0.05) effective against C. krusei, C. glabrata, and C. albicans with inhibition zone 17.2, 16.0, and 13.3 mm,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LAB isolated from honey produced compounds which can be used to inhibit the growth of the pathogenic Candida species.

Assessment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he chicken digestive tract for potential use as poultry probiotics

  • Merisa Sirisopapong;Takeshi Shimosato;Supattra Okrathok;Sutisa Khempaka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8호
    • /
    • pp.1209-1220
    • /
    • 2023
  • Objective: The use of probiotics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s in animal feed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recent decades. Lactic acid bacteria (LAB) have remarkable functional properties promoting host health and are major microorganisms for probiotic purpos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LAB strains of the chicken digestive tract and to determine their functional properties for further use as potential probiotics in poultry. Methods: A total of 2,000 colonies were isolated from the ileum and cecal contents of the chickens based on their phenotypic profiles and followed by a preliminary detection for acid and bile tolerance. The selected 200 LAB isolates with exhibited well-tolerance in acid and bile conditions were then identified by sequencing the 16S rDNA gene, followed by acid and bile tolerance, antimicrobial activity, adhesion to epithelial cells and addi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removal of cholesterol. Then, the two probiotic strains (L. ingluviei and L. salivarious) which showed the greatest advantage in vitro testing were selected to assess their efficacy in broiler chickens. Results: It was found that 200 LAB isolates that complied with all measurement criteria belonged to five strains, including L. acidophilus (63 colonies), L. ingluviei (2 colonies), L. reuteri (58 colonies), L. salivarius (72 colonies), and L. saerimneri (5 colonies). We found that the L. ingluviei and L. salivarius can increase the population of LAB and Bifidobacterium spp. while reducing Enterobacteria spp. and Escherichia coli in the cecal content of chickens. Additionally, increased concentrations of valeric acid and short chain fatty acids were also observed.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all five Lacto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gut contents of chickens are safe and possess probiotic properties, especially L. ingluviei and L. salivarius. Future studies should evaluate the potential for growth improvement in broilers.

Lactobacillus reuteri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영양소 이용율 및 장내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Lactobacillus reuteri to Laying Hens on Laying Performance, Availability and Intestinal Microflora)

  • 김상호;박수영;이상진;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65-271
    • /
    • 2004
  • 본 연구는 산란계에 대한 유산균 배양물의 첨가가 생산성, 계란 품질 및 소화기관내 미생물 변화 및 영양소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산란계 480수를 공시하여 8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첨가된 유산균 배양물은 육계 맹장에서 채취한 L. reuteri avlbro2 배양물이었으며 첨가수준은 0.1, 0.2, $0.4\%$였다. 산란율은 $0.2\%$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P<0.05), 난중은 모든 유산균 배양물 첨가구가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P<0.05). 1일 산란량 역시 유산균 배양물 첨가구가 무첨가보다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사료섭취량은 유산균 배양물 첨가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료요구율은 모든 첨가구가 유의하게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계란의 중량등급별 분포에서 유산균 배양물 급여구가 무첨가에 비하여 왕란과 특란의 비율이 향상되고 대란의 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이용율에서 LR $0.4\%$첨가구가 건물 및 조단백질 이용율이 무첨가 대비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P<0.05), 조지방 및 조회분 소화율은 처리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난각 강도와 난각 두께 및 Haugh unit, 난황색은 처리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장과 맹장 내용물의 미생물 변화에서 유산균 배양물 급여구에서 유산균의 수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E. coli와 Salmonella는 처 리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산란계에 대한 유산균 배양물의 첨가 급여는 산란율과 난중, 산란량이 증가하고 사료효을이 개선되었으며 영양소 소화율의 증진 및 장내 유익균의 수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1.0\%$의 EG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EPA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EGBD를 첨가한 구들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HA는 $2.0\%$의 EGBB를 첨가한 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대조구를 포함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EGBD를 첨가한 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실험 2에서도 증체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사료요구율은 시험 전 기간동안 EGB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좋았다. 가슴살의 지방산 조성의 결과를 보면 linoleic acid는 대조구가 유의하게 높았다. EP4 DHA와 lignoceric acid는 모두 $1.0\%$의 EGB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Euglena를 첨가한 구들 모두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그중 EGBD를 첨가한 구들이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Euglena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시험 2에선 EGBD의 첨가가 사료효율을 개선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DHA를 강화시킨 Euglena인 EGD나 EGBD의 첨가는 계육 내의 DHA를 비롯한 $\omega$-3 계열의 지방산의 수준을 높이는데, 특히 EGBD는 DHA 강화 효과가 높았다.학적 성질에 있어 일반 종이포장재보다 우수한 결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숯포장재 제조 시 숯의 기능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 및 제조 방법 등을 개선함으로써 숯의 기능성과 친환경적 특성을 최대한 살린 포장재의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것으로 생각한다.예측 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의 무기물질(Zeolite)이 첨가되어진 Modified California putting green system이

lactobacillus reuteri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 특성, 장내미생물 변화, 혈청 성상 및 사육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Lactobacillus reuteri to Broiler on Growing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and Environmental Factor)

  • 김상호;박수영;이상진;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28
    • /
    • 2003
  • 본 연구는 유산균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이용성, 장내미생물, 계사내 환경 요인 및 혈청내 생화학적인 변화에 대한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사양실험은 1일령 육계 수평아리 480수를 평사로 7주간 실행하였다. 첨가된 유산균 배양물은 육계 맹장에서 유래한 Lactobacillus reuteri 였으며, 첨가수준은 0, 0.1, 0.2, 0.4%였다. 체중은 1주령부터 유산균 배양물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으며, 7주령에는 82~212g이 현저하게 높았다 (P<0.05). 사료섭취 량은 0.1%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 및 사료요구율은 처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소화기관내 미생물 변화에서 유산균 배양물의 첨가구가 무첨가 대비유산균의 수는 회장과 맹장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7주령에 맹장에서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혐기성 미생물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E. coli와 Salmonella 늘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청내 total protein과 albumin 의 함량은 LR 0.1%구가 각각 3주령과 7주령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total cholesterol은 처리구간에 일관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riglyceride는 3주령과 5주령에서 LR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P<0.05), glucose, blood urea nitrogen 그리고 calcium은 전 기간에 걸쳐 처리간 비슷하게 나타났다. inorganic phosphate는 7주령에서 LR 0.2%와LR 0.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영양소 이용율에서 건물소화율은 LR 0.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P<0.05), 단백질, Ca 이용율도 전체적으로 향상되었다(P<0.05). 계분내, NH$_3$ gas 발생량은 LR급여구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여 1/3~l/2의 수준을 유지하였다(P<0.05). 자리깃(왕겨)의 수분함량은 유산균 급여구가 무첨가 대비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유산균 배양물의 급여는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사육환경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고 판단된다.

가금에서 분리된 유산균의 생리적 특성 및 급여효과

  • 김상호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64-84
    • /
    • 2002
  • 본 연구는 가금맹장에서 유래된 유산균의 생균제적 가치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I에서는 가금 맹장 유산균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산란계 및 육계 맹장 유산균을 각각 12주와 11주를 분리하여 내산성, 내담즙산성, 효소분비력, 항병원성 및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PH 3부터 점차적으로 사멸하는 균주와 일정하게 유지되는 균주로 구분되었으며, PH 4에서 모든 유산균의 성장은 양호하였다. 본 실험에서 분리된 대부분의 유산균은 bile salt에 의해 성장이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몇몇 균주는 저항성이 높게 나타났다. 선발된 맹장유산균과 다른 균주와 비교하였는데, 가금 맹장유래 유산균은 다른 유산균과 Bacillus에 비하여 효소분비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소별 분비능력에서 amylase와 lipase 활성은 강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cellulase와 protease의 활성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병성 조사에서 유산균 배양액은 균종에 관계없이 병원성 E. coli에 대하여 억제성이 높았으며 억제요인으로는 유기산 분비에 의한 pH 저하가 주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병원성 Salmonella에 대해서는 유산균 배양액의 억제성이 낮았다. 유산균은 페니실린 계통의 항생제에 의하여 생존율은 저하되었지만 이외의 다른 항생제는 유산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다. 본 실험에서 선발된 유산균은 각각 target animal에 급여하여 host specific effect를 구명하기 위하여 사양실험을 실행하였다. 시험II는 유산균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이용성, 장내미생물, 계사내 환경, 혈청 콜레스테롤, 응모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및 육계에 대한 유산균의 적정 급여수준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육계 초생추에 육계ㆍ산란계의 맹장에서 유래한 Lactobacillus crispatus avibrol(LCB), L. reuteri avibro2(LRB) L. crispatus avihen1(LCH), L. vaginalis avihen2(LVH) 각각을 사료 g당 $10^4$/cfu 및 $10^{7}$ cfu의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유산균의 급여에 의한 육계의 체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증체량은 50~100g이 높았다.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모든 유산균 급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이용율에서 건물소화율은 유산균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백질, Ca 이용율도 유산균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유산균 급여구에서 조지방, 조회분 소화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인의 이용율은 처리구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유산균 종류별 영양소 이용율은 LCH 급여구가 모든 일반성분 및 Ca, p의 이용율이 가장 높았다(P〈0.05). 회장내 유산균 수는 시험 전기간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P〈0.05), 맹장에서는 5주령에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Yeast는 회장에서 1주령까지는 장내에 완전히 정착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맹장 및 3주령 이후의 회장에서는 대부분의 유산균 급여구에서 Yeast의 수가 증가하였다(P〈0.05).

  • PDF

젓갈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pp.의 ${\beta}-galactosidase$ 특성 (${\beta}-galactosidase$ Activity of Lactobacillus spp. from Pickles)

  • 이영환;오민근;이용규;신승이;김종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6호
    • /
    • pp.437-442
    • /
    • 1996
  • 젖갈에서 분리한 유산균 Lactobacillus(L.) casei 2주와 L. pentosus 1주의 균체내 ${\beta}-galactosidase$의 최적 생성조건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beta}-galactosidase$의 최적 생성조건 조사에서, L. cosei No.10 균주는 탄소원으로 lactose를, L. Pentosus No.63 균주는 galactose를 1.0% 함유한 초기 pH 7.5의 MRS broth에서 $30^{\circ}C$로 48시간 배양하였을 때로 확인되었다. L. casei No.36 균주는 lactose를 1.0% 함유한 초기 pH 6.5의 MRS 배지에서 $30^{\circ}C$로 48시간 배양하였을 때가 최적 조건으로 확인되었다. 호소의 최적 활성 반응온도는 3 균주 모두 $60^{\circ}C$였으며, L. casei No.10은 $45^{\circ}C$까지, L. pentosus No.63은 $55^{\circ}C$까지 90% 이상의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L. casei No.36은 $40^{\circ}C$까지 안정성을 유지하였으나 $55^{\circ}C$에서 60%로 효소활성이 감소하였으며, 따라서 $40^{\circ}C$까지 3균주 모두 90% 이상의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효소활성의 최적 pH는 3 균주 모두 pH 6.5이었으며, L. casei No.10은 $pH\;5.0{\sim}6.0$, L. casei No.36은 $pH\;5.0{\sim}8.0$, 그리고 L. pentosus No.63은 $pH\;6.0{\sim}7.0$에서 각각 90% 이상의 안정성을 보였다.

  • PDF

Candidate of Probiotic Bacteria Isolated from Several Jeotgals: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eafoods

  • Cho, Gyu-Sung;Do, Hyung-Ki;Bae, Chae-Yoon;Cho, Gyu-Sup;Whang, Cher-Won;Shin, Heuyn-Kil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140-145
    • /
    • 2006
  • Seventy eight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several jeotgals using MRS and M 17 agar media. The probiotic properties such as tolerance of extreme growth condition, produc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enzymatic activity of bile salt hydrolase were investigated. DHK 4, 10, 21 and 74 strains showed_a strong tolerance property against extreme conditions such as low pH and 0.5% oxgall-supplemented medium. DHK 10 and 47 strains produced hydrogen peroxide on TMB agar plate. DHK 8 and 10 strains produced antimicrobial compounds onto MRS agar against E. facalis. DHK 4, 6, 21, 29, 33, 63 and 87 strains had high activities of bile salt hydrolase. Especially, DHK 10 displayed a strong probiotic candidate; the abilities to produce the antimicrobial compound, hydrogen peroxide, and bile salt hydrolase. All these strains are assumed to be useful probiotic candidates. Among 78, twenty seven strains which have probiotic propertie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by 16S rRNA sequencing. Among them, 7 Lactobacillus spp., 6 Leuconosotoc spp., 2 Weisella spp., 1 Pediococcus sp., 1 Staphylococcus sp., 1 Enterococcus sp. and 2 Streptococcus spp. were tentatively identified.

한방사료 첨가제의 항균성 및 재래닭에서의 Campylobacter jejuni 방제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and Preventive Effect of Oriental Herbal Medicine Feed Additives for Campylobacter jejuni in Korean Native Chickens)

  • 김곤섭;정태성;신기욱;한대용;차혜진;김용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1-49
    • /
    • 2006
  • In this study, antimicrobial activity of oriental herbal medicine extract (OHME) was tested for some organisms and the preventive effects of OHME for the colonization of Campylobacter jejuni on epithelium of small intestine were examined in Korean native broiler chickens fed a forage added 1.0% OHME. The isolated Campylobacter spp were biotyped, serotyped and the susceptiblility of isolates to antimicrobial agent were examined.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was inhibited in 0.25% OHME. C. jejuni and C. coli were inhibited in 0.1% OHME, and Salmonella spp,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Escheichia coli 0157 were inhibited in 2.0% OHME. For the application of forage added 1.0% OHME in broiler chicken farm, the frequency of Campylobacter spp from feces, liver and spleen sample of chickens were examined during 2 weeks interval. The frequence of Campylobacter spp in feces from chickens fed assorted forage (control group) was increased from 25% in first week to 75% in seventh week. But the frequence of Campylobacter spp in feces sample from chickens 134 forage added OHME was slightly reduced from 25% in first week to 15% in seventh week. The frequence of Campylobacter spp in liver, and spleen was 13.7% and 10% respectively after seventh week in control group, but the Campylobacter spp was not isolated after fifth week in live and spleen from chickens fed forage added OHME. Isolated 56 strains of thermophilic Campyiobacter from Korean native chickens was classified as C. jejuni (76.7%), C. coli (214%) and C. laridis (1.6%). The majority of 43 isolates of C. jejuni was classified on biotype I (60.4%), II (30.2%). Most of 12 isolates of C.coli were biotype I (83.3%). Isolated 31 strains C. jejuni of showed 11 different serotype, and serotype 36 (18.6%), 17 (13.9%)were most frequent. Isolated 10 strains of C. coli showed 5 different serotypes and serotype 31 (33.3%) and 21 (25%) were relatively common. Isolated Campylobacter spp were highly susceptible to nalidixic acid, amikacin, gentamicin, colistin and chloramphenuc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