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quer war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초

다호리 출토 판상 칠기의 재질 분석 (Analysis of Flat Board-shaped Lacquer ware Excavated from Daho-ri in Changwon, Korea)

  • 김수철;박민수;윤은영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3권
    • /
    • pp.33-36
    • /
    • 2012
  • 다호리 유적에서 출토된 판상칠기에 대하여 수종 및 칠 도막, 금속장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판상칠기에 사용된 수종은 소나무류로 식별되었고 칠 도막의 현미경 관찰 결과, 총 5회의 칠을 했으며 칠 전체 두께는 약 100 ㎛이다. 적외선 분광 분석을 통해 정제칠과 비교하여 옻칠임을 확인하였다. 원형의 금속장식에 대한 성분 분석 결과는 주석과 납의 이원계 합금으로 백랍(白蠟, Pewter)이라 불리는, 주석을 주체로 하는 합금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지금까지 조사된 다호리 유적 출토 유물의 수종이 활엽수재였던 것에 반해 판상칠기의 목재는 침엽수재인 소나무류로 밝혀졌다.

경산시 임당유적 출토 유물 보존처리-금속 및 칠기유물을 중심으로 (Conservation of artifacts excavated from Imdang, Kyǒngsan Province-Metals and Lacquerware)

  • 유재은;신의경;황진주;고동하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19호
    • /
    • pp.109-132
    • /
    • 1998
  • According to excavation of Imdang site, these sites were excavated place to a various of sites from Early lron period to the Koryo Kingdom. Artifacts to be conserved were excavated from A, D and E district. Metal artifacts were excavated from D and E district and lacquer ware artifacts were excavated from Adistrict. Metal artifacts including lacquer ware iron sword, imitative bronze mirror, Osujen and bronze artifact with letter and so on. Bronze artifacts were covered with soil and rust and performed consolidation after passivation treatment with Benzotriazole solution. Also, iron artifacts performed desalting treatment with 0.1M sesquicarbonate solution. After desalinization, adhesive of these artifacts were processed with Araldite(rapid type) after consolidation with20%∼30% NAD-10 solution. Lacquer ware artifacts remained fragments of lacquer to be all corroded and soiled. Therefore these artifacts retained its original form. Fragments of lacquer joined with Caparol 1%∼3% solution and the soil of relics coated with PSNY 3%∼6% solution. There were many kinds of lacquer were. Lacquer ware artifacts presumed to a string instrument that provide important clues for lacquer ware research. As for lacquer fragments inquire, paints grain size were $2∼5\mum$ and conformed to vanished three times.

  • PDF

경주 황남대총 출토 칠제품의 재질 및 기법조사 (A Study on Materials and Techniques of Lacquer Ware from Hwangnamdaechong in Gyeongju)

  • 岡田文男;이은석;임지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3호
    • /
    • pp.176-191
    • /
    • 2009
  • 필자들은 경주지역 최대 고분인 황남대총 남, 북분에서 출토된 칠기의 재질과 기법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방법은 깨어진 칠기편을 이용하여 태골을 분류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막단면(약2㎜)의 박편을 제작, 현미경하에서 하지의 혼입재 종류와 도막구조를 분류함으로써 칠기의 유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남분에서 출토된 칠이배, 칠완, 칠장방형합자 등 협저제칠기의 하지에는 골분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칠기는 동시대 동아시아에 있어서 중국의 진~한대 이후 발달된 고급칠기의 계보에 위치된다. 2. 남, 북분에서 출토된 칠배, 완, 장방형합자 등은 식기류, 화장도구의 일부로서 세트로 부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3. 남분과 북분 출토 칠기에는 품질면에서 차이가 있다. 남분에는 중국칠기의 계보를 잇는 협저제칠기, 포태칠기 등 고급품이 다수 부장되어 있다. 북분에는 남분에서 출토된 칠기보다 제작방법이 간단한 목심제칠기가 많다. 4. 북분에서 출토된 흑칠지에 동물이나 새 문양이 그려진 용기류는 대부분 목심제칠기로 제작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다.

농업시스템분석을 통한 원주 옻의 합리적 관리방안 연구 (Study on the reasonable management of the lacquer in Wonju through the agricultural system approach)

  • 오현석;김정섭
    • 농촌계획
    • /
    • 제6권2호
    • /
    • pp.20-33
    • /
    • 2000
  • The lacqu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ources for endogenous development and cultural reproduction in Wonju. However traditional and social network, which had been formed by lacquer farmers, group of lacquer-pickers, refineries, and lacquer-ware craftsmen, is being collapsed. It is due to the recent imports of raw lacquer from China and refined lacquer from Japan. Public sectors including Wonju city have continuously improved the potential of lacquer production by planting lacquers. However, the potential of lacquer production isn't under enough condition to realize its value.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efforts of public sectors to raise lacquer industry, focused on the improvements of lacquer production potential until now, should be concentrated on realization of the production potential by reconstructing social productive system which is composed of diverse groups involved in lacquer ware production.

  • PDF

이성산성 출토 목제칠기 보존 (Conservation for Wooden Lacquer Ware Excavated from Isong Sansung Fortress)

  • 김수철;이광희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8권
    • /
    • pp.41-47
    • /
    • 2007
  • 이성산성 저수지안에서 출토된 목제칠기는 이미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t-부탄올로 치환하여 PEG함침처리 후 진공동결건조법을 적용하여 보존처리되었다. 당시 이루어지지 않은 목제칠기의 수종 및 칠조사를 통해 칠기의 제작기법을 규명하고 여러개의 편으로 보관되어 온 칠기편을 전시 및 보관을 위하여 원형복원하였다. 그 결과 오리나무속(Alnus)중(中) 오리나무류를 사용하여 목제칠기를 제작하였으며 칠은 밑층에 토분과 칠을 혼합하여 칠하였고 칠에 흑색안료를 섞은 흑색칠과 순수한 칠을 2번 교대로 칠하여 총 5회 칠을 올려 제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호리 출토 건조상태 칠기의 보존 (Conservation of Dry Lacquer Wares Excavated from Daho-ri, Changwon)

  • 김수철;조석민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1권
    • /
    • pp.43-48
    • /
    • 2010
  • 발굴 칠기는 수분 과포화 상태의 수침칠기와 수분이 거의 없는 건조칠기로 나뉠 수 있다. 본 연구는 창원 다호리에서 출토된 건조 상태의 칠기를 대상으로 목질부는 소실되고 칠도막만 남아있는 칠기 유물을 HPC, PSNY-6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3 가지 유형으로 처리하였다. 입체적 형태를 유지하면서 강화하는 방법, 칠도막이 취약하여 칠기의 형태가 드러날 정도로 세척한 후에 흙 채 강화처리하는 방법, 칠기편만으로 그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에 레이온지로 결실 부위를 연결·지지해주거나 또는 전체를 보강해 주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인공수침 칠기를 이용한 고대칠기 보존연구 (Conservation of Excavated Lacquer-wares for using artificially water-soaked Lacquer-wares)

  • 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21권
    • /
    • pp.49-58
    • /
    • 2007
  • 고대칠기 보존처리를 모의시험하기 위하여 현생 칠기를 대상으로 다양한 보존처리법을 적용한 결과 PEG#3350 40%(수용액)처리가 수축률이 낮아 치수안정화 처리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Sucrose 19%+Glycerin 1%(t-butanol 5% in water)처리의 경우 지속적으로 중량이 증가되었다. 반면 Sucrose의 함침처리과정에서 시험편내부와 처리용액의 농도평형을 이루지 못하여 농도 차가 발생되므로 내부의 수분이 시험편 밖으로 나오는 탈수현상에 의해 중량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보다 긴 함침기간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장기간 함침처리로 탈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량(PEG #3,350)의 처리제와 저분자량의 처리제 모두 칠기 내부로의 침투가 확인되어 진공 동결건조법뿐 만 아니라 각 처리제를 고농도로 함침 처리 한 후 자연건조 조습건조처리도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대한민국 명장(名匠)의 작품 성향에 관한 연구 III - 나전칠기 명장 임충휴 - (A Study of Master Craftsman Republic of Korea III - Lacquer ware masters Lim Chung Hyu -)

  • 김정호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3-382
    • /
    • 2015
  • In this study, select the Republic of Korea mother-of-pearl lacquerware Lim chung hyu coach, I tried to find out the until the background and coach of his growth. And it was done looking for the elements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mother-of-pearl lacquerware through the tendency of his work after the coach has been. Lim chung hyu coach is, unlike other mother-of-pearl lacquer craftsman, confirmed the affection and passion to his mother-of-pearl lacquerware as seen through the work to manufacture in his unique way. Through the mother-of-pearl lacquer-ware production processes and trends of his works of Lim chung hyu coach it increased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mother-of-pearl lacquerware. The work of Lim chung hyu coach was studied analysis confirmed the superiority of the mother-of-pearl lacquer crafts that are completed through a number of steps. Through the work trend of the traditional while it adheres to craft system in pursuit of modernization together the Republic of Korea lacquerware masters Lim chung hyu coach, has described a vision for the potential of the development of the mother-of-pearl lacquerware to pursue h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