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atory activities

검색결과 1,607건 처리시간 0.038초

비행운동 제한에 따른 비둘기 심근세포의 퇴행성 변화 (Degenerative Changes of Myocytes Induced by Restriction of Flight in Doves)

  • 문혜정;이용덕;박원학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69-279
    • /
    • 2000
  • 격렬한 운동유형으로 분류되는 비행이 습성화 되어 있는 조류를 대상으로, 인위적으로 비행을 제한시켰을 떼 나타나는 심근의 퇴행성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운동량 감소가 심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하였다. 서식환경의 제한을 위해 자연상태에서 서식하는 비둘기를 1 $m^3$ 공간에 2달 동안 서식시킨 군 (confined type)과 자연상태의 군 (wild type)으로 나누어 심근의 변화양상을 미세구조적, 세포화학적 방법 및 입체해석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체중은 confined type에서 증가되어 상대적으로 심장의 무게는 감소되었고, 흉근의 무게는 6.5% 감소 (p<0.05) 되었다. Confined type은 wild type과 비교해 볼 때, 미세구조적으로 더 적은 빈도의 심근의 파동형 변화와 지방소적의 침적이 관찰되었고, 근절의 길이는 길게 관찰되었다. Cytochrome oxidase의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세포 화학적 반응 결과, confined type에서 활성이 15% 감소되었다. 또한 입체해석학적 분석 결과, confined type의 관원섬유 체적밀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근형질내세망의 체적밀도와 사립체 내막의 표면밀도는 각각 23%, 25% 낮게 (p<0.05, p<0.01) 나타났다. 사립체의 체적밀도는 confined type에서 낮게 나타난 반면, 수적 밀도는 wild type과 비교하여 17% 높게 (p<0.05)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비행이라는 고에너지를 요구하는 격렬한 운동인 비행이 습성화 되어 있는 비둘기에서 비행을 제한시키면, 심근은 운동량의 감소에 따른 퇴행성 변화를 겪게 되므로, 운동의 지속성 여부는 심근기능유지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판단된다.

  • PDF

흰쥐의 감염된 전층피부결손에서 은 함유 드레싱제제의 Staphylococcus aureus 및 Pseudomonas aeruginosa 균주에 대한 효과의 비교 (Comparative efficacy of silver containing dressing materials to Staphylococcus aureus and Pseudomonas aeruginosa on infected full thickness skin wound in the rat)

  • 이종훈;김동규;이원미;채정돈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372-379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n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wound healing effect of silver containing dressings with which of Betadine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Pseudomonas aeruginosa. Methods: One full thickness skin defects in rats(n=72) were developed on the back and were given rise to infection with S. aureus(n=36) and P. aeruginosa(n=36). The 72 mice were divided into 6 groups : Acticoat$^{(R)}$, Aquacel$^{(R)}$-Ag, Medifoam silver$^{(R)}$, Polymen silver$^{(R)}$, Ilvadon$^{(R)}$ and Betadine(control group) dressing groups. Five silver containing dressings and Betadine were assesed on infected wound. Measurement of wound size change, bacterial colonies count and histologic findings was applied. Antibacterial activity was analyzed with bacterial restricted zone in Mueller Hinton agar. Results: On S. aureus, wound size was more decreased in all treated groups as compared with betadine, however Ilvadon$^{(R)}$ was less decreased on P. aeruginosa. In histologic findings,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effective findings than others on S. aureus, however on P. aeruginosa, which was showed similar. Acticoat$^{(R)}$ was best effective in wound healing against S. aureus and P. aeruginosa. The bacterial colonies count was increased in all treated groups except Acticoat$^{(R)}$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n S. aureus, which was decreased in Acticoat$^{(R)}$ and Ilvadon$^{(R)}$ group on P. aeruginosa. There were not statistical differences. The restricted zone was shown in Mueller - Hinton agar of all groups except Medifoam silver$^{(R)}$ group on S. aureus, which was shown of all groups on P. aeruginosa.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ilver containing dressings may have not better potential than Betadine in assisting management of wounds at risk of infection on S. aureus and P. aeruginosa. However, which have better antibacterial activity on S. aureus and P. aeruginosa.

전, 후방 기울기각을 이용한 노인의 보행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the Elderly Gait Stability Using the Center of Mass and Center of Pressure Inclination Angles)

  • 윤석훈;김태삼;이재훈;류지선;권영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99-106
    • /
    • 2007
  • The gait instability in the elderly has been associated with age-related deterioration in physical strength and reducing the potential for elderly falls requires regular exercise. In 2005, National Center for Injury Prevention and Control(NCIPC) reported that most elderly falls occur during activities in daily living(ADL). To better reveal biomechanic mechanisms underlying age-related degeneration in gait stability, and to enhance the assessment of falls risk, an accurate quantification of a person's balance maintenance during locomotion is needed. Instantaneous orientation of the line connecting COP and COM can characterize whole body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foot during gait and the angle between this line and the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OP known as a good assessment to detect the elderly gait instabil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6-month walking exercise effects in reducing elderly fall risk factors by using COP-COM inclination angles. Twenty-two community-dwelling elderly participated this study. The participants performed a walking exercise(3 times/week, 1 hour/visit) for 6 months. Laboratory kinematics during walking was assessed at months 0, 3 and 6. Significant increased in gait velocity was found among periods(p=.011, $1.25{\pm}.03$, $1.32{\pm}.03$, and $1.39{\pm}.04\;m/s$ in 0-, 3-, and 6-month, respectively).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terior and posteriror inclination angles were found among the periods(p<.05; posterior inclination angles: $12.8{\pm}2.2$, $11.0{\pm}2.9$, & $10.9{\pm}1.9$; anterior inclination angles: $13.7{\pm}1.7$, $14.6{\pm}3.2$, & $1.46{\pm}.21$ in 0month, 3month, & 6month, respectively). These findings provide evidence of significant reduced fall risk factors of community-living older adults associated with a systematic walking program.

Methyl jasmonate 처리에 의한 인삼 (Panax ginseng C.A. Meyer) 부정근의 이차대사산물 및 항산화활성 증가 (Increasement of Secondary Metabolites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Panax ginseng Adventitious Root by Methyl Jasmonate)

  • 임순;배기화;신차균;김윤영;김윤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3호
    • /
    • pp.225-231
    • /
    • 2005
  • 인삼부정근 배양에서 MeJA 처리가 부정근내 진세노사이드와 페놀화합물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이차대사 산물의 증가에 따른 인삼부정근의 항산화활성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MeJA를 인삼부정근에 처리한 결과, $100\;{\mu}M$ MeJA에서 부정근내 진세노사이드의 생산은 26.6 mg/g dry wt로 대조구보다 약 8배 이상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MeJA의 처리는 부정근의 생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놀화합물의 생산 역시 MeJA처리에 의하여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50\;{\mu}M$ MeJA에서 0.38 mg/g dry wt로 대조구에 비하여 약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MeJA의 처리효과는 조건배지 (CM)를 이용하는 것이 신선배지 (FM)를 이용하는 것보다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지성분이 결핍된 조건배지에서의 진세노사이드 생산은 신선배지에서 보다 약 1.7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페놀화합물 역시 조건배지에서약 1.2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MeJA 처리에 의한 진세노사이드와 페놀화합물의 증가는 결과적으로 인삼부정근의 항상화활성을 무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서 약 72%이상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백잎추출수의 실내 가습시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Humidifier with Using Hinoki Cypress Extracts)

  • 이민;박상범;이상민;이희영;길덕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747-757
    • /
    • 2014
  • 건축재료와 생활용품으로부터 방출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들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친환경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 속에 피톤치드에 대한 효능이 알려지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피톤치드를 다량 함유한 편백잎 증류추출수의 가습시 발생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방출특성을 GC-MS를 이용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편백잎추출수 가습시 115종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화합물들은 aromatic compound, terpenoid, alkane, ketone, ester, aldehyde, alcohol, acid, miscellaneous compound류로 분류하였으며 aromatic compound류(13종, 38%)와 terpenoid류(23종, 33%) 화합물이 다른 화합물류에 비해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다. Aromatic compound류 경우 편백잎추출수에 의한 추가 화합물은 검출되지 않아 그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terpenoid류 경우 편백잎추출수 가습시 10% 정도 증가하였고 7종의 화합물이 추가로 검출되었다. 편백잎추출수 가습시 방출된 terpenoid류 화합물들은 항균, 방충, 방부 효력뿐만 아니라 항고혈압성과 항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건강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신령버섯균사체 액체배양물의 자가분해에 의한 항암성 isoflavone-conjugated glycoprotein 분리 (Isolation of Anticarcinogenic Isoflavone-conjugated Glycoproteins from a Submerged Liquid Culture of Agaricus blazei Mycelia by the Autolysis Process)

  • 김소영;김영숙;장정순;김보현;라키브 압두르;김곤섭;김정옥;하영래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316-1324
    • /
    • 2014
  • 신령버섯균사체(Agaricus blazei mycelia: ABM)를 대두박이 함유된 액체배지에 배양하고, 이것을 자가분해($53^{\circ}C$, pH 5.5, 120 rpm, 3 hr)하여 항암성이 강한 isoflavone-conjugated glycoprotein (Gluvone 이라 명명)을 분리하였다. Gluvone은 지금까지 알려진 당단백질과는 달리 분자량이 작고(9,400 Da), isoflavone이 결합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Gluvone은 60% 탄수화물(glucose, fructose, ribose), 31% 단백질 및 2% isoflavone (daidzein, genistein)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Gluvone은 S-180 복수암세포, MCF-7 인체유선암세포에 대한 독성이 강하였고, S-180 세포로 유발한 mouse 복수암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포천천 수질개선을 위한 패류의 이용 하천형 유기물 제어(S-CROM) 기술의 적용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Pocheon Stream Using Freshwater Bivalves: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ntinuous Removal of Organic Matter in Streams (S-CROM))

  • 김백호;이주환;김용재;황수옥;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2권3호
    • /
    • pp.317-330
    • /
    • 2009
  • 패류를 이용한 오염하천의 수질개선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CROM기술을 응용한 S-CROM기법을 개발하고 현장에 직접 적용하였다. 실험은 하천에 형성된 소형 보에서 실시하고 자연유속을 그대로 이용하였으며, 패류의 섭식활동을 위해 현장의 퇴적물을 첨가하였다. 실험은 처리조를 현장수(대조군), 현장수+퇴적물(대조군), 현장수+퇴적물+패류 30개체 (D1), 현장수+퇴적물+패류 60개체 (D2) 등 4가지로 구성하고, 유속은 450mL $min^{-1}$, 시료채취는 12시간(주, 야)간격으로 실시하였다. 환경요인으로는 현장에서 직접 수온, pH, DO, 전기전도도, 탁도 등을 측정하였고 시료를 채취하여 Chl-$\alpha$, SS, TN, TP, $NO_2$-N, $NO_3$-N, $NO_4$-N, $PO_4$-P, BOD, 식물플랑크톤 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유기물 제어능은 패류밀도와 처리시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최대효과는 운영 2일째, 낮 동안 그리고 고밀도 처리군에서 나타났으며, 부유물질 (57%)과 조류(72%)의 감소를 보였다. 고농도의 암모니아와 인산을 배출하였던 CROM(김 등, 2009)보다 뚜렷하게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패류의 밀도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비록 S-CROM이 CROM에 비하여 낮은 제어율을 보였으나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패류밀도 및 빠른 유속 등이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S-CROM를 이용한 하천의 유기물 제어는 하천환경과 패류밀도를 적절하게 조합한다면 높은 수질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개에서의 indocyanine green 배설시험 및 혈장효소 활성치의 변화 (Indocyanine green excretion test and changes of plasma enzyme activites in dogs)

  • 김철호;최일관;손민수;김진구;강정부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71-675
    • /
    • 1992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proper method of indocyanine green(ICG) excretion test for a applicable liver function test in dogs. The half life(T1/2), fractional clearance rate(KICG) and retention rate after injection of ICG with or without administred carbon tetrachloride($CCl_4$) were also invest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maximum absorbance of ICG in plasma was at 810nm. 2. Half life and fractional clearance rate when administered 0.25 and 0.50mg of ICG per Kilogram body weight were $6.33{\pm}0.58$ minutes and $0.11{\pm}0.99$/minute in the former, $10.01{\pm}1.0$ minutes and $0.07{\pm}0.007$/minute in the latter, respectively. The ICG removal rate was exponentially linear for the first 15 minutes after injection both, of 0.25 and 0.50mg of ICG. 3. One day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0.0042m{\ell}\;CCl_4$ kilogram body weight which injected 0.50mg of ICG, half life was more longer and fractional clearance rate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at of ICG single injection. 4. Plasma retention rate when 15, 30, 45 minutes after injection dose of 0.25 and 0.50mg ICG per Kilogram body weight, $14.7{\pm}4.8$, $5.1{\pm}3.1$, $2.6{\pm}1.6%$ in the former, $26.9{\pm}1.8$, $11.1{\pm}2.4$, $4.8{\pm}1.3%$ in the latter, respectively. However, after administration of $CCl_4$, plasma retention rate of ICG at a dose of 0.50mg, it was $39.3{\pm}0.9$, $16{\pm}2.9$, $10.7{\pm}0.1%$, respectively. 5. Plasma enzyme(AST, ALT, r-GTP) activities administered with $CCl_4$ were increased, but there was no change which injected any dose of single ICG injection. From these results, ICG excretion test to dog is applicable to evaluation of liver function in both clinical and research.

  • PDF

청갓과 청갓김치의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성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Fractions Extracted from Mustard Leaf (Brassica juncea) and Their Kimchi)

  • Kim, Jae-I;Park, Jae-Sue;Kim, Woo-Seong;Woo, Kang-Lyung;Jeon, Jung-Tae;Min, Byung-Tae;Cheigh, Hong-Sik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86-290
    • /
    • 2004
  • 동결건조한 청갓과 담금당일 청갓김치, 15$^{\circ}C$에서 5일간 발효시킨 청갓 김치로부터 극성이 다른 용매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을 얻고 methanol(MeOH), hexane(C$_{6}$ $H_{14}$), dichlorometane(C $H_2$Cl$_2$), ethyl acetate(EtOAc), butanol(BuOH), water($H_2O$)의 각각의 용매분획별(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assay에 의한 항산화성을 측정하였고 항산화효과를 상호 비교하였다. 청갓과 담금당일 청갓 김치에서 EtOAc와 n-BuOH에서 얻은 분획층이 다른 분획층보다 항상화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15$^{\circ}C$ 5일간 발효시킨 청갓 김치에서는 C $H_2$Cl$_2$와 EtOAc분획층이 다른 분획층에 비하여 radical scavenger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의 차이는 다양한 재료에 의한 발효공정에 기인된다고 판단된다.

전통 안동식혜의 제조공정 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Fermentation Process for Traditional Andong Sickhae)

  • 최청;석호문;조영제;임성일;이우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724-731
    • /
    • 1990
  • 안동지방의 전통적인 식혜의 제법을 조사하고 10종의 시료를 채취하여 성분분석 및 관능시험으로 품질을 평가하였다. 점차 사라져가는 전통 안동식혜의 전통적인 제법을 계승, 보존하고 그 품질향상을 도모하고 상품화할 목적으로 관능시험의 결과 식혜 담그는 재료의 비와 그 제법공정을 확립하였다. 전통 안통식혜를 관능시험으로 가장 이상적인 식혜 제조시 재료의 비는 찹쌀 : 엿기름 : 무우 : 물 : 생강 : 고추가루의 중량비는 각각 80 : 50 : 100 : 500 : 8 : 4이었다. 전통 안통식혜의 성분 중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낮았으며 수용성 아미노산과 염용해성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다같이 glycine,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의 함량이 많았다. 식혜의 당 조성은 총당 및 환원당의 함량은 대체로 높았으며 유리당의 함량은 maltose가 78%로써 가장 많았고 glucose, maltotriose순이었다. 산성 protease의 활성은 1.15 unit/ml였으며 전분당 화력은 $12.5D^{40}_{30}^{\circ}$로써 식혜의 감미를 크게 증가시켰다. 관능시험 결과 선정된 우량 식혜는 매운맛과 단맛 및 산미가 잘 조화된 전통식품으로 향기는 약간의 감주향에다 매운향이 잘 조화된 향취를 나타내었고 색은 약간 붉은색을 띠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