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owledge of problem types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6초

스키마에 의한 현대주택의 전통성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raditionality in the Contemporary House base on Schema)

  • 이완건;정례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60-67
    • /
    • 2006
  • An architecture is a result from representation of design knowledge by architect's creative thinking, and operated only in his internal organization system. Design knowledge based upon the experience that they have achieved in the past as well as the informations they have accumulated over the time. In this point of view, the Schema that formed by problems settlement and process repetitions for the best conclusion, not only play an important part in the designer's thinking system about a specific problem but also appeared by distinctive features. This research looks to achieve a new design method by finding out how architects express traditionality in the contemporary house through schema. This research analyze contemporary house built in seoul of 1990's. The result are as followings. First, Schema is a 'frame' that already exist in the architect's thinking, will make a good guide about express the traditionality. Second, We found out several distinctive characters in the form and the space. The form is divided in five types. It is an condensed form of roof image, the metamorphosis of form grammar, the change of part details, the representation of design principle and the directly expression. Lastly, In the space, it is the borrow of the connection method of inside and external space, the three parts composition of the space, the adaptation of 'Madang' and the Independent composition of the space due to 'Chae'

학문 목적 교양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 질문 분석 연구 -문제 중심 수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of Teachers' Questions in the Korean Classroom for Academic Purposes-Focusing on Problem-Based Instruction)

  • 공하림
    • 한국어교육
    • /
    • 제29권3호
    • /
    • pp.1-2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achers' questions in the actual general Korean classroom for academic purposes and identify types of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question analysis by type identified 713 teacher's questions in total: echoic questions made up 41% while epistemic questions were 19.3% and expended question turned out to make up 39.7%. 'Comprehension check questions' were 29%, which was a major part in the echoic question. 'Referential questions' were a major part in the epistemic question. Also, the research discovered that 'knowledge integration' questions held the largest majority in expended questions. Since the teacher-led lecture was often conducted in the problem-presentation stage, the percentage of Echoic question was high; and moreover, the problem-solving stage promoted to come up with more improved solutions of the problem. In the outcome and presentation stage, it was discovered that the questions aimed to check understanding of content in the subject and expand though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for teacher's questions by phase and further conduct research on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questions in the future.

지식 간 내용적 연관성을 표현하는 키워드 기반 네트워크형 지식지도 개발 (Keyword-based networked knowledge map expressing content relevance between knowledge)

  • 유기동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3호
    • /
    • pp.119-134
    • /
    • 2018
  • 저장 및 관리하는 지식의 분류체계로서의 의미를 갖는 지식지도는, 문제해결을 위하여 지식을 조회 및 선택하는 사용자의 활동을 지원하고 보완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계층형 구조를 갖는 기존의 지식지도는, 관리하는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에는 이점이 있으나, 지식 사용자가 갖는 인지 및 활용의 논리를 반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식을 조회 및 추출하는 사용자의 활동을 지원하지 못한다. 본 연구는, 내용적 관련성을 갖는 연관지식을 연쇄적으로 조회 및 추출하는 사용자의 지식활용 패턴을 반영하는, 키워드 기반 네트워크형 지식지도를 구축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즉, 지식 간 내용적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공통된 키워드를 갖는 지식 간 링크를 해당 키워드를 이용하여 정의한다. 키워드는 해당 지식의 내용을 대변하므로, 키워드를 기반으로 정의된 링크는 내용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지식 간에 형성되며, 이를 종합하면 내용적 연관성을 지식 간의 네트워크, 즉 네트워크형 지식지도가 완성된다. 제시된 방법론의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50개의 연구논문을 이용하여 이들 간의 내용적 연관성을 표현하는 네트워크형 지식지도를 구현하였으며, 검토 결과 만족할만한 수준의 정밀도와 재현율을 보였다.

문화예술기관 기본정보의 품질개선과 연계를 위한 지식그래프 구축 (Constructing a Knowledge Graph for Improving Quality and Interlinking Basic Inform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Institutions)

  • 선은택;김학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9-349
    • /
    • 2023
  • 정보통신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데이터의 생산 속도가 급증하였고, 이는 빅데이터라는 개념으로 대표되고 있다. 단시간에 데이터 규모가 급격하게 증가한 빅데이터에 대해 품질과 신뢰성에 대한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 반면 스몰데이터는 품질이 우수한 최소한의 데이터로, 특정 문제 상황에 필요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문화예술 분야는 다양한 유형과 주제의 데이터가 존재하며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문화예술기관의 기본정보가 정확하게 제공되고 활용되는지를 탐색한 연구는 부족하다. 기관의 기본정보는 대부분의 빅데이터 분석에서 사용하는 필수적인 근거일 수 있고, 기관을 식별하기 위한 출발점이 된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 기관의 기본정보를 다루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공통 메타데이터를 정의하고, 공통 메타데이터를 중심으로 기관을 연계하는 지식그래프 형태로 스몰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이는 통합적으로 문화예술기관의 유형과 특징을 탐색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해결자·청취자 활동이 예비 화학교사의 지필평가 문항 제작 과정에서 고려된 교과교육학 지식(PCK) 구성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on Interactions among PCK Components Considered in the Processes of Making Written Test Items by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 박재성;강훈식;한재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29-440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해결자 청취자 활동이 예비 화학교사의 지필평가문항 제작 과정에서 고려된 교과교육학 지식(PCK) 구성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명의 예비교사로 구성된 4개조의 해결자 청취자 활동을 통한 지필평가 문항 제작 활동을 분석한 결과, 해결자와 청취자 역할과 상관없이 PCK 구성 요소 중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 측면을 가장 많이 고려하였으며,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과 학생에 관한 지식 측면에 대한 고려도 비교적 많았다. 그러나 과학교육과정에 관한 지식과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을 고려한 경우는 적었다. PCK 구성 요소 사이의 통합 수준에서는 PCK 구성 요소 중 2가지 측면 또는 3가지 측면의 통합이 다양한 유형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4가지 및 5가지 측면의 통합도 일부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교육과정에 관한 지식 측면 등을 포함한 통합은 비교적 적었으며,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 측면을 포함한 통합은 매우 드물었다. 이를 통하여 예비교사의 지필평가 문항 제작 능력 신장 및 PCK 계발전략으로서 해결자 청취자 활동의 유용성, 제한점, 효과적인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초등 수학 교과서의 문장제에 대한 실제적 맥락 관점에서의 분석 (An Analysis of the Word Problem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from a Practical Contextual Perspective)

  • 강윤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297-312
    • /
    • 2022
  • 문장제는 학습자에게 다양한 문제해결의 경험을 제공하고 수학적 지식을 맥락에 적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학습자의 수학 학습을 더욱 의미 있게 이끌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 수학 교과서의 문장제를 실제적 맥락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교과서 집필 및 교수 학습 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 수학 교과서 내 수와 연산 영역의 문장제를 살펴보았으며 구체적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미국과 핀란드의 초등 수학 교과서를 참고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 수학 교과서의 문장제에 부자연스러운 맥락이나 소재를 설정하는 경우, 인위적인 수를 삽입하거나 문장제의 언어적 표현 및 삽화가 명료하지 않게 제시되는 경우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우 학습자가 문장제의 맥락을 실생활과 별개의 것으로 인식하거나 문장제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이해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울 수 있다. 추후 교과서 집필 시 학습자를 고려하여 소재를 설정하고 삽화, 도식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문장 및 삽화를 더 명료하게 구성하는 등 실제적 맥락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문장제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처방 및 약선요리 제조 과정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형태소 분석 연구 (Morphological Analysis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DB on the Manufacture Process of Prescription and Medicinal Food)

  • 김태열;황수정;김기욱;이병욱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9-90
    • /
    • 2016
  • Objectives : Treatment using foods has already been recorded since the time of Zhou Dynasty of China. Modifications in the cooking process of medicinal food or manufactural process of herbal medicines are accompanied by the alterations in the ingredients that affect the actual efficacies of medicinal food or herbal medicine, and may have marked effects on the patients including the difficulties that may be experienced in consuming the food or taking the medicine. Therefore, systemic management is essential in such processes. Accordingly, management of such knowledge system must be standardized and conveniently administered by grafting IT technology.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failure of the knowledge system on the material-oriented medicinal herbs to apply the knowledge on the cooking process that impart marked influence on the actual efficacies of the medicinal herbs. Methods : Therefore, analysis of the cooking process or manufacturing processes of prescriptions was executed by using the morphological analysis method in natural language. In this study, we aimed to make data structure of the terminologies that represent manufacture process of prescription and medicinal food. The data structure is combinations of smallest unit in natural language. We made the database by analyzing morpheme of the natural language to express the manufacture process of prescription and medicinal food. Results & Conclusions : As the results, we can express making process of Cheonjin-won, Guseon-wangdogo and Sanyagbaegboglyeongtalagjuk in DB. It was concluded that the development of DB through the extraction of a total of 15 types of concepts including 'order', 'action' and 'continuous action', etc. was helpful in systematization of the knowledge on medicinal herbs includ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 Look-Ahead Routing Procedure in an FMS

  • Jang, Jaejin;Suh, Jeong-Dae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9-97
    • /
    • 1997
  • Many dispatching rul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on-line control of product flow in a job shop. The introduction of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FMS) has added a new requirement to classical job shop control problem : the selection of machines by parts of different types. An FMS can keep a great deal of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the system, such as information on what is scheduled in the near future, with great accuracy. For example, the knowledge of the time when the next part will arrive at each machine can be neneficial for the routing. This paper tests the effects of the use of this knowledge for part routing on the parts flow time (sum of the time for waiting and service) under a simple routing procedure- a look-ahead routing procedure. A test under many operating conditions shows that the reduction of part flow time from the cases without using this information is between 1% and 11%, which justifies more study on this routing procedure at real production sites when machine capacity is a critical issue. The test results of this paper are also valid for other highly automated systems such as the semi-conductor fabrication plants for routing when the arrivals of parts in the near future are known.

  • PDF

조선 산학의 관점에서 <광무양안>에 제시된 평면도형의 측도 분석 (Analysis of plane figures and their measures in 'GwangmuYangan' from the perspective of Joseon mathematics)

  • 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9-75
    • /
    • 2024
  • This study aims to analyze Joseon mathematical knowledge and its application to real world. The mathematical knowledge refers to measuring the area of plane figures, known as square-shaped land(方田). Its application is land surveys(量田) conducted for taxation purpose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lated contents in representative mathematical books of the Joseon Dynasty, such as MuksaJipsanbub (17th century), Guiljib (18th century), and SanhakIbmun (18th century), and the shapes and areas of plane figures presented in GwangmuYangan (20th century). The analysis reveals both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measured area between mathematical books and real world land surveys. While most results of the land survey align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mathematical methods, differences arise due to variations in real measurement of lengths and given conditions in the problems. Additionally, various aspects such as the focus on rectangles in land surveys, the proportionality and relativity of lengths, types of approximation, composed shapes, the purpose of problem solving, and reasoning of unspecified shapes or measures are discussed.

수학 교과 역량을 반영한 수업평가 기준 탐색 -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을 중심으로- (The Investigat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tandards Focused on Mathematical Competencies)

  • 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97-111
    • /
    • 2018
  • 학교 교육에서 교사 지식 내지 교사의 수업 전문성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이 부문을 계발하고 정진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할 것이며, 이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교사의 수학 수업평가 요소를 마련하는 일은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이러한 취지하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 전문성의 핵심 영역인 수업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하여 교사 자신의 자기평가 방법에 따라 측정 용이한 수학 수업의 평가영역 및 그에 따른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과 역량에 초점을 두어 이를 반영한 수업평가 기준을 개발하고자 한다. 다만, 교과 내용 지식, 학습자 이해 지식,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 지식, 수업 상황 지식 등과 같은 여러 교사 지식 중, 평가는 교수 학습 방법 및 활동과도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고상숙 외, 2012)에 따를 뿐만 아니라 수학 교과에서의 교과 역량이 교육과정 문서 상 '교수 학습 방법' 부문에 제시되어 있다는 것을 감안하여, '교수 학습방법 및 평가'에 관한 지식 부문에 중점을 두어 교과 역량을 반영한 수학 수업평가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수업평가는 수업전의 수업 계획, 수업후의 수업 실행 (결과), 수업후의 반성 측면에서 그 평가가 가능한데, 실제로 수업 진행 상황에 관한 '실행'이 기본이 되고 중요하다는 판단 하에, 본 연구에서는 수업 실행에 중점을 두어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