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mchis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7초

김치의 숙성과정 중 조직감의 변화 (Changes in Textural Propertie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이귀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59-370
    • /
    • 1995
  • Kimchi is a traditional fermented vegetable in Korea. It has unique taste and flavor due to the variability of raw vegetable, subingredient and their ratio of combination. Fermentation method have very critical effect on these charicteristics. Overall taste of Kimchi is also influenced by texture. In this paper, the changes in texture of Kimchis were reviewed related to pectic substance, enzymatic activities and other chemical chang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Kimchi. Moreover, treatments to prevent softening of Kimchi texture such as preheating, CaCl$_2$ addition, their combination effect and chitosan addition were summarized from the literatures.

  • PDF

Anti-Obesity Effects of Starter Fermented Kimchi on 3T3-L1 Adipocytes

  • Lee, Kyung-Hee;Song, Jia-Le;Park, Eui-Seong;Ju, Jaehyun;Kim, Hee-Young;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0권4호
    • /
    • pp.298-302
    • /
    • 2015
  • The anti-obesity effects of starter (Leuconostoc mesenteroides+Lactobacillus plantarum) fermented kimchi on 3T3-L1 adipocyte were studied using naturally fermented kimchi (NK), a functional kimchi (FK, NK supplemented with green tea), and FK supplemented with added starters (FKS). Oil red O staining and cellular levels of triglyceride (TG) and glycerol were used to evaluate the in vitro anti-obesity effects of these kimchis in 3T3-L1 cells. The expressions of adipogenesis/lipogenesis-related gene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e receptor (PPAR)-${\gamma}$, CCAAT/enhance-binding protein (C/EBP)-${\alpha}$, and fatty acid synthase (FAS) were determined by RT-PCR. Kimchis, especially FKS, markedly decreased TG levels and increased levels of intracellular glycerol and lipid lipolysis. In addition, FKS also reduced the mRNA levels of PPAR-${\gamma}$, C/EBP-${\alpha}$, and FAS, which are related to adipogenesis/lipogenesis in 3T3-L1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e anti-obesity effects of FKS were to due to enhanced lipolysis and reduced adipogenesis/l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김치의 저장성에 미치는 발효성당의 영향과 Shelf-Life예측 모델 (Effects of Fermentable sugar on Storage Stability and Modeling Prediction of Shelf-Life in Kimchi)

  • 유형근;김기현;윤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7-110
    • /
    • 1992
  • 배추에서 발효성당을 0%, 30%, 58% 그리고 74% 제거한 후 김치를 제조하여, 초기당함량에 따른 산생성량을 알아보았으며 유통기간을 예측할 수 있는 식을 유도하였다. 김치의 적숙기에서의 산도인 0.75%를 김치에서 생성되는 데 소요되는 기간(T)을 보면 초기당함량(So)이 2.30%, 0.97%, 0.60%인 김치에서 각각 2일, 7일, 12일이었다. 이 관계를 T=-16.82 LogSo +7.66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배추에서 80%까지 발효성당을 제거할 경우 김치에서 최대 0.8% 정도의 산을 생성하므로써 본 연구에서의 유통기간 설정기준인 총산도 생성량으로 $25^{\circ}C$에서 30일 이상 보존 가능하였으나 관능적으로는 다소 우수하지 못하였다.

  • PDF

마늘의 농도가 김치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Concentrations on Growth of Microorganisms during Kimchi Fermentation)

  • 조남철;전덕영;신말식;홍윤호;임현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1-235
    • /
    • 1988
  • 마늘의 함량을 각각 0, 1, 2, 4, 6%가 되게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21^{\circ}C$에서 숙성시킨 김치의 숙성 과정중 호기성 세균, 효모 및 종류에 따른 유산균 수의 변화를 조사한 바 호기성 세균수는 숙성 $1{\sim}2$일까지 증식하다 그후 감소하였다. 마늘의 함량이 높은 김치일수록 발효초기에 호기성 세균의 증가폭이 작았으며 1%와 2%마늘 농도에서 큰 차이를 나타냈다. 총 유산균수는 호기성 세균과는 달리 숙성 $1{\sim}2$일까지 증가한 후 발효말기까지 그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마늘의 함량이 높은 김치일수록 발효초기의 증가가 켰다. 발효 초기의 유산균의 증가에 주로 관여하는 유산균은 Lac. brevis와 low acid-producing lactobacilli였으며 또한, 발효 기간중 효모수의 변화는 마늘 함량의 변화에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 PDF

국내산 및 수입산 천일염 이용 배추김치의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Prepared with Domestic and Imported Solar Salts during Storage)

  • 이인선;김향숙;김혜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63-374
    • /
    • 2012
  •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cabbage) kimchi prepared using various kinds of domestic solar salts (KS5Y, KS2Y, KS1Y, KFS, and KSS) and imported solar salts (AS1Y and CS1Y) were compared with Korean processed salt (KRS) and Mexican rock salt (MR1Y) during 60 days of storage. Sodium contents of MR1Y, AS1Y, and domestic KRS with values of 363,653.40, 358,952.40, and 356,799.90 mg/dL,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KFS with a value of 280,249.80 mg/dL (p < 0.001). Thus, the kimchi using KFS was expected to have 22-23% lower sodium content compared to that of the other kimchis. KFS magnesium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st at 4,464.10 mg/dL and calcium was significantly the highest in samples of KS1Y with a value of 711.31 mg/dL. Most of the pHs and acidities in the kimchi samples were in the optimum range due to the relatively low storage temperature of $2^{\circ}C$. The salt concentrations of all kimchis using domestic solar salt during storage was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ose using the imported salts or KRS. Sensory saltiness of the KS1Y sample group was significantly the lowest value (6.08) at 0 days of storage (p < 0.001) and maintained relatively low saltiness during the entire storage period. The crispness of the KS2Y, KS1Y, and KSS sample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10.02, 9.77, and 9.49,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of KRS (7.64) at 60 days of storage (p < 0.001). The KFS sample group had the higher acceptance values for pickled seafood aroma, sour aroma, salt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compared to those in the other samples.

김치의 발효과정 중 펙틴질과 조직감의 변화에 대한 젓갈과 Chitosan첨가의 영향 (Effects of Salt-Fermented Fish and Chitosan Addition on the Pectic Substance and the Texture Change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안선정;이귀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09-315
    • /
    • 1995
  • 새우젓과 멸치젓 그리고 키토산을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김치의 숙성과정 중 pH와 산도, 조직감의 변화 및 pectin 질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또한 젓갈, chitosan을 첨가한 김치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김치의 숙성과정 중 pH는 감소하였으며 멸치젓 첨가군 새우젓 첨가군 대조군 키토산 첨가군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산도는 대조군이 숙성초기 0.28%에서 숙성말기 0.97%로 증가하였으며 멸치젓 첨가군은 0.27%에서 1.06%로, 새우젓 첨가군은 0.27%에서 1.03%로, 키토산첨가군은 0.26%에서 0.79%로 증가하였으며 멸치젓 첨가군 새우젓 첨가군 대조군 키호산 첨가군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2. 압착 시험에 의한 김치의 조직감 변화에서 압착변형력은 김치의 숙성과정 중 대조군은 5.0kg~l.6kg로 멸치젓 첨가군은 6.0kg~l.4kg로, 새우젓 첨가군은 6.5kg~l.5kg로, 키토산 첨가군은 6.0 kg~2.5kg의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멸치젓 첨가군 새우젓 첨가군 대조군 키토산 첨가군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3. 배추의 AIS로 부터 펙틴을 추출하여 HWSP, HXSP, HCISP로 분획한 함량비는 HWSP는 대조군, 새우젓 첨가군, 멸치젓 첨가군 순으로 숙성과정 중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키토산 첨가군은 소량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HXSP는 모든 첨가군에서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HCISP는 멸치젓 첨가군, 새우젓 첨가군, 대조군 순서로 감소하였다. 이와는 달리 키토산 첨가군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김치의 조직감 함수에 관한 관능 검사를 실시한 결과 숙성 3일과 5 일에 hardness, crispness와 chewiness는 키토산 첨가군이 다른 첨가군들 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또한 김치의 pH, 산도, 압착변형력과 김치의 조직감 함수에 대한 관능 검사 결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조직감 수는 crispness이었다. 로부터 PH와 압착변형력은 crispness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산도와 crispness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chitosan의 첨가는 김치의 숙성과정 중 압착변형력을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펙틴질의 분포에 영향을 주어 HWSP는 감소하고 HXSP는 증가하였으며 HCISP는 감소시킴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 및 일본산 봄배추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김치의 품질특성과 기능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ies of Korean and Japanese spring Baechu cabbages and the kimchi prepared with such cabbages)

  • 박소은;봉연주;김희영;박건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54-86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봄배추와 일본산 봄배추의 품질특성과 기능성을 살펴보고, 이 배추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5^{\circ}C$에서 4주 동안 발효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in vitro 건강 기능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품질특성으로 수분함량, pH, 산도, 총균수, Lactobacillus sp.의 수, Leuconostoc sp.의 수, 조직감,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적숙기에서의 항산화, in vitro 항암 기능성 실험을 하였다. 일본산 배추는 97.1%의 수분을 함유하였고 한국산 배추는 92.4%의 수분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나 일본산배추가 한국산 배추에 비해 높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었다. 생배추와 절임배추에서 한국산 배추가 일본산 배추보다 탄력성이 높았고 4주간 숙성한 김치의 탄력성은 한국산 김치가 53.5%로, 일본산 김치(41.4%)보다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산 배추로 제조하여 발효한 김치는 총균수는 낮으면서 젖산균인 Lactobacillus sp.와 Leuconostoc sp.의 수는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한국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의 관능적 만족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발효 3주차의 김치를 이용하여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한국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는 83.2%, 일본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는 46.1%로 한국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에서 약 2배 정도 높은 DPPH radical 소거효과를 나타냈다. AGS 인체 위암세포에 김치의 메탄올 추출물을 1 mg/mL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한국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는 45%, 일본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는 26%의 암세포 성장 저해율을 나타냈고, 2 mg/mL의 농도에서는 각각 97%, 74%의 암세포 성장 저해율을 나타내어 한국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에서 저해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한국산 배추의 품질이 우수하고 이로 제조한 김치가 일본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보다 품질이 우수하고 더 높은 항산화 및 항암기능성(AGS 위암세포)을 나타내었다.

김치제조시 사용되는 천일염이 김치의 장기저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ar Salt on Kimchi Fermentation during Long-term Storage)

  • 장지윤;김인철;장해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56-464
    • /
    • 2014
  • 천일염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발효조건(김치 원 부재료, 발효미생물, 발효온도 및 기간 등)을 동일하게 하여주고, L. citreum GJ7을 종균으로 사용하여 김치내 미생물 제어를 통한 원 부재료내의 토착미생물의 변수를 최소화한 환경하에서 사용된 소금에 따른 차이가 김치의 저장기간 중 김치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용소금의 성분분석결과 NaCl 함량은 1년 숙성 천일염보다 4년 숙성 천일염에서 더 높았고, 수분과 $SO_4$ 및 무기양이온(Mg, K, Ca)은 4년 숙성 천일염보다 1년 숙성 천일염이 더 높게 나타나, 소금의 숙성에 따라 간수가 제거됨으로써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천일염 2종(4년 숙성염, 1년 숙성염) 및 정제염을 사용하여 제조된 김치는 발효하여 산도가 0.5-0.6%에 이르렀을 때 $-1^{\circ}C$에 보관하면서 5개월 동안 김치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막 담근 김치에서 알맞게 김치가 익는데(산도 0.5-0.6%) 소요되는 시간은 정제염김치가 천일염김치보다 더 오래 걸리지만, 알맞게 익은 김치를 장기저장시(5개월)에는 정제염김치가 가장 빨리 그리고 제일 많이 시어지고, 4년 숙성염김치가 같은 기간내에 가장 덜 시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김치내 총균수 및 유산균수는 4년 숙성염김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1년 숙성염김치 그리고 정제염김치순으로 나타났다. 김치 저장 5개월에 사용종균을 포함한 이종발효유산균의 점유율은 4년 숙성염김치가 77.2%, 1년 숙성염김치는 65.6%, 정제염김치는 53.1%로 4년 숙성염김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김치연부를 일으키는 효모는 4년 숙성염김치에서 가장 낮게(1.3 log CFU/mL), 정제염김치에서 (5.1 log CFU/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김치의 품질특성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는 종균을 포함한 이종발효유산균 균총의 검출율과 그렇지 못한 동종발효유산균과 효모의 검출률 비율이 김치의 저장기간이 장기화될수록 사용소금간 김치에서 확연이 차이가 벌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치의 색도변화에서는 황색도(b값)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가장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정제염김치의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경도변화에 있어서 4년 숙성염김치가 가장 견고하였으며 정제염김치의 경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개월, 5개월 동안 저장한 김치의 관능검사결과 4년 숙성염김치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정제염김치가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소금에 따른 김치품질특성 차이는 1개월 이내의 단기저장에서보다 5개월 이상의 장기저장에 따라 점점 더 확연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서 4년 숙성염이 발효 김치의 장기저장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황처리 열무로 제조한 열무김치의 Sarcoma-180 암세포에 대한 고형암 성장 억제효과 (Antitumor Effect of Young Radish Kimchi Prepared with Young Radish Cultivated in the Soil Containing Sulfur on Sarcoma-180 Tumor Cells Transplanted Mice)

  • 공창숙;박순선;이숙희;길정하;노치웅;황해준;김낙구;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520-1524
    • /
    • 2005
  • 유황처리 열무로 제조한 열무김치의 항암효과를 S-180 암세포를 이식한 마우스에 대한 고형암 성장 억제효과를 통하여 검토하였다. 일반 열무 및 유황처리 열무로 제조한 열무김치는 $5^{\circ}C$의 저장온도에서 적숙기 pH 4.3까지 발효시켰다. 열무김치의 메탄올추출물을 이용하여 S-180 cell 이식 마우스에 대한 고형암 성장 억제효과를 관찰한 결과에서 일반 열무김치에 비해 유황처리 열무로 제조한 열무김치를 투여한 군에서 고형암 성장 저해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열무김치 YR kimchi-SL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GST활성 및 GSH 함량도 유황처리 열무로 제조한 열무김치를 투여한 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발암상태에서 열무김치추출물은 친전자성 발암물질의 활성 대사산물의 해독작용에 관여하는 GST활성을 증가시켜 독성 물질을 체외로 배설시킴으로서 고형암 성장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유황처리에 의해서 열무자체에 항암성 유황 화합물의 농토가 증가하여 높은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고 하겠다.

배추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김치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uble-Solids Contents of Chinese Cabbages on Kimchi Fermentation)

  • 심선택;김경제;경규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78-284
    • /
    • 1990
  • 김치류가 시어지는 현상은 재료 중의 발효성 당을 주로 젖산균이 발효하여 산이 과다하게 생기기 때문이므로 우선 배추의 품종별 또 재배계절별 가용성 고형물 함량을 측정하고 이들 배추를 발효하여 배추가 갖는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김치의 최종적정산도를 비교하였다. 봄배추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1.20{\sim}3.40^{\circ}\;Brix$로서 발효가 완전히 끝나는데 걸리는 시간은 $8{\sim}14$일로서 비교적 짧았으며 최종적정산도는 $1.17{\sim}1.66%$이었고 가을배추의 경우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3.80{\sim}6.60^{\circ}\;Brix$로서 $37{\sim}44$일만에 발효가 끝났으며 최종적정산도는 $1.87{\sim}2.70%$였다. 따라서 발효하여 최종으로 얻을 수 있는 산도는 대체적으로 원료에 함유된 가용성 고형물 함량에 비례하며 그 관계는 Y=0.30X+0.7779이었다. 적당히 발효된 김치류의 적정산도(Y)의 범위를 $0.6{\sim}0.8%$로 하자면 위의 식에서 X(가용성 고형물의 함량)가 $0.02^{\circ}\;Brix$ 이내의 범위에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 분석된 배추의 최저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1.20^{\circ}\;Brix$ 이어서 위 X의 범위에 드는 품종을 얻기란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