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shortage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의 중소 제조업체 노동력 부족의 개념과 측정 (Alternative Labor Shortage Statistical Measures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orea)

  • 설동훈
    • 한국인구학
    • /
    • 제27권1호
    • /
    • pp.121-146
    • /
    • 2004
  • 한국의 중소 제조업 노동력 부족 실태는 노동부의 <노동력수요동향조사>와 중소기업청의 <중소기업인력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두 기관에서 조사한 자료의 개념과 측정도구의 불일치가 매우 심해 인력부족실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심각한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인력부족'의 개념 정의와 측정 및 조사방법에서 혼란이 발생하고 있음을 밝혀낸 후, 대안적인 통계 지표들을 제시하여 그 혼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전망과 정책적 함의 (Labor Force Shortage Projection and Policy Implications: Impact of Demographic Transition in Korea)

  • 이상림
    • 한국인구학
    • /
    • 제35권2호
    • /
    • pp.1-28
    • /
    • 2012
  • 이 연구는 한국사회의 인구구조의 고령화가 노동시장에 미칠 영향을 인구학적 측면에서 예측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인구구조의 고령화가 경제에 미칠 영향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인구추계 및 다양한 경제활동 참가율 자료를 활용하여 인구구조의 변천에 따라 앞으로 발생할 노동력의 부족분을 추정하였는데, 분석결과는 2020년에서 2030년 사이에 노동시장의 변동이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다. 노동참가율을 높이는 경우에도 노동력 부족의 발생 시점을 연기하거나, 노동력 부족을 완화하는 효과만 있을 뿐,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을 완전히 상쇄시키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마지막으로 인구구조의 변천에 대응한 노동력 활용 정책의 실행에 있어서 정부 및 우리사회가 유념해야 할 중요 사항들을 제시한다.

  • PDF

기술집약도별 산업기술인력 수급구조의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 (The Characteristics and Perspectives of Industrial Technology Labor-force by Technology Intensities in Korean Manufacturing)

  • 홍성민;장선미
    • 기술혁신연구
    • /
    • 제16권2호
    • /
    • pp.201-223
    • /
    • 2008
  • This paper studies the supply and demand of Industrial Technology Labor-force(ITL) and analyzes the determinate of ITL shortage in Korean manufacturing. We classified the industry into four categories-high technology industries, medium-high technology industries, medium-low technology industries and low technology industries-based on its R&D intensity like OECD. For the empirical analyses we use a survey data collected from 5,703 enterprise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 large majority of ITL is engaged in more technology-intensive industries but the categories that are exposed to more serious labor-force shortage problem are medium-high technology industries and low technology industries. Secondly, in the terms of supply factor, the ITL shortage problems are mainly due to the avoidance of ITL jobs. And the demand point, the reason is that the most of ITL are not researchers but production managers. Thirdly, the cause of im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ITL are different by the technological categories. For example, in the high technology industries, the supply factors, such as average wage and turnover rate played more important role in the imbalance. But in the low technology industries the demand factors, such as per capita sales and the ratio of ITL in all employees were relatively much more important.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overed some political meanings such as the necessity to plan various policies to resolve the shortage problem of ITL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categories, etc.

  • PDF

중소제조업의 인력 부족 해소방안을 위한 연구 -인천과시흥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Resolutions of Manpower shortage problems in Small and Mid-Sized Manufacturing Firms -Focused on the Era of Incheon and Siheung-)

  • 최병우;윤두열
    • 산업융합연구
    • /
    • 제1권1호
    • /
    • pp.159-169
    • /
    • 2003
  • In the 21st century, a time for smaller companies is fast approaching. A lot of people believe that the small and mid-sized companies will be a main force for industry. However, this concept could only be possible after we find some solutions for the general, labor shortage problem. Specifically, the majority of these challenges stem from improper distribution of labor within each company's divisions. These labor shortages have been influenced by a variety of exogenous (human) variables. The sources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come from the lack of appropriate labor and their fair wages. The work environment is also a contributing factor. These items are considered to be serious challenges to the development of smaller enterpri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se difficulties. For solving the labor shortage, enterprises and government should offer employees supportive benefits. Enterprise companies should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ir work environments. Companies should also use innovative strategies to raise labor compensation. With this in mind, smaller firms should struggle to retain their employees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and commit to an organizational business strategy. Governments should try to develop a higher recognition of smaller enterprises. They should create human power recruitment, development, and recourse policies as needed. Furthermore, they should manipulate existing policies to support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at aids these companies to be more competitive with larger ones.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creative programs to help with the social recognition of smaller enterprises.

  • PDF

건설 기능인력부족 문제해결을 위한 대응전략 벤치마킹 연구 - 영국 MMC와 싱가포르 Buildability 중심으로 - (A Study on Benchmarking the Countermeasures Strategy for Tackling the Construction Labor Shortage - Focusing UK's MMC & Singapore's Buildability -)

  • 유정호;손보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54-64
    • /
    • 2022
  • 국내 건설산업의 지속적인 노령화 및 인력부족 문제는 노동집약적 건설업의 특성과 지속되는 청년층의 건설업계를 향한 부정적 이미지가 증가하는 현실을 감안할 때 더 이상 미래의 문제가 아니라 국내 건설업의 생존을 위해 꼭 해결해야할 선결과제임에 틀림없다. 본 연구는 국내 건설산업이 직면한 건설 인력부족의 근원적인 문제점을 조명하고 인력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5년간 패스트트랙 성향의 신속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는 영국의 MMC 사례와 약 20년간의 중장기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싱가포르의 Buildability 사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양국이 제시하는 전략적 대응방안의 시사점을 도출하고 유사한 전략을 구사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가 제시한 대응전략을 프로세스 다이어그램으로 제시하여, 향후 전략개발의 방향성을 명확히 하였다.

Toward the Future of Mechanized Construction Introduction and Future Prospects of Mechanized Constructions Using Digital Information

  • Makoto Kayashima;Yuusuke Noguchi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87-102
    • /
    • 2022
  • In Japan, the population progresses to the extreme aging society and it is entering the phase of the population decrease while the population increase is continuing in the world. The construction market is expected to shrink accordingly, however the situation of labor shortage is expected to continue at a faster rate, because the aging of construction workers is progressing and new younger labor force cannot be secured. In order to supplement the labor shortage, it is required to progress mechanization, automation, labor saving, and efficiency improvement by utilizing the information well in each stage in a series of flow of planning, design, construction, operation, and disassembly in one building. The measures to maintain and expand the construction market by the new efficiency improvement techniques which enhance the utilization degree of building information are required. Currently, the elemental technologies which utilized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re accumulated by advancing digitization in each phase. DX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can be achieved by the technology maturing and having a series of continuitie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will evolve to a new method which is unprecedented. Present status of BIM and mechanized constructions in Taisei Construction are introduced, and future prospect is described.

산업기술인력 부족의 결정요인 분석 (The Determinants of S&E Workforce Shortage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s)

  • 엄미정;박재민
    • 기술혁신연구
    • /
    • 제15권2호
    • /
    • pp.25-40
    • /
    • 2007
  •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shortage of the Korean science and engineering workforce is a key issue in enterprises' competitiveness. The Korean government has conducted various surveys and research projects to deter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its causes. Nevertheless, the surveys report different results, and, to date, very few in-dept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factors that lead to such a shortage.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factors that cause the shortage of the science and engineering workforce by looking at a recent survey on the actual employment conditions in manufacturing and major service industries. The study also estimated the determinant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on 5,967 enterprises. Particularly, the probability of the workforce shortages are defined as a logistic probability function, which includes a diverse number of explanations tha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an enterprise and its internal demand conditions on workforce. The findings showed that key determinants include not only the factors that have been recognized by previous studies, but also research propensity and competitiveness aw well as the enterprises' internal demand conditions on human resources. In other words, an enterprise is more exposed to the problem of workforce shortage when it performs its R&D more proactively and its innovative activities are more organized. It has been further analyzed that the R&D and internal demand variables are more eminent to the shortage problem on skilled workers, which proves the shortage of workforce is not only caused by the quantitative aspect but also hold qualitative aspect characterized by skill obsolescence and mismatch in the labor market.

  • PDF

고령·영세농을 위한 농작업 대행사업의 만족요인 분석 - 농기계작업단을 사례로 - (An Analysis of Performance by Agricultural Agencies - Case Study of Machinery Operators -)

  • 유찬주;엄지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97-414
    • /
    • 2021
  • As the agricultural population continues to age, the shortage of labor is worsening. To respond to this, Machinery Operators, those who work on behalf of farmers, are on demand. This study examines the cases in Imsil, Sunchang, and Namwon in Jeollabuk-do, where such agencies are in action, and analyzes the elements of their success and customer satisfaction. A survey was circulated among the farmers who used these agricultural agencies, and a total of 180 responses were submit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prove our thesis. The study shows that the agricultural assistance provided by the Machinery Operators did help in ameliorating the shortage of labor, and resulted in high customer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was analyzed that Assurance and responsive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n addition, satisfaction was analyzed to fully mediate between service quality and intention to reuse. This study provides further support for the need to expand the institution of Machinery Operators and to encourage agricultural agencies in order to address the shortage of labor in rural areas due to aging.

과소농촌지역(過疎農村地域)의 휴경요인(休耕要因)과 유형(類型) - 경북 상주시 사벌면 덕기리의 사례연구 - (A Study on the Fallow of Depopulation Area in Rural Korea - The Case Study of Deoggali, Sangju Gun -)

  • 이한방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74-90
    • /
    • 2001
  • 한국의 과소농촌지역에서의 휴경화는 지난 30년간의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격심한 인구 유출에 따른 사회변화에 농촌지역사회와 농민의 토지이용방식 및 이농민의 농지처리가 미처 대응하지 못해 나타난 결과이다. 과소지역인 경북 상주시 사벌면 덕가리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인한 농촌 노동력의 질적 저하 양적 부족은 만성적인 농지 공급과잉이 초래되었다. 촌락 내 노동력의 절대적 부족 상태에서 경작조건 불리 농지의 우선적 휴경화가 진행되고 있다. 둘째, 노동력의 상대적 부족 상태, 즉 집약적 노동 투입 또는 노동력 배분 우선 순위에 따라서 자기 소유의 땅이라도 경작 조건이 나쁠 경우는 휴경하고, 조건이 좋은 땅을 임차하여 경영 규모를 확대한다. 셋째, 이농민의 토지 보유 성향과 상속, 매매 부진으로 인한 부재지주 소유농지의 증가는 휴경화를 촉진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노령자의 질병 사망으로 인한 농가 소멸이나 비농가화(非農家化), 촌락 내 노동력의 부족은 부재지주 소유 농지의 우선적 휴경화를 촉진시킨다. 경사도가 높거나 경작조건이 불리한 경지는 부재지주 소유농지를 중심으로 휴경화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덕가리 부재지주의 휴경지는 이촌 이농형 문중답 위토형의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한국농촌의 휴경화는 압축적 산업화에 따른 인구유출로 인한 노동력의 양 질적 부족, 경작불리 지의 방치, 농업의 수지조건 악화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부재지주 농지의 온존 증가와 같은 문화적 요인이 주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유출로 인한 과소화가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는 원격지 과소농촌지역에서의 휴경화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따라서 또 하나의 한국적 현상인 대도시주변지역에서 나타나는 일시적, 투기적 휴경현상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설명력이 증가되고 전체적인 휴경화 현상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건설기능인력 수급 불균형 문제 해결의 대안 제시 (Using Next Generation Technologies to Resolve Construction Labor Shortage Problems)

  • 이복남;우성권;장철기;구본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6D호
    • /
    • pp.969-974
    • /
    • 2006
  • 국내 건설현장 기능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 현재 국내 건설현장은 신규 인력 진입 저조에 따른 공급 부족과 기능 인력의 고령화에 따른 생산성 저하 등 양적, 질적인 문제를 동시에 겪고 있다. 여기에 현재 계획되고 있는 대규모 국가사업으로 향후 건설현장 기능 인력의 부족은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건설현장 기능인력 수급 불균형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의 공급 확보 정책은 시대의 흐름과 기술 발전에 따른 미래 전망을 고려해볼 때,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고 판단되며, 기술적 접근을 통해 기능 인력에 대한 수요를 줄이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기술 발전을 통한 기능인력 수요 감소를 위해서는 현장에서 수행되는 작업 프로세스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야에 연구의 초점이 맞춰져야 하며, 기능인력 수요 저감의 핵심이 되며 연구개발 노력이 필요한 분야로서 1) 건설 자동화 및 기계화 확대를 통한 기능 인력의 대체, 2) 고성능 건설 자재 개발 및 활용으로 현장 작업량 저감, 3) 정보화 기술 도입으로 현장 작업대기 시간 감축에 의한 생산성 향상, 4) 모듈화, 선조립, 공장제작 등 선작업 방식의 적용을 통한 현장 기능 인력 수요 저감 및 생산성 향상, 5) 재설계/재시공 예방으로 추가 작업 발생 방지, 6) 기능 및 직종 통합에 의한 다기능 인력 양성, 7) 시공 프로세스 개선에 의한 작업 생산성 향상 등의 7가지 주제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