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dney bean seedling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2초

강낭콩 유식물로부터 분리한 Lectin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Lectin Purified from Kidney Bean Seedling)

  • 노광수
    • KSBB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53-57
    • /
    • 2007
  • 강낭콩 유식물로부터 PBS에 의한 추출, $(NH_4)_2SO_4$ 침전, Sepadex G-10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lectin을 분리한 다음, 이들의 생화학적 특성으로서 분자량, 적혈구 응집반응, 열 안정성, 최적 온도 및 최적 pH를 연구하였다. 이 과정에 토끼 혈액의 적혈구를 이용하여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 lectin의 분자량은 46 kDa와 44 kDa로서, 각각 2개의 subunit를 갖는 tetramer이다. 정제된 이 lectin의 최적 반응 온도는 30$^{\circ}C$이며, $40\sim80^{\circ}C$에서 열 안정성을 보였다. 또한 이 lectin의 최적 pH는 pH 8.2이다.

각종 유식물체, 채소 및 가공식품 중의 글루타치온 함량 (Glutathione Content in Various Seedling Plants, Vegetables, and the Processed Foods)

  • 김주성;심이성;김명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92-596
    • /
    • 2009
  • 40종류 이상의 식물의 유식물체, 채소 그리고 가공식품의 글루타치온과 그의 산화형 글루타치온(GSSG)함량을 측정하였다. 유식물체를 이용한 실험에서 총글루타치온 함량은, 100 g(생체중)당 $0-120{\mu}mol$의 범위였으며, 같은 과, 종 및 품종에 있어서도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시판되고 있는 곡물과 채소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콩과의 팥과 강낭콩에서 높은 글루타치온 함량을 나타내었다. 콩을 이용한 가공식품(고추장, 된장, 간장 등)에서는 글루타치온 함량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식품에 있어서 고농도의 글루타치온은 식품의 높은 부가가치가 되리라 생각된다.

강낭콩 발아중 유묘 부위별 당함량의 변화 (Variation of Sugar Content in Different Parts of Seedling during Germination in Phaseolus vulgaris)

  • 김종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82-488
    • /
    • 1996
  • 비배유종자인 두류는 발아시 자엽내 전분 energy원이 어떻게 분해 전이되어 배아부로 공급되는가를 구명하고자 자엽에 당질이 많고 종자수명이 긴 강남콩을 공시하여 발아과정중 경시적으로 유식물체를 부위별로 절취하여 건물중과 당류의 경시적 소장 및 이동을 HPLC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강남콩 종자에서 자엽 부위의 수분 함율은 6.4 ∼6.5%이나 발아 기간중 ( 1∼8일) 흡수율은 45.8∼71.2%로 증가되며 자엽 하반부가 후엽 상반부보다 1.1∼3.8% 높았다. 자엽을 제외한 근부(유아 + 유근 + 유축부)의 조직 기관에서는 더욱 많은 72.2∼93.3%로 자엽조직보다 현저한 함수율을 보였다. 2. 발아중 강남콩 종자의 주요 당류는 raffinose, sucrose, glucose, fructose이며 경시적 당류 소장이 부위별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3. 종자가 파종 흡수되면 각 기관 조직에 raffinose가 급증하나 발아가 완료되면 유아부에서는 소진되고 자엽 하반부에서는 다소 잔존함을 알 수 있었다. 4. Sucrose는 발아초 신생 유아부와 종자의 자엽에 많이 생성되나 발아 후 유아부에서는 급감되고 자엽 조직에서는 계속 생성되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5. Glucose와 fructose는 종자의 자엽부에서는 발아 기간중 5∼l0%와 5∼l5% 범위의 적은 변화였으나 유아 및 생장부위에서는 발아 초기부터 후기까지 현저히 계속 증가됨을 인정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