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ey characters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25초

맥스 스크립트를 이용한 바이페드 애니메이션 합성 (Bipeds Animation Blending By 3D Studio MAX Script)

  • 최홍석;정재욱
    • 감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259-266
    • /
    • 2009
  • 오늘날 3D 캐릭터 애니메이션은 실사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광고 등 대다수의 영상물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캐릭터의 부드러운 움직임은 모션캡쳐(Motion Capture)와 같은 고가의 장비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숙련된 애니메이터들이 오랜 시간 키 프레임(Key Frame)을 수정함으로써 얻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애니메이터 개인의 감성적 기준에 따라 제작되어진 캐릭터의 행동이 관객들의 보편적 기대치와 다를 때도 있는데, 이것은 제작되어진 캐릭터의 행동과 관객들의 감성반응에 대한 객관적 관계식이 정립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3D 캐릭터의 걸음걸이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관계식 추출과 정립을 위한 실험장비로서 3D Studio MAX Script를 이용한 3차원 회전의 연산 툴을 제안한다. $2{\sim}3$개의 바이패드 데이터 수정과 합성을 주요기능으로 삼고 있는 이 툴을 통해 걸음걸이와 감성반응 사이의 정량적 관계식에 접근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용이하게 되었다.

  • PDF

산개구리류 4종(양서강, 개구리과)의 형태적 비교 (Morphological Comparison of Four Brown Frogs (Amphibia; Ranidae))

  • 송재영;장민호;정규회
    • 환경생물
    • /
    • 제23권2호
    • /
    • pp.157-162
    • /
    • 2005
  • 한국산 산개구리류 3종의 분류학적 형질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형태학적, 계량형태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산 산개구리류 3종(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아무르산개구리)과 일본산 산개구리류 1종(R. tsushimensis)을 비교 분석하였다. 형태학적 비교 분석결과, 산개구리류는 손가락 끝과 발가락 끝의 모양, 아래턱에 형성된 반문의 발달유무, 윗입술선의 유무, 물갈퀴의 발달 정도, 서구개치열의 형태 등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계량형태학적 분석을 통하여 고막의 직경과 발길이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학적, 그리고 계량형태학적 특징은 한국산 산개구리류를 동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형질이라고 생각된다.

모바일게임 이용 충족이론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게이머 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amers Segmentation based upon Uses and Gratifications of Mobile games)

  • 한광현;김태웅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33-164
    • /
    • 2005
  • Mobile games have emerged as the most innovative entertainment technology, adding new revenue streams, taking advantage of the potential of wireless applications and service offerings. Mobile games, like any other types of computer game, offer a unique value for users in providing an exciting digital experience in virtual worlds. Players can become empower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characters and strategies within games to achieve rewarding successes against the computers and other players. The overall trend for mobile games is towards bigger, more colorful, more involving and exciting contents, which will build upon the developing capabilities of mobile phones and networks in order to bring new styles, concepts and experiences of game play to the users. In this paper, we attempt to investigate the demographic factors which play critical roles in determining the level of playing times; classify mobile gamers based on their motives for playing games; and empirically test differences in their demographic factors and mobile game usage.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ying times exist, depending upon their age, gender, mobile device, mobile phone usage, mobile game experiences, and preferred games genres. Applying Factor analysis, we have identified Escape, Social interaction, Challenge and Competition, Fantasy, Diversion and Relaxation, Ease of Accessibility as key motivators for playing mobile games. Additional cluster analysis shows that the categorization of gamers, according to their usage habits and the key motivators for playing, can be made as follows: M-gamers, Multi-gamers and Communication-focused gamers. Further correlation of these grouping with socio-economic data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aming habits and patterns of mobile phone use.

  • PDF

검정납작골풀(골풀과): 한국 미기록 식물 (Juncus fauriei Lév. & Vaniot (Juncaceae): a new record in Korea)

  • 김성민;조양훈;김종환;심상득;김상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30-334
    • /
    • 2012
  • 골풀과의 골풀속에 속하는 Juncus fauriei L$\acute{e}$v. & Vaniot는 일본과 러시아에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는 종인데, 강원도의 하조대 해안가 사구 습지에서 이를 발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이 식물은 줄기의 단면이 납작하고 주로 나선상으로 꼬여있고, 화피편의 가장자리가 검은색을 띄는 특징으로 국내 골풀속 내의 section Juncotypus에 속하는 근연 종인, J. decipiens (골풀), J. setchuensis (푸른갯골풀), J. haenkei (갯골풀), J. brachyspathus (참골풀)와 확연하게 구분 된다. 이러한 형태적 특징에 따라 국명을 '검정납작골풀'로 신칭하였고, 이 분류군의 사진 및 형질에 대한 기재, 근연 분류군들과 구분할 수 있는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한국산 귀신그물버섯과에 대한 고찰(III) -남방그물버섯속과 귀신그물버섯과의 속 검색표- (Notes on Korean Strobilomycetaceae (III) -On Austroboletus and the Key to Genera of the Strobilomycetaceae-)

  • 안용환;김양섭;석순자;윤경하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2호통권85호
    • /
    • pp.230-238
    • /
    • 1998
  • 1982년부터 1996년까지 평창 오대산, 수원 숙지산, 청양 칠갑산, 원주 치악산, 해남 두륜산, 등 총 5곳에서 채집되었고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생물자원부 표본실 및 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표본실에 보관중인 남방그물버섯류 12점의 표본을 확보하였고 Moser(1983) 및 Singer(1986)와 Hongo(1987)의 분류체계에 준하여 분류 동정한 결과 남방그물버섯속은 방추남방그물버섯 [Austroboletus fusisporus (Kawam. apud Imaz. & Hongo) Wolfe]과 가는대남방그물버섯[Austroboletus gracilis (Peck) Wolfe], 그리고 미로남방그물버섯(신칭)[Austroboletus subvirens (Hongo) Wolfe]의 3종으로 확인되었다. 색명은 "Methuen Handbook of Colour" (Kornerup & Wanscher, 1983)를 인용하였고, 또한 귀신그물버섯과의 속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 PDF

한반도산 관중속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관중과)의 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f Dryopteris subg. Erythrovariae (H. Itô) Fraser-Jenk. (Dryopteridaceae) in Korea)

  • 이상준;박종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4-135
    • /
    • 2015
  • 관중속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에 속하는 분류군들은 형태적으로 변이가 심하여, 분류군의 한계 해석에 대한 견해 차이가 심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산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의 분류군들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식별 형질을 검토하여 분류군들의 한계 및 유연관계를 파악하고 각 분류군들의 분류학적 실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엽신, 우편 및 소우편 선단부의 형태, 인편의 형태 및 색, 포막의 위치 등이 본아속에 속하는 한반도산 분류군들을 구분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와 기존의 결과를 종합하여 한반도산 관중속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을 12종 1변종의 13분류군으로 정리하였으며, 이들 분류군에 대한 기재 및 종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재는 야외 관찰 결과 및 전세계 주요 표본관에 소장된 1,000여점의 표본에 근거하여 작성하였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화산 103호″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Growth Characters and Productivity of New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 Variety ″Hwasan 103″)

  • 최기준;임용우;임영철;김기용;성병렬;최순호;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3-168
    • /
    • 2001
  • "Hwasan 103" is a new cold-tolerant Italian ryegrass(Lo1ium multiflorum L.) variety developed by the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NLR1) in 1999. To develop a cold-tolerant variety of Italianryegrass(Lo1ium multiflorum L.), cold-tolerant clones survived under - 13 - - 14$^{\circ}$C of minimum average airtemperature(MAAT) in January were selected at Hwachun, Kwangwon Province in 1995. Five clones ofselected clones were polycrossed for seed production by NLRI, RDA in 1996."Hwasan 103" was diploid variety, green in leaf color and broad in flag leaf width. Also it hassemi-prostrate and medium growth habit in late autumn and in early spring, respectively. "Hwasan 103" wasexcellent in lodging tolerance at harvesting time. First heading date of "Hwasan 103" was 14th May, it wassimilar to that of Marshall. Expecially, "Hwasan 103" survived about 50-70% under - 10- - 12'C ofMAAT in January, so it could be cold-tolerant variety that can be safely cultivated in regions higher than -9$^{\circ}$C of MAAT in January. Compared with Marshall "Hwasan 103" showed 3% higher fresh yield (57.8MTper ha) and it showed 2% higher dry matter yield (11.OMT per ha). Higher IVDMD and TDN and lowerADF and NDF were observed in "Hwasan 103" than those of Florida 80 and Marshall in Forage quality.(Key words : Italian ryegrass, Cold tolerance, New variety "Hwasan 103")all in Forage quality.(Key words : Italian ryegrass, Cold tolerance, New variety "Hwasan 103")n 103&")ot;)

  • PDF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화산 102호″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Growth Characters and Productivity of New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 Variety ″Hwasan 102″)

  • 최기준;임용우;임영철;김기용;성병렬;김맹중;박근제;김상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7-162
    • /
    • 2001
  • "Hwasan 102" is a new cold-tolerant Italian ryegrass(Lo1ium rnultiflorum L.) variety developed by the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NLRI) in 1999. Having cold tolerance in Italian ryegrass is an importantfor enlargement of cultivation area and increase of productivity in Korea. To develop the cold-tolerant varietyof Italian ryegrass, cold-tolerant clones survived under - 13- - 14$^{\circ}$C of minimum average air temperature(MAAT) in January were selected at Dun Nae, Kwangwon Province in 1993. Five of selected clones werepolycrossed for seed production by NLRI, RDA, in 1995."Hwasan 102" was tetraploid variety, dark green in leaf color and broad in flag leaf width. Also it hassemi-prostrate and medium growth habit in late autumn and in early spring, respectively. "Hwasan 102" withlow plant height at harvesting time was excellent in lodging tolerance. First heading date of "Hwasan 102"was 19th May, it was similar to that of Marshall. Expecially, "Hwasan 102" survived about 60% under - 10- - 12$^{\circ}$C of MAAT in January, so it could be cold-tolerant variety that can be safely cultivated in regionshigher than -9'C of MAAT in January. Compared with Marshall, "Hwasan 102" showed 8% higher freshyield (59.2MT per ha) but it showed 2% lower dry matter yield (9.6MT per ha). Higher IVDMD and TDNand lower ADF and NDF were observed in "Hwasan 102" than those of Florida 80 and Marshall in Foragequality.(Key words : Italian ryegrass, Cold tolerance, New variety "Hwasan 102")rshall in Foragequality.(Key words : Italian ryegrass, Cold tolerance, New variety "Hwasan 102")san 102&")ot;)

  • PDF

베르너 비숍의 한국전쟁 다큐멘터리 사진 분석 (Analysis on Werner Bischof's Korean War Documentary Photos)

  • 정은진;김진수;양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60-174
    • /
    • 2022
  • 본 연구는 매그넘 포토스 소속으로 한국전쟁 기간에 종군한 사진가 베르너 비숍의 종군활동과 주요 사진을 분석하였다. 베르너 비숍은 1951년과 1952년 두 번 한국에 입국해 종군했다. 그가 남긴 한국전쟁 사진과 에세이, 각종 편지, 사진집 등의 자료를 통해서 그의 종군활동과 종군 배경을 밝히고, 1·2차 종군에서 촬영한 대표 사진을 중심으로 주요 메시지와 특징을 분석했다. 비숍은 한국에서 '인간' 중심의 작품을 촬영했다. 특히 '전쟁지역에서 민간인은 어떻게 되는가?'에 대한 주제의식을 가졌다. 비숍은 1차 종군에서 전쟁에 휘말린 민간인의 고통과 전쟁의 참상을 알리고자 산양리 주민을 카메라에 담았다. 2차 종군에서는 최초 재정적 이유로 인해 마지못해 종군하였으나 포로수용소에서 이뤄지는 이념재교육의 실상과 포로들의 생활상을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담아냈다. 흑백의 뚜렷한 대비, 인물 중심의 이미지 배열, 뛰어난 시선 처리 등의 특징을 보였다. 그의 종군은 한국전쟁 중 일어나는 민간인의 피해와 인본주의적 탐색에 배경을 두고 있었으며, 이러한 주제의식은 당시 종군한 여느 종군기자들과는 결이 다른 것으로 시대를 관통하는 특징을 갖는다.

삼백초와 약모밀의 내부형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Anatomical Study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and Houttuynia cordata Thunb. (Saururaceae))

  • 양선규;최고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1-18
    • /
    • 2018
  • Objectives : Saururus chinensis and Houttuynia cordata (Saururaceae) are perennial herbs using for medicinal purposes in Korea.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anatomical key characters between two medicinal plants an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two herbal medicines by using anatomical features. Methods : Cross-sections of root, rhizome, stem, petiole, and leaf for each species were observed in this study. Materials were analyzed through dehydration, paraffin embedding and micro-sectioning, and double staining with Safranin O and Fast-Green FCF. Observations of permanent preparation were conducted using light microscope. Results : S. chinensis and H. cordata were distinguished with anatomical differentiations; Idioblasts with essential oil were scattered in the parenchyma cell of cortex, pith, and phloem of S. chinensis, on the other hand, in H. cordata, idioblasts were distributed ring-shaped in the cortex of the root. S. chinensis had two cycles of vascular bundles in the stem while H. cordata had one cycle. Hypodermis layer was conspicuous in a stem of H. cordata, crystals were observed the only parenchyma in a stem of S. chinensis, and epidermal oil cells were developed in the epidermis of H. cordata. S. chinensis had air cavity at the cortex and pith of the stem. The shape of cross-section was polygonal in the stem of S. chinensis and was circular in the stem of H. cordata. Conclusions : We investigated anatomical study of Korean S. chinensis and H. cordata. To identify two herbal medicines, we considered main anatomical features and provided identification key here.