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검색결과 1,149건 처리시간 0.026초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Pediococcus pentosaceus CBT SL4 배양물의 감염방어 및 제균활성 (Protection of Infection and Eradication Activity of Culture Product by Pediococcus pentosaceus CBT SL4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 홍운표;정명준;김수동;오은택;소재성;정충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79-783
    • /
    • 2004
  • P. pentosaceus CBT SL4균이 생산하는 항균물질 농축건조물은 H. pylori균에 대하여 평판 및 액상배양 조건에서 생육억제 활성이 확인되었고, 사막모래쥐를 사용한 감염실험에서는 감염방어 및 제균작용이, 보균자 인체실험에서는 제균작용이 확인되었다. 최근 3제 요법이나 신규 약물 등에 의하여 자각증세가 있는 위염증 환자에서의 제균율은 크게 향상되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전체국민의 감염율이 매우 높은 것과 식습관 등의 요인에 의하여 단체 및 사회생활을 통한 신규감염이나 재감염을 방어할 효과적 수단은 없는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일상적인 섭취가 가능하고, 병원균의 내성개발 우려나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H. pylori균에 대한 감염방어 및 제균작용을 동시에 지닌 유산균 및 그 항균활성물질을 이용한 식품소재는 국민전체의 H. pylori 감염율을 낮추고, 신규감염과 재감염의 악순환을 방지하기 위한 유용한 방어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유산균 배양액에 의한 H. pylori균에 대한 생육억제 현상은 모든 유산균에서 보편적인 현상은 아닌 것으로서 특정한 균주의 배양액에서만 관찰되고 있어 단순히 젖산 등 유기산에 의한 효과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Gram 음성의 병원균들은 외막의 보호작용에 의하여 분자량이 큰 박테리오신 성분에 의해서는 생육이 억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저자들은 당 균주가 생성하는 H. pylori 생육 억제 물질을 산성의 저분자 물질로 추정하고, 물질 및 작용기작 규명을 위하여 활성물질의 분리 및 구조분석 작업을 진행 중에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완료되면 분리정제 물질을 활용한 추가적인 산업화 용도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치의 숙성과 칼슘함량에 미치는 조개류 껍질 물추출물 첨가효과 (Effect of Water Extracts of Shellfish Shell on Fermentation and Calcium Content of Kimchi)

  • 김미정;김미향;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1-166
    • /
    • 2003
  • 천연의 칼슘자원인 조개류 껍질 물추출물을 사용하여 보존성이 높고 체내 흡수력이 양호한 젖산칼슘의 함량이 높은 김치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시료는 꼬막, 맛조개, 모시조개, 바지락, 굴 및 소라껍질의 물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절임배추에 대하여 5%를 첨가하여 1$0^{\circ}C$에서 숙성시켰다. 조개류 껍질의 칼슘함량은25.57~38.78%이었다. 조개류 껍질 물추출물을 첨가한 김치의 pH는 전 숙성 기간을 통하여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산도는 특히 숙성 후기 에 낮았다. 총 균수는 조개 껍질 물추출물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나 젖산균수는 첨가구에서 높았다. 숙성 7일 이후의 조회분 함량은 첨가구 (3.31~4.99%)가 대조구(2.75~3.01%)넓다 높았다. 칼슘의 함량은 첨가구(300.2~376.0 mg%)가 대조구(69.9~95.0mg%) 보다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굴 껍질과 모시조개 껍질 물추출물을 첨가한 김치에서 높았다. 조개류 껍질 물추출물을 첨가한 김치는 대조구에 비하여 아삭아삭한 조직감(crispiness)이 높은 반면 산미는 약했으며, 종합적 인기호도는 담금일 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숙성 14일 이후에는 전반적으로 첨가구에서 높았다.

자일리톨과 자몽씨추출물이 배추김치의 관능성과 발효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Xylitol and Grapefruit Seed Extract on Sensory Value and Fermentation of Baechu Kimchi)

  • 문성원;신현경;지근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46-253
    • /
    • 2003
  • 발효 김치의 보존성과 품질 향상을 위하여 천연의 항 미생물활성물질인 자일리톨(Xyl)과 자몽씨추출물(GSE) 첨가 효과를 조사하였다. 자일리톨 첨가량은 0, 1, 2%(w/w)와 자몽씨추출물 0.1%(w/w)로 하여 6가지 실험처리구(Control, A; 1% Xyl, B; 2% Xyl, C; 0.1% GSE, D; 0.1% GSE+1% Xyl, E; 0.1% GSE+2% Xyl)로 $10^{\circ}C$에서 25일동안 발효시키면서 관능적,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보았다. 관능평가 결과 기호특성에서 조직감, 신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자몽씨추출물 0.1%에 2% 자일리톨을 혼합한 처리구 E가 높은 점수를 받았고, 강도특성에서 냄새와 신맛은 대조구가 높은 점수를 받았고, 조직감은 자몽씨추출물과 자일리톨 2%가 혼합된 처리구 E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pH는 점차로 낮아졌는데, 대조구가 가장 낮은 pH를 보였고, 처리구 E가 발효말기까지 높은 pH를 나타냈다. 전체 발효기간 동안 적정산도,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대조구에 비해서 자몽씨추출물 0.1%와 자일리톨 2%을 함유하는 처리구 E에서 현저히 적었다. 연구결과 자몽씨추출물 0.1%에 자일리톨 2%가 첨가된 처리구 E가 발효숙성을 조절하여 맛과 조직감을 향상시키고, 가식기간을 약 2배정도 연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과 추출액이 물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aenomelis Fructus Water Extrac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kimchi during Fermentation)

  • 박나영;정태성;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69-674
    • /
    • 2008
  • 모과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1, 3 및 5% 모과 물 추출액을 담금용수로 물김치를 제조하여 발효특성을 조사한 결과 발효 초기 pH는 대조구 6.53, 1, 3 및 5% 모과 물김치의 pH는 각각 4.14, 3.61, 3.54이었으며, 발효과정 중 대조구는 감소하였으나, 모과 물김치의 변화는 완만하였다. 물김치의 산도 변화는 pH 변화와 유사하였다. 물김치 발효 중 총 균수와 젖산균수의 변화는 유사하였으며, 모과 물김치의 발효과정 중 젖산균수는 대조구에 비해 적었으며, 모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균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1% 모과 물김치의 조직감은 대조구에 비해 경도, 씹힘성, 응집성, 탄력성에서 모두 우수하였다. 모과물김치의 자유 라디칼 소거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증가 되었으며, 모과 물 추출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아질산 소거능은 대조구 49.7%, 1, 3 및 5% 모과 물김치는 각각 59.2%, 85.33%, 89.9%이었다. 1% 모과 물김치의 기호도는 맛, 풍미, 조직감, 종합적 기호도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

Effect of microbial inoculants on fermentation quality and aerobic stability of sweet potato vine silage

  • Joo, Young Ho;Kim, Dong Hyeon;Paradhipta, Dimas H.V.;Lee, Hyuk Jun;Amanullah, Sardar M.;Kim, Sang Bum;Chang, Jong Soo;Kim, Sam Chur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2호
    • /
    • pp.1897-1902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omo or hetero fermentative inoculants on fermentation quality and aerobic stability of sweet potato vine (SPV) silage containing Italian ryegrass hay as moisture absorbent. Methods: The SPV was harvested at 15% dry matter, mixed with Italian ryegrass hay at 1:1 ratio on a fresh weight basis, and chopped to 3 to 5 cm length. After then, the chopped forage mixture was ensiled into 20-L mini silos in quadruplicate for 7, 48, and 100 days after application of microbial inoculants at $1.2{\times}10^5$ colony forming units (cfu)/g of forage following: no inoculant (CON), Lactobacillus plantarum as a homo fermentative (LP), Lactobacillus buchneri as a hetero fermentative (LB), and mixture of LP and LB at 1:1 ratio as a combo fermentative (MIX). Results: The LP and MIX silages had lowest pH (p<0.001) on 7 and 48 days, while MIX and CON silages had greatest lactate concentrations (p<0.05) on 7 and 48 days, respectively. Acetate concentrations were highest (p<0.01) in LB and MIX silages on 7 days, and in LB silage on 48 days, while lactate to acetate ratios were lowest (p<0.001) in LB silages.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silage ensiled for 100 days was not affected by inoculants. On 100 days of ensiling, LB silage had lowest (p<0.01) lactate concentration and lactate to acetate ratio, but highest acetate concentration. Aerobic stability was highest (p<0.001) in LB silage followed in MIX silage. On contrast, LB silage had lowest (p<0.05) lactic acid bacteria and mold.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application of LB solely had a better effect on aerobic stability than not only LP, but also MIX. However, LP application did not show beneficial effects from the viewpoints of fermentation quality and aerobic stability compared to CON.

Effects of Freeze-dried Mulberry 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Fermented Characteristics of Yogur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Sung, Jung-Min;Kim, Young-Boong;Kum, Jun-Seok;Choi, Yun-Sang;Seo, Dong-Ho;Choi, Hyun-Wook;Park, Jong-Da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807-814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dded freeze-dried mulberry fruit juice (FDMJ) (1, 3 and 5%)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fermented characteristic of yogur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A decrease in pH of yogurt and increase in acidity was observed during fermentation. The yogurts with FDMJ exhibited faster rate of pH reduction than control. Initial lactic acid bacteria count of yogurt was 6.49-6.94 Log CFU/g and increased above 9 Log CFU/g in control and 1% in FDMJ yogurt for 24 h. The total polyphenol and anthocyanin content of FDMJ yogurt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due to the presence of phytochemical contents in mulberry. Moreover, antioxidant activity such as DPPH and reducing power was highest 5% FDMJ yogurt. During cold storage, pH decreased or remained constant in all yogurts with values ranging from 4.08 to 4.78 units. In sensory evaluation, the score of 1% FDMJ yogurt was ranked higher when compared with other yogurts. It is proposed that mulberry fruit juice powder can be used to improve sensory evaluation and enhance functionality of yogurt.

생더덕과 발효더덕의 유용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and Fresh Codonopsis lanceolata)

  • 김승섭;하지혜;정명훈;안주희;윤원병;박성진;성동호;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80-285
    • /
    • 2009
  • Both fresh Codonopsis lanceolata and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were extracted with water at $100^{\circ}C$, and tested for anticancer activity using several human cancer cell lines. The fermented extracts inhibited the growth of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up to 90%, compared to 75% for fresh Codonopsis lanceolata. The extracts of cytotoxicity on human normal lung cells (HEK293) were as low as 15%. Especially,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were more efficiently inhibited than other cells. This extract also inhibited $\alpha$-glucosidase activity up to 60% at 1.0mg/$m{\ell}$. This fermented extracts showed the inhibition potency on tyrosinase by 25% at 1.0mg/$m{\ell}$. From the results, the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enhanced several biological activities up to $20{\sim}30%$, compared to those from fresh Codonopsis lanceolata. It implies that fermentation process could be one of useful methods of utilizing low quality Codonopsis lanceolata. Because this process could yield high amounts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by the help of microbial growth.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순환식 돈분처리 시스템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Recycling Treatment System for Piggery Slurry Using Neural Networks)

  • 손준일;이민호;최정혜;고성철
    • 센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7-133
    • /
    • 2000
  • 이 논문에서는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순환식 돈분처리 시스템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궁극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즉 미생물 군집내의 개체군밀도에 따른 각 처리조(유입수, 발효조, 폭기조, 1차 침전조 및 4차 침전조)에서의 폐수처리 과정을 모델을 시도하였다. 측정 데이터에 대해 우선 principle component analysis(PCA) 분석을 적용하여 각 처리조에서의 입력(미생물 밀도와 처리요소)과 출력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각각의 처리조마다 독립된 신경회로망을 적용하여 폐수처리 과정을 모델링하였다. 신경회로망의 입력으로 현재 탱크에서의 미생물의 개체군밀도를 직접 이용하는 대신 PCA 분석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비교적 적은 수의 데이터로 효과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었다. 즉 각 처리조별로 학습된 신경회로망들을 연결하여 분석한 결과 2일 동안의 폐수 처리 변화를 비교적 정확히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미각센서를 이용한 산양발효유의 저온저장 중 풍미분석 (Taste Analysis of Fermented Goat Milk during Cold Storage using an Electronic Tongue)

  • 양아름;김완섭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33-38
    • /
    • 2017
  • 본 연구는 상업유산균인 단일 균주와 복합 균주를 이용한 산양유의 발효형태와 저장 중 풍미변화를 조사한 결과가 있다. 복합 균주는 단일 균주보다 단시간에 있어서 낮은 pH와 높은 산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복합 균주에서는 유산균 수의 증식 속도도 빠르게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는 패널의 숙련도에 따라 느끼는 맛이 다르다. 따라서 수많은 시료를 분석할 경우, 재현성이 있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더욱이 우리는 미각센서를 이용하여 저장 중 풍미변화를 측정하였다. 미각센서는 단일 균주와 복합 균주를 이용한 산양발효유에 대하여 사용 균주별 다양한 풍미의 변화가 측정 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효유에 있어서 미각센서를 이용하여 저온 저장기간 동안 맛 성분의 변화를 측정한 자료로 있다. 이러한 결과는 차후 유제품의 소비기한 유지에 대한 자료로서 이용가치가 크게 기대되고 있다.

계분 유래 미생물에 대한 Lactobacillus sakei 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sakei on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Chicken Manure)

  • 박민기;정종성;김완섭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25-31
    • /
    • 2017
  • 본 연구는 닭의 분뇨로부터 악취저감 방안으로, 쌀뜨물에 L. sakei의 배양조건과 저장 중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닭 분뇨로부터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고, 이들 미생물에 대한 L. sakei의 항균능력을 검토하였다. 또한 L. sakei 함유 쌀뜨물 발효액이 닭 분뇨의 악취를 저감시키는지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쌀뜨물은 L. sakeiv의 생장에 좋은 영양소로 확인되었으며, 저장 기간 중 생존력도 강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또한 L. sakei는 닭의 분뇨로부터 분리된 악취유발 미생물의 생장 또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항균작용 또는 정균작용으로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축산분뇨에 대하여, L. sakei를 이용해 배양된 쌀뜨물은 악취 유발을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쌀뜨물은 가치가 인정되지 않아 그대로 하수도로 버리게 되어 환경오염을 유발원으로 인식되었는데, 유산균 발효에 의한 악취 제거, 기능성 사료의 이용 등 산업적으로 많은 응용이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